구독경제 101 - 구독모델을 활용하는 39가지 방법
스노우볼랩스 지음 / 스노우볼랩스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구독 경제라는 말은 생소했지만 이전에 자주 사용하던 공유 경제라는 말은 눈에 들어옵니다. 이왕이면 비싼 제품이지만 함께 공유하면서 나에게 필요한 부분만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란 생각이 들어서 저도 관심이 많았었거든요. 

 

그런데 이제는 구독 경제가 대세네요. 시대의 흐름과 요구에 따라 이렇게 다양하게 바뀌고 있다는 것을 책을 통해 잘 알 수 있었답니다. 공유 경제가 비싼 것을 함께 나눠 쓰는 것이라면 구독 경제는 나에게 필요한 것만큼만 쓰고 그 만큼의 돈을 지불하는 것을 말하는 것 같아요.

 

이미 생각해보니 구독 경제는 많은 콘텐츠들을 저 역시도 구독하고 있었더라고요. 그 중 대표적인 것들 중 한 가지가 바로 넷플릭스가 아닌가 싶습니다. 저의 필요에 따라 구독을 하고 있는데 만약 이 필요성이 사라진다면 구독을 멈추게 되겠죠. 

 

아무튼 책을 읽으면서 구독 경제가 단순히 콘텐츠 제공이나 이런 차원을 넘어서서 엄청나게 방대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제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분야들이 무궁무진 하더라고요.

 

예전에 채소 구독 서비스라는 것을 처음 접했을 때 무언가 머리가 띵했습니다. 채소를 뭘 어떻게 구독하라는 것인지 하고 말이죠. 채소에 대한 정보를 주는 책을 구독하는 것인지 채소를 그 때 그 때 집으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인지 말이죠.

 

하지만 책을 읽으면서 몰랐던 사실들도 알게 되고 굉장히 흥미로웠습니다. 너무나도 많은 것들 중에서 최선의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 역시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거든요. 세상에서 안 먹어본 과자가 없도록 도와준다라고 하니 이런 부분에서 솔깃했습니다. 너무나도 많은 과자들 중 맛있는 것들을 선별해서 맛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니까요.

 

다른 것보다도 문득 책을 읽다가 청소나 요리를 귀찮아하는 사람들에게 이런 서비스가 제공된다면 이런 상상을 하니 상상만으로도 관심이 많이 가더라고요. 특별한 경계나 장르 없이 생각하는대로 구독 경제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것도 너무나도 신선하고 흥미로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