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조仁祖 1636 - 혼군의 전쟁, 병자호란
유근표 지음 / 북루덴스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병자호란에 대해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책이라고 해서 책을 읽기 전부터 관심이 많이 갔습니다. 그동안 병자호란이 청나라의 관점에서 잘못된 일이라는 점을 부각시켜 왔다면 이 책은 인조의 관점에서 새롭게 바라보고 있는 책이여서 조금 색다른 시각으로 병자호란을 바라볼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관점이 달라지니 인조에 대한 생각은 물론이고 미처 깊이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들을 이제야 생각해보게 되는구나 싶은 생각이 들었답니다. 우리 역사에서 왕들을 보면 본인 스스로가 강직한 성품으로 나라를 잘 다스리는 왕도 가끔 있는 반면에 대부분은 신하들의 이야기대로 움직이거나 자신의 안위만을 생각하는 일이 너무나도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

 

인조의 관점에서 병자호란을 바라보고 나니 인조라는 왕이 어떤 것들을 중시하며 나라를 운영했는지가 보이더라고요. 모름지기 임금이라면 백성을 살피는 것에 힘써야 하지만 인조는 그저 국력을 키우는 일에만 관심을 갖다 보니 이것이 어떤 결과를 가져오게 되는지를 잘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책을 읽으면서 병자호란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알게 되는 부분들도 있었고 무엇보다도 오늘날 현시점과 맞물려 생각하지 않을 수가 없더라고요. 학창 시절 암기했던 삼전도의 굴욕도 한 장면처럼 눈에 그려지는 듯 했고, 지금 우리나라는 이 때와는 완전 다르다고 말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도 하게 되었습니다. 

 

오랑캐라고 얕잡아보던 청나라에게 한 나라의 임금이 굴욕을 당했으니 이는 얼마나 수치스런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인조가 권력을 확장시켜나가는 일에만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민생을 조금이나마 더 살폈었더라면 지금과 결과는 달랐을까 싶은 생각도 들었고요. 

 

소현세자의 의견을 받아들여 개방 정책을 일찌감치 쓰지 않았던 것 역시도 아쉬움으로 남을 수 밖에 없는데 무엇보다도 왕이라는 자리에 있는 사람은 상황에 맞는 결단력은 물론이고 통찰력도 중요함을 다시금 느끼게 되었답니다. 아무튼 우리나라와 청나라 모두의 사료를 중심으로 기술했다고 하는 이 책을 통해 조금이나마 병자호란 당시의 상황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