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욘드 핸디캡 - 모든 핸디캡은 가능성이다 ㅣ 북저널리즘 (Book Journalism) 73
김종욱 외 지음 / 스리체어스 / 2022년 4월
평점 :
핸디캡을 갖고 있다는 것은 뭔가 다른 사람들에 비해서 불리하다는 것을 뜻하고 우리는 그런 모습들을 많은 장애인들을 통해서 보게 되는 것 같아요. 저 역시도 평상시에는 장애인에 대해서 비교적 무관심한 모습을 많이 보이는 것 같다는 생각이 책을 읽으면서 많이 들었습니다.
스타벅스에서 장애인 바리스타를 본 적이 없다는 것에 저도 많은 공감이 갑니다. 그들은 무언가 기술을 배우고 익히지만 그들이 일할 수 있는 곳은 상당히 제한적인 것 같습니다. 제가 가본 장소만 하더라도 그들은 복지관 같은 곳에서 빵을 만들거나 커피를 만들뿐 심지어 동네 커피 전문점에서도 그들을 만나본 적이 없는 것 같습니다.
올림픽 때 패럴림픽에 대해 굉장히 안 좋은 시선과 부정적인 말들이 많았다고 이야기하는데 그로부터 시대가 변하고 시간이 굉장히 많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얼마나 많은 변화가 있는지 생각해보게 됩니다. 사실 올림픽이 끝나고 나면 곧 이어 패럴림픽이 시작되지만 사람들은 별로 그들의 경기에 관심을 갖지 않고 지나치는 경우가 너무나도 많은 것 같습니다. 우선 그들의 경기를 보여주는 방송사도 비장애인들의 올림픽을 보여줄 때와는 많은 차이가 있어 보입니다. 어쩌면 제가 무관심해서 패럴림픽에 나오는 선수들도 제대로 기억하지 못하는 것일지도 모르겠지만 그들이 메달을 땄을 때 조차도 다소 일반 올림픽에 비해 가볍게 여기고 넘어가는 경향이 있다는 생각은 많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비록 핸디캡을 갖고 있는 그들일지라도 이것이 불편하고 내가 하고 싶은 것을 하는데 있어 제약이 되는 것만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핸디캡을 통해 자신의 가능성을 발현하고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찾아 나가는 사람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어찌보면 이들에 대해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대우하는 자세가 하루 빨리 우리 사회에 자리잡아야 하지 않나 싶은 생각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