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투하는 의사 - 타투가 합법화되지 못한 진짜 이유 북저널리즘 (Book Journalism) 71
조명신 지음 / 스리체어스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타투는 요즘 흔하게 볼 수 있고 주변에도 간단한 타투를 한 지인들도 여럿 생겨서 그다지 큰 부담감이나 거부감 없이 접하고 있었던 것 같은데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 사회가 타투에 대한 인식이 그동안 어땠었는지를 다시 생각해보게 되었던 것 같아요. 사실 책을 읽으면서 곰곰이 생각해보니 누군가 나에게 타투를 하라고 또는 하자고 권유한다면 나는 어떨까 싶은 마음에서 책을 읽게 되었던 것 같아요.  

 

솔직히 생각해보니 과거의 저의 모습을 떠올려보면 타투를 한 사람들에 대해 편견이 없지 않아 있었던 것 같아요. 아무래도 대중매체에서 보여지는 이미지가 그래서 그런지 타투를 여기저기에 한 사람들을 보면 왠지 조금 피해야할 것 같은 생각을 많이 했었던 것 같아요. 그리고 방송에서 타투를 한 연예들이나 일반인들이 테이핑으로 가리고 등장하는 모습은 요즘에도 종종 볼 수 있는 것 같고요. 타투를 하는 부위도 좀 더 다양해져서 그런지 손등과 같은 곳에 타투를 했을 때 방송에 이것을 가리려고 덕지덕지 테이핑한 모습이 어느 순간 거슬리긴 하더라고요. 어느 정도는 그냥 노출해도 이제는 괜찮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요.

 

타투이스트가 쓴 책을 읽으면서 오히려 이를 예술로 느끼고 타인에게 도움이 되는 타투도 있다는 것을 부각시킨 책을 접한 적이 있었는데 그 때도 우리 사회에서 타투가 지금도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는 잘 알지 못했던 것 같아요. 이 책을 접하면서 타투를 합법화시키지 못한 이유와 타투에 대해서 어떤 인식을 갖고 있는지 등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었던 계기가 된 것 같아요. 왜 법으로 제정하지 못하는지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았고 우리가 타투를 너무 해로운 것으로 오랫동안 인식해 온 탓도 있지 않나 싶은 생각도 들었습니다.


시대가 변했고 많은 사람들이 자신을 표현하고 싶은 방법이나 특별한 의미로 타투를 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데 타투를 하든 안하든 이것은 개인의 선택이라고 치더라도 타투를 한 사람들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 것인가의 문제에 대해서는 이제 생각해봐야 할 때라는 생각은 확실히 들었던 것 같습니다. 더군다나 타투 합법화 논쟁을 오랫동안 지켜봐 온 의사가 들려주는 이야기여서 더욱 더 관심 있게 읽었던 것 같습니다. 취향과 혐오 사이에서 엇갈리는 여론을 생각하면서 저 역시도 이 부분에 대해서 많이 생각해봐야겠다는 생각을 했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