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에 기대어 철학하기 - 스스로 생각하기를 멈추지 마라
얀 드로스트 지음, 유동익 옮김 / 연금술사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직도 어떤 사람들은 철학이라고 하면 시간 낭비라고 생각하거나 불필요한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됩니다. 하지만 우리 인생에서 철학이야말로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그리고 생각하는 힘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금 이 책을 읽으면서 느끼게 되네요. 이 책의 표지에 쓰여있는 '스스로 생각하기를 멈추지 마라'라는 글귀가 눈에 쏙 들어옵니다. 나 역시도 매사에 스스로 생각하는 삶을 살아야겠다고 자주 다짐하고 있기에 더욱 그런 것 같아요.

 

또 하나 이 책에 끌리게 된 이유 중 하나는 바로 내가 좋아하는 알랭 드 보통에 의해 설립된 인생학교에서 철학을 가르친다는 저자의 프로필 때문에 더욱 그렇습니다. 이름만으로도 찾아 읽게 되는 알랭 드 보통의 저서들. 그런 그가 세운 인생학교는 어떤 모습일지도 무척 궁금하지만 그런 학교에서 철학 수업을 한다는 저자가 이 책에서는 더 끌리네요.

 

학창 시절 배웠던 내용들이 좀 더 체계적이고 전문적이여서 다시 한 번 만나 그 내용을 자세히 들여다 보는 재미로 이 책을 천천히 읽었던 것 같아요. 물론 학교에서 깊이 있게 다뤄지지 않았던 내용들을 자세히 살펴보니 좋았답니다. 책은 크게 에피쿠로스, 스토아 학파, 아리스토텔레스, 스피노자, 사르트르, 푸코와 함께하는 철학 이야기들을 담고 있답니다.

 

이 중에서도 내가 제일 흥미롭게 읽고 마음에 와닿았던 부분은 바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이야기였답니다. <아테네 학당>이라는 유명한 그림에 대한 설명은 다시 봐도 흥미로워요. 다른 미술 서적에서도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가 함께 걸어가며 대화를 나누고 있는 장면을 설명하면서 가장 주목하는 것은 바로 그들의 손가락이 가리키는 것이랍니다. 플라톤은 그의 세계관을 보여주듯이 하늘 위를 가리키고 있고, 아리스토텔레스는 현실을 나타내듯이 앞 쪽으로 손가락을 가리키고 있다는 것이죠. 그런데 이 책에서는 신발에 주목합니다. 이 작품을 보면서 별 생각없이 발을 보고 넘겼었는데 플라톤은 신발을 신고 있지 않고 아리스토텔레스만 샌들을 신고 있는 것도 화가의 의도였을까요. 그들의 사상이 작품 안에 고스란히 들어 있다고 생각하니 흥미롭고 신기하네요.

 

서양 철학을 다 살펴볼 수는 없지만 이 책을 통해 어느 정도 전반적으로 살펴봤다는 느낌이 듭니다. 지나치게 어려운 사상에만 치우치지 않고 우리 인생과 관련된 설명들도 많이 있어 분량은 꽤 되지만 읽기에 어려움은 크게 없답니다. 내 삶의 주인으로 좀 더 사색하는 삶을 살도록 노력해야겠다는 다짐을 다시 하게 해 준 책이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