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음식이지만 과학입니다
스테판 게이츠 지음, 이진선 옮김 / 예림당 / 2019년 10월
평점 :

음식이라는 친숙한 주제를 통해 그 속에서 과학적인 원리를 찾아볼 수 있는 흥미로운 책이라 그런지 아이가 하루에도 몇번씩 찾아보는 책이다. 우리가 하루에도 몇번씩 먹게 되는 음식들을 통해 과학을 찾아보다니 그 자체만으로도 과학과 아이들을 친숙하게 만들어주는 것 같다.
우리 아이의 말을 빌리자면 평소 흔하게 보고 생각했던 음식들을 통해 과학과 연관지어 생각해 볼 수 있어서 너무 재미있고 좋다고 이야기한다. 이 책이 우리 아이를 사로잡은 비결은 단연 실험에 있는 것 같다. 아이가 직접 만들어보고 실험해보는 것을 좋아하는데 이 책에서는 그런 실험들을 해볼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다는 점에서 아이 입장에서는 혼자 책을 보면서 실험을 할 수 있어서 좋은 모양이다.
음식을 통해 우리가 알아볼 수 있는 과학이 이렇게나 많다는 사실이 놀랍다. 더군다나 우리가 먹는 음식에만 주목하지 않고 자연 자체에도 관심을 갖도록 해준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생명체들은 광합성 때문에 존재한다는 것도 알려주고 음식의 영양소 등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해주고 있다.

마치 학창 시절에 접했던 과학 시간이나 초등학교에서 접했던 것 같은 자연관찰 시간이 떠오른다. 아울러 동시에 가정 시간에 영양소들을 배웠던 것들도 떠오른다. 이상하고 신기한 음식들을 보면서 아이가 소리친다. 수르스트뢰밍은 텔레비전에서 나도 본 기억이 있는데 카수 마르주 치즈는 처음 본다. 내가 좋아하는 치즈에 살아 있는 구더기를 넣어 만드는 치즈도 있다는 사실이 놀랍다. 이렇게 하면 치즈의 맛을 살릴 수 있지만 유럽 식품 안전청에서는 먹지 못하고 금지하고 있다고 한다.

이제 우리 아이가 본격적으로 관심을 보이는 부분인 실험이 나와 있는 부분들이다. 우리가 많이하는 팝콘을 직접 튀겨보는 실험 이외에도 달걀을 이용한 실험은 단연 우리 아이에게 인기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탱탱볼을 달걀을 이용해 직접 만들어 본다는 것은 아이들의 관심 분야를 잘 반영한 실험들이 많이 나와 있기에 아이들이 더 좋아하지 않나 싶다. 우리 아이는 실제로 집에 있는 마시멜로를 이용하여 맛있는 슬라임을 직접 만들었다. 아이들을 음식과 함께 과학으로 초대하는 책이여서 초등학생 아이들에게 적극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