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원하는 모습으로 살고 있나요? - 단순하게 잘 사는 법, 에코페미니즘
여성환경연대 지음 / 프로젝트P / 2019년 9월
평점 :
절판
페미니즘이라는 말도 심심찮게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일부 잘못된 인식을 심어주는 사람들로 인하여 페미니즘이라는 말만 들어도 혐오감을 느끼는 사람도 있을 정도로 왜곡되게 자리잡고 있는 것 같아 불편한 마음이 앞선다. 이 책에서는 에코페미니즘이라는 말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말을 제쳐두고라도 이 책 속에서 제안하는 방법들을 통해 우리가 좀 더 환경을 생각하고 더 나아가 지구를 생각하는 일들을 실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요즘 온통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이야기들로 그 어느 때보다도 플라스틱 사용에 대한 반성이 심각한 것 같다.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이는 것이 시급하지만 사실 어쩔 수 없이 마주하게 되는 플라스틱의 양도 어마어마하다보니 이를 줄인다는 것은 사실 생각처럼 쉽지만은 않은 것 같다. 벌써 이러한 미세 플라스틱으로 인하여 이를 먹은 물고기와 같은 동물들로 인해 인간의 몸속에 미세 플라스틱이 쌓이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 우리 인간이 함부로 사용해 온 지구가 몸살을 앓다 못해서 그 결과 우리 인간에게 그 피해와 심각성을 부메랑처럼 돌려주고 있다.
또한 이번 책에서는 우리의 몸에 대해 주목한다. 그동안은 감춰왔던 월경에 대한 이야기를 좀 더 당연하고 자연스럽게 이야기하는 것은 물론이고 이와 관련한 생리대의 문제라든지 사회적으로도 함께 고민해봐야 할 부분들에 대해 이야기한다. 미세 먼지라든지 기후 변화 등으로 인한 문제들은 개인이 해결할 수 있는 부분들이 아니기에 함께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했다.
우리의 먹거리에 대해서도 생각해본다. 바른 먹거리와 생태적 삶에 대해 생각해 보면서 자연스럽게 나의 소비에 대해서도 돌아본다. 직접 텃밭에서 재배해 먹는 건강한 먹거리를 늘리고 건강에 좋지 않은 약들을 사용한 음식들을 먹지 않도록 최소한의 할 수 있는 노력들은 해보려고 한다. 음식 이외에도 미세 플라스틱의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플라스틱 사용은 제한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고 우리가 함께 지구가 처한 이러한 위기 상황을 헤쳐나갈 수 있도록 하는데 있어 내가 실천하고 동참할 수 있는 것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고민해본다. 과연 현재 이렇게 사는 삶이 원하는 모습으로 잘 살고 있는 것인지 나 스스로에게 질문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