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 공부가 끝나면 아이 공부는 시작된다 - 세 아이를 영재로 키워낸 엄마의 성장 고백서
서안정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19년 5월
평점 :
처음 책 제목을 보고는 제가 뭘 잘못 읽었나 했답니다. 아이들을 어느 정도 키워야 비로소 엄마 공부도 끝날 것 같은데 엄마 공부가 끝나야 아이가 공부가 시작된다고 하니 무슨 말일지 궁금했답니다. 물론 책을 읽은지 얼마 지나지 않아 이 제목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잘 알게 되었지만 말이죠. 아이를 키우면서 저도 나름대로 육아서를 참 많이 읽었다고 생각하는데 모처럼 마음에 와닿는 말들이 많은 책을 만났네요. 물론 지금의 상황이 이 책과 맞아 떨어져서 더욱 더 제가 그렇게 느끼는 건지는 모르겠지만 말이죠. 모처럼 정말 반성하며 제 자신을 성찰하며 읽은 육아서랍니다.
저자는 세 아이를 학습지를 비롯한 사교육도 별로 없이 모두 영재로 키워낸 엄마랍니다. 세 아이 모두가 가진 역량이 다르고 기질도 달라 각기 다른 방법으로 아이들을 이해하며 키워냈더라고요. 사실 아이를 키우다보면 내 맘 같지 않을 때도 너무 많고 제 기대와는 달리 다른 방향으로 자라나는 아이를 보면 살짝 당황하게도 되더라고요.
저는 무엇보다도 저자의 세 아이 중 둘째 아이 이야기에 좀 더 집중하게 되더라고요. 저자의 말로는 세 아이 중에서는 가장 부족하다고 느꼈던 아이인 둘째 아이가 스스로 목표를 세우고 과학고에 진학하기까지의 과정이 그려집니다. 무엇이든지 잘했던 첫째 아이와는 달랐기에 부모 입장에서는 걱정하는 부분들도 더 많이 있었을 것이고 또 한편으로는 자기만의 속도로 나아가는 아이의 모습에서 대견함도 느꼈을 것 같아요.
아이를 잘 키운다는 것은 정말 어렵습니다. 저는 우리 아이가 자기가 잘하는 것들을 인정받으면 너무 잘한다고 생각하고 자만할까봐 칭찬을 많이 아끼며 양육했습니다. 마치 저자가 첫째 아이에게 했던 것처럼 말이죠. 그런데 지금이라도 칭찬을 해줄 수 있도록 해야겠다는 생각과 함께 사랑을 듬뿍 주지 못한 것처럼 생각되어 반성이 되더라고요. 어떤 사람 말을 듣고 믿으며 아이를 키워야할지는 본인들이 각자 선택해야 하는데 이렇게 그 선택에 대한 후회감이 밀려올 때는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더라고요.
아이를 키우면서 엄마 스스로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 보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이 책을 통해 다시 깨닫습니다. 저의 내면을 들여다보고 오롯이 나를 생각하고, 우리 아이의 자존감을 내가 키워주지 못한 부분들은 없는지 반성하며 한참을 읽은 책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