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세포 - 노벨상을 받은 놀라운 발견들
금동호 지음 / 해나무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과학에 관심은 많지만 어려운 분야이기도 하고 해서 지루한 책은 그냥 패스하기 일쑤인데 이 책은 노벨상을 받은 놀라운 발견들이라는 부제처럼 어떤 발견들이 노벨상을 받았을까 하는 궁금증을 갖게 만듭니다. 저 역시도 이 책에 나와 있는 14개의 연구들이 어떤 것들인지 궁금해하며 책을 읽었답니다.

 

생각보다 어렵지 않은 내용에 술술 읽히는 부분들도 많이 있었고 더군다나 흥미롭게 쓰여진 글귀 때문인지 재미도 있었습니다. 물론 전문적이고 깊이 있는 내용들은 다소 생소하고 어려운 부분들도 있었지만 말이에요.

 

과학 시간에 사실 다른 분야보다도 생물이 더 재미있고 관심 있었는데 세포에 대한 이야기만으로도 이렇게 다양한 분야의 연구들을 통해 노벨상을 수상했다고 하니 흥미롭더라고요. 왜냐하면 내 몸속 세포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게 되었거든요. 아무래도 유전자에 관련된 이야기나 생체 시계에 관련된 이야기들은 인간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기에 더 와닿더라고요.

 

물론 책의 앞부분에서 저자가 밝혔듯이 이 책에 나와 있는 실험들은 인간을 대상으로 하고 있진 않지만 미모사의 생체 시계를 보면 그 결과가 흥미로웠습니다. 보통 식물을 구입할 때면 종종 듣게 되는 이야기가 아침이나 낮에는 꽃이 활짝 피고 밤이 되면 식물이 오므린다는 이야기를 많이 듣습니다. 그리고 그런 식물을 그 모습을 보기 위해 구입해 본 경험도 있었습니다. 사실 그 이유가 당연히 낮에는 햇볕을 받으니까 그렇다고 생각했었는데 이 책에 나온 실험을 보니 햇볕이 들지 않는 어두운 곳에 두어도 미모사는 낮에는 활짝 피고 밤에는 오므린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네요. 그러니 햇볕이 아닌 미모사 자체에 생체 시계에 따라 피고 닫고 한다는 것을 말해주죠. 물론 인간들의 생체 시계 역시 어떤지 그림으로 잘 보여주고 있어 인간과 식물의 생체 시계를 비교해보게도 되고요.

 

이 밖에도 노화나 암에 관련된 이야기는 세포 뿐만 아니라 우리의 건강과도 직결되는 문제이기에 더 저에게 와닿았던 것 같습니다. 유전자 바꿔치기 같은 경우는 <왕좌의 게임>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가니 더 이해가 잘되고 집중하게 되더라고요. 물론 이러한 유전자 바꿔치기가 큰 부작용을 가져올 수도 있고 도덕적인 부분도 신경써야 하기에 결코 간단하지 않지만 학창 시절에 배웠던 열성과 우성 유전자에 대해서도 떠올려보는 시간이었답니다. 과학적인 발견들을 쉽게 풀어놓으려고 애쓴 문체 덕분에 흥미롭게 읽으며 세포에 대해 다방면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