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갈나무와 바오밥나무 지양어린이의 세계 명작 그림책 57
디미트리 로여 지음, 사빈 클레먼트 그림, 최진영 옮김 / 지양어린이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들의 그림책이라고 하기에는 생각보다 더 많은 것들을 생각하게 만들고 고민하게 만들어주는 책이네요. 다 읽고 났을 때의 마음이 또 다른 것 같고요.


다람쥐들은 늘 자신들이 생활하고 있는 떡갈나무만 존재한다고 믿고 있었는데 어느 날 다른 나뭇가지를 보았다는 할아버지 다람쥐의 이야기를 듣고 의견이 엇갈립니다. 그런 건 없다는 라투핀과 실제로 있는지 가보겠다는 수슬릭으로 나뉩니다. 늘 내가 아는 것이 전부인 양 살아가는 우리의 입장에서도 다른 것이 존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두고 받아들이는 자세 역시 편견에 사로잡히지 않는 방법이란 생각이 들어 편견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사고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것 같았습니다. 아이들도 책을 읽으면서 내가 알고 있는 것이랑 다른 것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것을 배울 수 있으면 좋겠더라고요.


험난한 과정을 거쳐 수슬릭은 그 나무가 바오밥 나무라는 것을 알게 되고 그곳에서 또 다른 친구 칩을 만나게 됩니다. 수슬릭은 칩과 친구가 되었는데 라투핀의 등장으로 칩이 살고 있는 곳이 엉망이 되어 버리고 맙니다. 바오밥 나무에 살고 있는 칩과 그의 친구들은 살 곳을 잃어버리게 되었죠.


이 책에서는 그냥 많은 그림책들이 그러하듯이 칩과 그의 친구들도 모두 함께 떡갈나무에서 살아가는 것으로 행복하게 끝나지 않습니다. 우리에게 고민거리를 안겨 줍니다. 떡갈나무에서 함께 살기에는 칩과 친구들의 수가 적지 않아 어려울 것 같다는 것이죠. 이러한 상황에서 어떤 결정을 내리느냐는 정말 어려운 문제인 것 같습니다. 이 책에서는 이 문제에 대해 다람쥐가 아닌 다른 동물들에게 '너라면 어떻게 하겠니?'라고 물어보자고 하네요.


책을 읽으면서 이러한 고민에 나는 뭐라고 답해야하나 생각해 보면서 난민 이야기가 떠올랐습니다. 그동안 제 3자의 입장에서 난민들을 다른 나라들이 수용하는 것을 보면서 그것이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당연하다고 생각했는데, 우리나라에 난민이 들어왔을 때 이를 받아들이느냐의 문제로 시끄러웠던 것을 보면서 쉽게 결정을 내리지 못하겠더라고요. 많은 것들을 생각하게 해주는 그림책이었던 것 같아요. 읽으면서 느끼는 바가 많아 아이들은 물론이고 어른들이 봐도 너무 좋을 것 같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