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라스트 원
알렉산드라 올리바 지음, 정윤희 옮김 / 교보문고(단행본) / 2018년 12월
평점 :
절판


텔레비젼을 보다 보면 서바이벌 프로그램을 종종 할 때가 있는데 그럴 때마다 마치 내 자신이 그 모험에 참가하는 것도 아니면서 참가자인 양 굉장히 몰입한 관중 입장에서 푹 빠져 볼 때가 많다. 이 책을 읽다보니 그런 서바이벌 게임 프로그램들도 이렇게 연출된 것인가 하는 상상을 하며 읽게 된다. 어떻게 저 사람들은 신청을 해서 저렇게 프로그램에 나온건지 궁금할 때도 있었는데 이 책에서는 웨이트리스가 참가 신청서를 내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제작진에 의해 캐스팅된 인물이다. 실제로 우리나라 서바이벌 프로그램 중에서도 이렇게 시청률이나 제작진의 의도로 인해 캐스팅된 사람들이 있을까 궁금해지는 대목이다.

 

책 전반부에는 이 서바이벌에 참가한 사람들의 모습이 상세히 그려진다. 내가 즐겨보던 프로그램들의 카메라 앵글이 어디를 비추는지 상상이 가면서 더 생생하게 느껴진다. 프로그램에 참가한 사람들이 설정된 서바이벌 게임에 참가하고 있는 것인지 아니면 리얼리티 쇼에 참가하고 있는 것인지 또는 정말 무슨 일이 생긴 것인지 구별이 잘 가지 않았다. 그래서 긴장하면서 계속해서 상황을 파악하려 애쓰며 책을 읽었던 것 같다.

 

주라는 닉네임을 가진 주인공 그녀가 11명의 다른 참가자들을 제치고 마지막까지 살아남게 되는데 그 과정이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어 그녀의 심리 상태가 어떠한지를 같이 살피면서 숨죽이며 책을 읽게 되는 묘미가 있었다. 하지만 책의 맨 처음 부분에 등장했던 편집자가 자신의 죽음을 암시하는 듯한 분위기를 이미 풍겼기 때문에 이 사람이 어떻게 될지 궁금한 마음을 갖고 책의 스토리를 살펴나갔다. 무슨 일이 생길 것인지를 예측해 보면서 말이다.

 

서바이벌 게임과 리얼리티 쇼라는 두 가지 장치를 결합해 놓은 이 책은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어디까지가 게임이고 어디까지가 쇼인지 그 경계를 알 수 없게 한다. 책을 보면서 나도 그 경계에 무척 혼돈을 겪었던 것 같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마지막까지 살아 남은 유일한 생존자이자 우승자인 주는 자신이 어떤 상황에 처해졌는지를 미처 깨닫지 못한다. 편집자와 프로듀서가 먼저 죽음을 맞이하게 되는데 이 쇼는 과연 누구에 의해 제작되는 것일까? 이제는 현실 자체가 일종의 쇼라고 보는게 맞을 것 같다. 반전이 숨어 있어 마지막까지 긴장하지 않을 수 없는 흥미로운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