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말 어원사전 - 알아두면 잘난 척하기 딱 좋은 ㅣ 잘난 척 인문학
이재운 지음 / 노마드 / 201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알아두면 잘난 척하기 딱 좋은~' 시리즈가 정말 교양서로써 최고인 듯 싶어요. 모르면 모르는대로 살겠지만 정말 알아두면 조금 유식해 보이기도 하고 책 제목처럼 좀 아는 척 할 수 있고 말이죠. 지난 번엔 철학에 대한 내용을 유익하게 읽었는데 이번에는 우리말의 어원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답니다.
평소 퀴즈 푸는 것을 좋아하는 편인데 퀴즈 프로그램을 가끔 보다보면 '다음 중 순우리말인 것은?' 또는 '순우리말이 아닌 것은?'이란 문제가 자주 등장하는 것을 봅니다. 그러면 그 중에서 저도 답을 열심히 찾아보는데 생각보다 우리말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아닌 경우가 많더라구요. 그런데 이번에 이 책을 읽으면서 퀴즈에 나왔던 단어들도 접하면서 왜 우리말이 아니었는지를 알게 되었답니다.
평소 늘 쓰고 있는 단어들이지만 그것이 왜 한자어인지 그리고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 모르고 쓴 단어들이 너무나도 많다는 생각에 이번 책을 읽으면서는 알아두면 잘난 척하기 딱 좋다는 것보다 부끄럽다는 생각도 많이 들었습니다.
점심처럼 우리가 하루에도 몇 번씩 사용하는 단어들의 뜻을 너무나도 모르고 있었더라구요. 불가에서 선승들이 시장기가 돌때 마음에 점을 찍듯 간식 삼아 먹는 음식을 뜻한다고 하네요. 마음에 점을 찍다라는 말을 어디선가 들어본 기억이 어렴풋이 나지만 정확히는 알고 있지 못했던 것이죠.
무엇보다도 우리 역사와 관련하여 지금 우리가 쓰고 있는 말이 유래되었다는 사실을 이 책을 통해 접하면서 우리말의 어원을 아는 것은 한편으로는 역사를 아는 것만큼이나 중요한 일이겠다는 생각이 들어 책을 정말 꼼꼼하게 읽지 않을 수가 없었답니다. 한편으로는 그냥 무심코 썼던 말이 그 유래를 알고 나니 조심해야 겠다는 생각이 드는 경우도 있더라구요. 저는 그 대표적인 것이 바로 깍쟁이였습니다. 현재는 뜻이 축소되어 이기적이고 얄밉게 행동하는 사람을 뜻한다지만 조선시대에 범죄자에게 얼굴에 먹으로 죄명을 새긴 다음에 석방했는데 이 사람들을 뜻한다고 하는 것을 보고 아무한테다 아무렇게 쓰면 안되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고조선부터 시대별로 유래된 단어들에 대해 이야기 들려주듯 짤막짤막하게 어원에 대해 알려줘서 재미있고 시대별 상황까지 잘 정리가 되는 듯 했고, 아울러 뜻도 모르면서 일상 생활에서 늘상 쓰는 단어들이 얼마나 많은지 알게 되었고 우리말에 대해 좀 더 관심을 갖고 알아야겠다는 생각을 많이 하며 읽었답니다. 다른 시리즈들도 찾아서 꼭 한 번 쯤은 읽어보고 싶어질 정도로 유익하고 매력적인 책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