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베르트의 과학노트 : 달걀 실험
제인 클라크 지음, 제임스 브라운 그림, 김영선 옮김 / 국민서관 / 2018년 10월
평점 :
절판


 

과학에 있어서도 실험은 아이들이 제일 좋아하는 분야가 아닌가 싶습니다. 아이들은 호기심이 많아 무언가 궁금한 것이 있으면 실제로 해보려고 하죠. 이 책에 나오는 알베르트처럼 말이죠.

 

알베르트는 증조 할아버지를 만나러 갈 타임머신을 만들기 위해 어떤 것으로, 어떤 모양으로 만들면 좋을지 여러번의 실험을 합니다. 사실은 엄마를 좀 더 행복한 시간으로 보내드리기 위한 계획도 포함되어 있죠.

 

상자마다 지팡이로 내리치며 어떤 것이 가장 튼튼한가 실험을 해보기도 합니다. 물론 양상추가 들어 있는 상자를 내리쳐서 양상추가 사방으로 튀긴 했지만요. 돔 모양을 생각하다가 달걀을 떠올리면서 본격적인 달걀 실험이 시작됩니다.

 



달걀이 어떻게 하면 높은 곳에서도 깨지지 않을지 본인이 생각하는 것은 다 해봅니다. 달걀 위에 체중을 실어보기도 하고 그 위에 엄마의 요리책들을 올려보기도 하고 결국엔 달걀이 다 깨지고 주방이 난리가 나긴 하지만요. 식빵을 이용해서 달걀을 안전하게 착륙시킬 수 있는 방법도 생각해봅니다. 랩도 감아보고 반찬고도 부쳐보고 뽁뽁이도 감아보고 다양하게 시도해보죠.

 

아이들의 호기심을 채우려면 인내심이 필요한가 봅니다. 달걀은 다 부서져 버렸고, 요리책은 달걀로 인해 다 붙어 버렸고 이웃집 아줌마네 정원으로 달걀이 떨어지는 것도 모자라서 평상시 알베르트 남매를 탐탁지 않게 여기는 아줌마 머리 위로 달걀이 떨어지는 대형 참사가 발생했으니요. 이런 것들을 그냥 두고 볼 수 없다면 아이들에게 마음껏 실험을 해보도록 하는 것은 어른 입장에서 결코 쉽지 않은 것 같아요.

 

알베르트의 달걀 실험을 보다 보니 학교에서 언젠가 달걀 자유 낙하 실험이라고 해서 그런 것들을 하는 것을 들은 적이 있는데 그 생각이 나더라구요. 물론 그건 학교 운동장에서 했다고 하는 것 같지만요.

 

부모로서 아이들이 마음껏 실험하고 호기심을 갖고 해보라고 격려하고 싶은데 어지러지는 것과 부서지고 하는 것들 때문에 현실은 그렇지 못하네요. 책을 통해서나마 간접적으로 달걀 실험을 아이가 흥미롭게 볼 수 있어 다행이에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