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토론 발표 34 - 학업과 학종을 위한 실전 가이드
김혜남 외 지음 / 지상사 / 2024년 8월
평점 :


2028 대입개편 발표에서 가장 눈에 먼저 들어온 것은 논.서술형 내실 평가 확대 부분이였다. 과목간의 벽을 허물고 개별 과목의 한정된 지식 암기 위주보다는 사회 과학 전반으로 다루며 논리적 사고 역량을 키우겠다는 의도가 담긴듯 했지만, 사실 아이들의 입장에서는 공부하고 신경써야 할 것이 더 늘었다는 것으로 밖에 들리지 않는다.
그렇다고 마냥 손 놓고 있을 수는 없는 법! 고교에 입학하기 전에 할 수 있는 것은 미리 준비해두고자 생각했다.
책에서는 토론 발표 능력은 논리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를 함양하는데 필수적이라고 말한다. 교과 수업이나 사고력 향상을 위해서도 사회 문제의 본질을 이해하고 분석 능력을 향상시키며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필수적인 요소라는 것이다.
그동안 아이가 해왔던 것은, 문학 ,비문학 독해 문제집을 풀이하는 것에 그쳤는데 이제는 지문으로 나온 내용 읽고 풀이하는 것에서 스스로 생각하고 조사하고 작성해서 토론과 발표까지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겠다.
책에서는 34가지 토론주제를 주제에 따라 나눠 하나씩 설명하고 있다.
청년 세대, 다문화 사회와 문화적 창의성, 자문화 중심주의와 문화의 사대주의, 페미니즘과 문하적 성평등과 같은 사회 및 문화적 변화에 대한 파트도 있고, 인공지능의 윤리적인 사용, 빅데이터와 경제학 같은 기술과 경제부분의 파트도 나온다.
주제에 대한 구성은 1. 주요 내용과 주장에 대해 알아보고 2. 토론 발표의 주요 질문과 쟁점, 3. 반론 제기 4. 대안 제시 5. 다양한 연관 발표 토론주제 로 나온다.
예를들어 생명 공학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을 이루고 있는 반면, 인간 생명, 유전자 조작, 환경 파괴 등에 대한 윤리적 문제에 대해서는 어떻게 고려해야 할 지에 대해 토론하는 과정에서 '생명 공학 기술의 윤리적인 활용 방법'과 윤리적 가치의 다양성에 대해 어떻게 대처 할 것인지 구체적으로 들어보고, 기술 발전이 윤리적 고려보다 우선시 되는 경우가 있는지 혹은 윤리적 고려로 인해 기술 발전이 제약 받을 수 있는지 반론하는 글을 읽어본다.
윤리 위원회 설립이나 전문가가 진행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이용해 윤리적 쟁점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등 대안을 생각해보고 관련된 연관 토론 주제도 찾아본다.
책을 읽다보면 어떻게 주장하고 반론 내용에 대비 해야할지 등에 대해 배우면서 토론 발표를 대비 할 수 있어서 좋았고, 꼭 토론 발표를 위한 책읽기가 아니라 다양한 시각에서 여러 의견을 들어 볼 수 있어서 좋았다.
아무리 열심히 책을 읽었다고 하더라도 쓰기와 말하기가 연결되지 않으면 대입논술 면접에 불리 해질 수 밖에 없다.
아이는 지난 학기에 학교에서 고령화와 안락사에 대한 내용을 작성 해야하는 글쓰기 수행 평가가 있었는데 그때 이 책을 미리 읽고 공부해 두었다면 훨씬 좋은 내용이 나오지 않았을까 싶도록 책은 주장해야 할 내용과 쟁점을 잘 짚어주고 있어서 좋았고 여름 방학을 이용해 정독을 권해봐야겠다.
[ 이 글은 출판사로 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경험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