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죽은 자의 녹취록 ㅣ 스토리콜렉터 112
미쓰다 신조 지음, 현정수 옮김 / 북로드 / 2024년 4월
평점 :

추리소설을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마음에 드는 작가를 만난다는건 매우 즐거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 작가의 전작까지찾아보며 더 오래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 찾아보기 시작한 작가가 바로 미쓰다 신조라 예전 작품도 함께 보고 있는데, 옛날 이야기를 읽는듯한 토속적인 느낌이 개성있게 느껴진다.
사실 추리소설을 더 좋아하는 편이라 호러 작가에 가까운 미쓰다 신조의 첫 소설을 읽었을때는 조금 유치하단 생각도 있었다. 하지만 작품을 계속 읽다보니 미쓰다 신조의 진가는 작품에 몰입하면 몰입 할 수록 공포스러운 기분이 더 전해 진다는 부분에 있다는걸 알게되었다.
이번 책은 픽션인지 작가 본인의 실제 경험담인지 알쏭달쏭한 설정도 독특한데, 비오는 날엔 생각나게 만드는 '우중괴담'에 이어 이번 '죽은 자의 녹취록'도 괴이와 양화라는 요소가 들어 있었다.
소설 속 작가이자 주인공인 본인은 작품의 소재를 모으던 중 비슷한 기획을 세우고 있는 사람이 있다는 소리에 논픽션 작가인 시마무라 나쓰로부터 기류 요시히코라는 작가를 소개 받게 된다.
본인는 '죽고 싶어 하는 장소'에 대한 기획을 구상중이였는데, 기류 요시히코가 생각하는 것은 '죽으려고 하는 사람의 육성'을 정리해서 한 권의 책으로 만들 생각하고 있었다. 이른바 '죽은 자의 녹취록'인 셈이다.
글을 쓰는 사람으로써 실제 상황을 생생하게 들을수 있다는 것은 꽤나 귀하고 신선했을것이다. 하지만, 실제 죽은자의 육성이 담긴 테이프는 제 아무리 호러작가라 하더라도 쉽게 소화 할 수 있는 내용이 아니였다.
....................여기............
..............................혼자..................................
무엇을...............................................................
.......................당신도 ..................................
........................안돼........................
..........................................편하게...................
......싫어.........................................돌아갈.................그만........................싫어................
...........................................
돌아갈 수 없어요...
진짜 이런 테이프를 듣게 된다면 어떤 느낌이 들까.
물론 이런 내용을 글로 읽는다면 처음에는 나처럼 '유치'하다는 느낌을 받을수 있다. 하지만 이런 내용도 실제라는 생각으로 분위기에 빠져 읽다보면 오싹한 느낌이 어느새 가까이에 와 있다. 이 작가의 책을 여러 권 읽어봤지만 내가 좋아하는 크게 한 방을 먹이는 전개나 충격적인 반전을 주는 줄거리는 거의 없었다. 다만 읽다보면 자연스럽게 상상되는 장면이 은은한 공포를 불러일으키는데 이것이 미쓰다 신조의 마력이라 느껴진다.
이 책에는 '죽은 자의 테이프 녹취록' 편 이외에도 다섯개의 단편이 수록되어 있다.
그 중 '빈집을 지키던 밤'과 '우연히 모인 네 사람'은 자주 보던 공포 영화의 장면들이 떠올라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다만 저는 첫 번째의 '죽은 자의 테이프 녹취록'이 문자 그대로 마중물이 되어서 다른 다섯 편을 불러들인 듯한 기분도 듭니다. p.351
사실 소설은 단편보다는 장편을 읽었을때 상황 설명이나 인물들의 성격을 파악하기 좋아서 몰입도가 좋긴 하다. 헌데 '우중괴담' 때도 그러했듯이 '죽은자의 녹취록' 역시 각자의 이야기를 하고 있는듯한 여섯개의 단편들이 마지막으로 가보면 하나로 엮여 있음을 알게 된다. 그래서 단편집이란 생각이 안든다. 그리고 뒤에 가서야 갑자기 사라진 기류가 보내 온 테이프 속의 기류 목소리를 주인공이 끝까지 듣지 않은 이유와 이 내용을 출판하기로 할때 순서를 고치지 않고 그대로 싣자는 이유가 설명되어서 소름이 돋는다.
바로 개울물, 바다, 빗소리 같은 '물'이라는 공통모가 있었던 것이다. 다시 우중괴담이 떠오른다. 비오는 날이 주는 차갑고 음산한 느낌 때문일까. 우중괴담에 이어 이 책을 읽는다면 그 공포가 배로 증가되어 더욱 재밌을 것이다.
다만, 아직 이런 분위기에 익숙하지 않다면 절대 비오는 날 밤 혼자 읽는 것은 피하는게 좋겠다.
그렇다면 나처럼 미쓰다 월드로 바로 직행하게 될 것이므로.
[ 이 글은 출판사로 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경험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