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기회를 잡는 사람들 - 포스텍 AI전공 박사의 미래전망
장민 지음 / 알투스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Chat GPT에 대한 관심이 뜨거워서 본인도 관심을 갖고 있던 차에 우연한 기회가 되어 읽게된 책이다.

저자분께서는 공학 박사님이시라 AI의 기술적인 원리에 대해서도 책 초반부에 상당부분을 할애하여 써주셨다. 공학기술적인 부분에 대한 이해가 어느정도 있으신 분들에게는 낯설지 않았겠으나 본인같이 그렇지 못한 사람들에게는 좀 낯선 느낌이 있었다. 그래도 배운다는 마음가짐을 가지고 하나하나 읽어나가다보니 또 뭐 그렇게까지 이해못할 영역같지는 않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결코 쉽지만은 않았던 초반부를 지나고 중반부 이후부터는 초반부에 나왔던 AI기술을 바탕으로 Chat GPT에 대한 본격적인 실사용예시들이 등장한다. 여기서 이루 다 말할수는 없지만 Chat GPT가 너무나도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고나서 이것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각 사람마다 향후 미래의 경쟁력이 엄청나게 달라질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단순한 예로 학교나 직장에서 엑셀 프로그램같은 것을 얼마나 능숙하게 다루느냐에 따라 그 사람의 업무 생산성의 높고 낮음이 결정되는 것과 유사하게, 앞으로 Chat GPT를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가 개인이나 기업이 아웃풋을 내는데도 커다란 차이를 만들수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책 내용에서 Chat GPT 를 잘 활용하기 위한 여러가지 노하우들이 나오는데 가장 핵심은 질문을 구체적으로 해줘야한다는 것이었다. 질문을 구체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Chat GPT 를 이용하는 사람이 해결하고자하는 문제에 대해 정확히 파악하고 있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개인적으로 독서능력이 뒷받침이 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해보게 되었다. 독서를 통해 맥락을 파악하는 능력이 탁월하다면 이를 바탕으로 핵심을 꿰뚫는 날카로운 질문을 Chat GPT 에게 던질 수 있게 될 것이고 자연스럽게 질문자가 얻고자했던 정보들을 빠르고 정확하게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Chat GPT 의 시대에도 독서의 중요성은 더 커지면 커졌지 결코 작아지진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후반부에서는 Chat GPT 와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는 법적이슈와 윤리적인 문제들에 대한 논의가 나온다. AI가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저작권 침해문제, Chat GPT를 통해 획득한 결과물은 과연 누구에게 저작권이 귀속되는게 맞는 것인가에 대한 논의들이 대표적인데 이 부분을 읽으면서 저작권 관련된 법적 제도적 정비가 빠른 시일내에 이루어져야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직은 법적으로 Chat GPT 를 통한 창작물과 관련하여 구체적인 규제나 제재수단이 확실하게 정비되어 있지 않은데 향후 시간이 지나서 Chat GPT를 쓰는 사람이 많아지게 되면 기존에 저작권을 갖고 있던 사람들이 손해를 보게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뒷 부분에 본인이 봤을땐 근본내용이 겹치는 부분같은데 그것을 장황하게 다른 말로 풀어 써놓은 듯한 느낌을 받아서 약간 아쉬운 마음에 별하나를 뺐는데 그거 말고는 전체적으로 본인같은 Chat GPT 입문자들에게 아주 좋은 입문서 역할을 할 수 있는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 책 덕분에 Chat GPT 에 대해 어느정도 친숙해질 수 있게 되어서 저자분께 감사드리며 리뷰를 마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필드 2023-05-22 17:02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오히려 chat GPT를 사용하기 위한 공부가 지속적으로 필요할듯 하네요 좋은 리뷰 감사드립니다 ^^ 무작정 사용하기 보단 핵심을 간파하는 통찰력이 필요하겠군요

즐라탄이즐라탄탄 2023-05-22 19:07   좋아요 2 | URL
예 그렇습니다. 챗GPT를 제대로 사용하려면 이용하는 사람도 자신이 궁금한 것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챗GPT로부터 바람직한 대답을 이끌어 낼 수 있을듯 합니다. 챗GPT가 아무리 똑똑하다고 해도 구체적인 단서가 없다면 질문한 사람의 생각을 온전히 읽어낼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을 조금 덧붙이자면 인간의 경우 다른 비언어적인 수단으로도 커뮤니케이션이 되는 경우가 있지만, Chat GPT 의 경우 질문에 포함된 언어적인 것만을 단서로 하여 질문자와 의사소통하는 것이라 비언어적인 것까지 고려해서 의사소통하는 것에는 아직 한계가 있는 것처럼 느껴졌습니다.

이러한 한계로 인해 질문을 구체적으로 해야 바람직한 답을 얻을 수 있다고 하는 말이 나온것 같습니다. 이에 따라 구체적인 질문을 위해서 핵심을 간파하는 통찰력이 이용자들에게 필요한 셈인거죠.

저도 대댓글을 달면서 생각이 좀 정리되는 느낌을 받네요. 가필드님 덕분에 저도 뭔가 배움의 뿌리가 좀더 깊게 내릴 수 있게 된 듯합니다. 댓글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