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이 마차를 타고 가더라도, 고삐를 쥔 쪽이 목적지를 정하는 법이다.

"원래 이슈 같은 건 누군가가 만들어내는 법이거든."

원래 승자가 되면 모든 일에 관대해지는 법이거든

"잘난 놈은 너무 날뛰게 두어서는 안돼. 그렇게 뒀다간 기어코 내 머리 위까지 기어오르려 들거든"

기업은 덩치가 클수록 강력한 시장 지배력을 발휘한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Jeremy 2023-05-13 15:0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원래 승자가 되면 모든 일에 관대해지는 법이거든.˝
뭔가 굉장히 의미심장,
맞기도 하고 틀린 것도 같은.

미국은 살다보면 Winner-takes-all,
거의 승자 독식의 사회처럼 느껴지는데
그 규모와 파이가 워낙 크다 보니까
최고위 승자가 사회 전복을 방지하려고 ‘옛다 나눠 먹어라,‘
관대한 척, 나눠주는 부스라기로 나머지 모든 사람들이
무한 경쟁하는 사회 같기도 하거든요.

즐라탄이즐라탄탄 2023-05-13 18:31   좋아요 1 | URL
책을 읽다보면 본능적으로 밑줄을 그어놔야겠다 싶은 문장들이 있는데 저도 이 문장이 딱 그랬던거 같습니다.

소설 속에선 어떤 금전적 이득과 관련이 있는거로 나오는데 제 개인적으로는 반드시 금전적인 것이 아니더라도 승자가 되면 어떤 마음의 여유같은게 생겨서 다른 일이나 다른 사람들에게 관대해질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제가 미국에 살아보질 않아서 잘은 모르지만 Jeremy 님 써주신 글 읽으면서 문득 Pareto rule이 머릿속에 떠올랐습니다. 사회의 전체 부의 80%를 상위 20%의 사람들이 차지하고 있다는 건데 올려주신 글을 보니 미국의 부의 분배도 이 Pareto rule이 예외없이 적용되는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모르긴 몰라도 한국도 별반 다르진 않을 겁니다.)

댓글로 남겨주신 ‘옛다 나눠 먹어라‘는 말씀이 공감이 많이 되네요. 회사 안에서도 보면 위에 높으신 분들은 연봉이 수십억 단위인데 말단 사원들은 몇천만원 정도 주면서 온갖 일들을 하는게 현실이니까요.. 일하는 시간대비 가져가는 몫이 현저히 차이나는게 현실이고 이 사회라는 생각이 듭니다. 제 개인적인 견해로는 당연한 얘기일수도 있겠지만 자본주의사회에서 돈 많이 벌라면 노동자만 해서는 부족하고 업종불문하고 사장을 해야 그나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근데 사장도 사장 나름인게 잘되면 괜찮은데 안되면 쪽박차는 risk가 너무 커서 다들 사장해서 돈 많이 벌고 싶은 마음들은 있어도 risk때문에 섣불리 나서지 못하는듯 합니다. 소위 쪽박 risk를 take 하여 그걸 뛰어넘는 사장이 되어야 대박을 치는 부자의 길로 들어갈 수 있을 듯 합니다.

어찌보면 이런 risk를 take한 사장이 자기가 사업에서 성공하면 그 risk take 한 댓가를 승자 독식으로 거의 다 가져가고 함께 일한 노동자들에게 일부 나눠주는 그런 관점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해봅니다.

즐라탄이즐라탄탄 2023-05-13 18:4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윗 댓글 달고나서 뭔가 2% 부족느낌이 들어 생각하다보니 인간의 욕심이 끝이 없어서 돈을 아무리 많이 벌어도 저 문장처럼 관대해지기는 커녕 더 돈에 집착하는, 욕심에 한도가 없는 관대하지 못한 사람도 현실에서는 많다는 생각도 듭니다. 그래서 Jeremy 님도 반신반의 하신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Jeremy 님 덕분에 저도 이 문장을 다시금 곱씹어보게 되네요. 이렇게 생각을 공유하다보면 제가 미처 생각이 미치지 못했던 부분까지도 더 생각할 수 있게 되어서 참 좋은것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Jeremy 2023-05-14 06:2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님의 너무 성의 있는 답글 감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