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샨과 치히로 중국 아동문학 100년 대표선 11
쉐타오 지음, 전수정 옮김 / 보림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국의 항일전쟁 당시, 동북 관수이 지역을 배경으로 소년 만샨과 항일 무장군대 '항련'의 투쟁을 그린 역사 동화다.

실제 역사적인 사건에 이야기 전개가 긴박하고 흥미로워 기대했던 것보다 아주 재미나게 만족하며 읽었다.

또한 소설 속 상황도 낯설지 않아 우리와 비슷하게 항일투쟁을 겪는 중국인들의 구국의지가 묘한 공감을 불렀는데 이 책을 읽는 아이들은 자신들 또래인 주인공을 통해 공감의 폭을 넓힐 수 있겠단 생각이 들었다.

 

일본군의 침략으로 관수이 역은 일본군의 근거지가 된다.

만샨은 자기가 공들여 만든 여치 집과 여치를 일본인 가노 역장에게 빼앗기자 그것을 되찾으려 고군분투한다.

만샨이 항련의 꿈을 품게 된 것도 따로 투철한 의식이 있었던 것이 아니라 자신의 친구인 여치를 되찾으려는 데 있었다.

기차역에 불을 지르고 일본군들이 순찰하는 기찻길에 허수아비를 만들어 일본군들을 골탕 먹이기도 하고 직접 일본군을 염탐하며 새로 커다란 새총과 볏짚더미를 만들면서 만샨은 항련이 되려는 꿈을 키운다.

자기가 한 일을 으스대고 동네 친구들과 어울려 우리집에 왜 왔니 놀이를 하는 걸 보면 영락없는 어린아이지만 자기 생각을 굽히지 않고 하려고 계획했던 것들을 실천해가는 모습은 만샨이 얼마나 영리하고 당찬 소년인지 잘 보여준다.

 

만샨의 활약을 쫓다 보면 항련이 되어가는 한 소년의 의지변화와 시대적 상황이 눈에 보이는 듯 그려졌다.

그리고 주인공인 만샨 뿐만 아니라 주변 인물들의 행보를 통해 개인의 삶과 역사가 서로 얼마나 긴밀한지 느껴졌다.

일본군에게 통역을 하며 일본군 앞잡이라고 사람들로 부터 질타를 받던 하이추안 외삼촌은 매국노가 아닌 구국회의 일원으로 장렬한 죽음을 맞고 어리숙하면서도 만샨의 단짝이었던 샤오다오는 일본인 교장선생님의 그릇된 행동에 반기를 들며 그들을 반성하게 만든다.

만샨과 티격거리던 이웃집 아저씨 두안우는 유능한 항련의 지도자로, 자신의 아들을 대신해 죽음을 선택한 쿠이 할아버지는 마을사람들에게 항일의지를 북돋게 한다.

그리고 중국의 아이들에게 일본의 국민훈장과 즉위조서를 강요하며 정신을 마비시키는 것이 전쟁의 다른 방법이라 생각했던 고이즈미 교장은 샤오다오의 죽음을 통해 쉽게 범치못할 아이들의 순수한 마음을 보게 된다.  

 

이 책을 보면서 전쟁의 피폐함과 위험 뿐만 아니라 전쟁이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일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군인이라는 신분으로 낯선 타국땅에 왔지만 장난감 팽이를 보고 아들을 그리워하는 일본군 병사나 역장인 아빠를 따라 관수이에 왔다가 결국 기차역 폭파사고로 아빠를 잃고 홀로 일본으로 돌아가는 나오코를 보자면 그들이 만샨과 중국의 적이 아닌 그냥 순수한 한 아버지이자 친구일 뿐이었다.

특히 만샨과 샤오다오가 나오코를 만나 거리낌없이 우정을 나누다가 샤오다오가 죽음에 이르는 장면은 전쟁이란 것이 얼마나 부질없는지 크게 느껴진다.

전쟁에는 모두가 희생자일 뿐이다. 

주변인물 말고도 자연계의 식물과 동물 모두 공포와 고통을 경험함을 이 책에서는 여치나 달, 동네의 개들을 통해 그들의 시점으로 재미나게 쓰고 있다. 

군견이었지만 결국 자연으로 돌아간 치히로처럼 전쟁이 끝나면 모두가 본래의 삶으로 돌아가게 될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그랬듯 전쟁의 고통과 공포, 그리고 가족, 친구와의 이별은 그대로 고스란히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