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풍
존 버닝햄 글.그림, 이상희 옮김 / 토토북 / 2013년 12월
평점 :
[야, 우리기차에서 내려!], [지각대장 존], [검피 아저씨의 뱃놀이], [깃털없는 기러기 보르카], [알도], [내 친구 커트니]
책 제목만 들어도 떠오르는 이름, 바로 존 버닝햄이다.
존 버닝햄은 외국작가지만 그림책에 관심있는 이들에게 가장 친숙하면서도 개성있는 작가로 손꼽힌다.
이 책에는 함께 어울려 즐기는 소풍날의 에피소드를 담고 있는데 이전에 그의 다른 작품들보다 좀 더 밝고 명랑한 느낌이다.
노란 해가 반짝!
따스한 파스텔톤의 표지그림과 커다란 제목글에 따사롭고 맑은 봄기운이 느껴진다.
그리고 본문의 페이지마다 밝은 노랑이나 초록색을 쓰고 있어 저절로 봄이란 생각이 든다.
정말 화창한 봄이면 집에 가만 있지 못하고 어디든 도시락 싸들고 소풍가고 싶은 날이 있다.
언덕 꼭대기집에 사는 남자아이와 여자아이에게도 그런 날이었나 보다.
갑자기 도시락을 만들어 소풍에 나선 아이들은 도중에 양이랑 돼지랑 오리를 만나 함께 가자 한다.
신나는 발걸음으로 소풍가는 이들 뒤로 갑자기 커다란 황소 한 마리가 쫓아온다.
황소를 따돌리기 위해 일행 모두는 숲으로 달려가 숨고..
그런데 겨우 황소를 피하고 나니 다시 예기치 않은 일들이 벌어진다.
바람결에 양의 모자가 날아가는가 하면 돼지의 축구공이 굴러 내려가고 오리는 목도리를 잃어 버린다.
그때마다 반복되는 물음표..
'어디에 있나요?'
자연스레 책을 보던 아이들도 책 속의 아이들, 오리, 양, 돼지와 함께 그림을 살피며 찾기놀이에 빠지게 된다.
자리를 찾아 맛있게 점심을 먹고 공놀이를 하면서 이들은 소풍을 즐긴다.
책을 보며 초등학교때 소풍을 무척 설레며 기다리고 또 소풍날 재잘거렸던 기억들이 떠올랐다.
엄마가 싸주신 도시락 가방을 매고 학교를 가는 발걸음이 얼마나 가벼웠던가?
소풍가선 친구들과 노는 게, 함께 집으로 돌아오는 길이 마냥 좋았더랬다.
지금의 나가 아니라 그 시절의 나, 우리 아이들에게 소풍은 이런 신남일 것이다.
소풍에 지쳐 돌아와서도 아이들은 헤어지기가 아쉬웠는지 양과 오리와 돼지에게 자고 가라 한다.
우리집 아이들이라면 감기는 눈을 부릅뜨고 놀자할 것인데
놀이에 지친 남자아이와 여자아이, 오리, 돼지, 양은 포근한 잠에 빠진다.
처음 존 버닝햄의 그림책을 접한 건, 육 년 전쯤, [검피아저씨의 뱃놀이]를 통해서였다.
그때는 설렁설렁 서툴게 그린 것같은 그림이 별로 맘에 들지 않아 책을 잘못 샀나 싶었다.
하지만 아이들과 그림책을 읽어 오면서 그것이 그만의 독특한 그림체라는 걸 알았고
또 아이들은 그가 가진 상상과 재치를 즐겁게 알아내는 재주가 있다는 것도 알았다.
이 책에서도 존 버닝햄 그만의 스타일이 느껴진다.
정교함보다는 펜으로 슬쩍 그린 듯한 그림체와 이야기의 반복이 그렇고 아이들과 동물들이 주인공으로 등장해 어울리는 것도 그렇다.
아이들과 동물 친구들은 즉흥적인 만남에도 망설임없이 다가가 서로 함께 어울리는 모습을 보여준다.
또 일이 뜻대로 되지 않는다고 해서 누구 하나 짜증을 내거나 원망하는 법도 없고 여유롭고 즐겁게 위기를 헤쳐나간다.
볼수록 더 깊은 의미를 찾게 하는 것도 존 버닝햄 그림책의 재미이자 매력인데
퍽퍽한 요즘에 너무 얽매이지말고 조금 더 여유롭고 즐겁게 상황을 풀어가라는 삶의 지혜처럼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