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민 선생님이 들려주는 고전 독서법 진경문고
정민 지음 / 보림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전 독서법'

책 제목만 두고 보자면 웬지 딱딱한 고전을 이해하며 읽도록 돕는 '독서 안내서' 같은 분위기를 풍겼다.
하지만 머리말을 읽으면서 그것이 내 성급한 판단이었음을 알았다.
'고전 독서법'이라는 제목보다 '고전적인 책읽기' 혹은 '우리 선조들의 독서법'이라 이해하면 더 쉬울 거 같다.

 

한양대 국문과 정민 교수님이 아들 벼리에게 이야기를 들려주는 방식으로 쓰여진 이 책은 조선시대 우리 선조들이 책과 독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했는지 그들이 남긴 고전문헌을 인용해 세심하고 자상하게 설명하고 있다.

책이란 무엇일까?

처음 시작하는 책이야기에는 과거 책의 형태와 재료 등에 관해 소개하고 책이 얼마나 귀했는지 알려준다.
또 선인들이 얼마나 책을 소중히 대했는지 연암 박지원의 글을 인용해 소개하고 있는데..
'책 앞에서는 하품하지 말고 지지개를 켜도 안 된다. 책에 침이 튀어도 안 된다. 재채기나 기침을 할 때는 고개를 돌려 책에 묻지 않도록 해라.....'
선비로서 지켜야 할 책에 대한 예의는 그 뒤로도 많았다.   
그야말로 '극진히'란 말이 실감났다.

권장도서, 필독도서, 추천도서..  아이들과 책을 읽다보면 자칫 많이 읽기에 기울어질 때가 있다.
책의 두 번째 장에서는 책을 어떻게 읽어야 할까에 대한 이야기다.
많이 읽을 것인가, 깊이 읽을 것인가.. 하는 본질적인 질문을 시작으로 구체적인 답안도 제시한다.
그 답은 많이 읽을수록 좋은 책은 많이 읽고 꼼꼼히 읽어야 할 책은 꼼꼼히 읽으라는 것이다.
우리는 자신이 좋아하는 책도 기껏 서 너 번 읽기나 할까?
독서광이었던 조선시대 문인 김득신은 사마천의 [사기]에 실린 '백이열전'이란 글을 좋아해 평생 1억 1만 3천 번을 읽었다고 한다.
'책의 홍수시대'라 불릴 만큼 책읽기 열풍에 빠져 있는 우리에게 부족한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책을 읽어야 하는지 생각해 보게 하는 대목이다.

 

꾸준히 읽고 소리내어 읽고.. 읽으면서 기록을 하고 통째로 외우고 메모하는 습관을 가져라, 의심하고 의문을 풀어라 등..
책에 실린 고전 독서법은 현재의 독서법이나 공부법과 별반 다르지 않았다.
우리 선조들의 일화나 고전 문헌 등을 통해 그들이 품었던 생각과 가치관 등을 더 친근하게 만날 수 있었다.
정약용, 박지원, 이덕무, 박제가, 김득신 등 아무래도 우리에게 더 낯익은 이들의 이야기는 친숙한 느낌으로 더 흥미로웠고 여러 선인들의  독서법이나 고사의 유래 등은 신선하고 좋았다.
책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깨달음 뒤에 실천을 장담할 순 없지만 앞으로의 책읽기가 산 독서가 되기를 내 자신에게 희망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