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양 1770년 작은 역사 1
정승모 글, 강영지 그림 / 보림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들과 나들이를 했던 곳중에 다시 가고 싶은 곳은 경복궁이다.
경복궁 일대에는 인사동, 북촌, 피맛골, 종각과 종묘 등이 있는데 옛지명 만큼이나 옛 역사를 느끼고 배우기에 좋은 곳이다.
얼마 전 인사동에 다녀오면서 경복궁 앞을 지나쳐 오는데 아이들이 몇 번 보았다고 광화문 광장과 경복궁 안의 경회루를 말한다.
역시 아는 만큼 관심도 자라는거 같다.
그런데 아이들과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궁금한 것이란 별것이 아니다.'옛날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지금 이 큰길이 옛날에도 길이었을까?', '이곳에서 무슨 일을 했을까?', '옛날 아이들은 무엇을 하고 놀았을까?'
이런 사소한 궁금증까지 해결해줄 책이 바로 [한양 1770년]이다.
책의 제목처럼 이 책은 지금으로부터 242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1770년 한양을 알려준다.
 

책의 처음은 조선의 서울인 한양의 시대상과 세계 정세를 소개하며 시작된다.
조선은 농사 기술이 발전하였고 동시에 상업과 수공업이 발달하면서 농촌을 떠나 한양으로 이주한 사람들이 많았다 한다.
그래서 십만 명에 가까웠던 한양의 인구는 이 시기에 이십만 명을 넘어섰고 당시 조선의 임금은 영조로 조선의 황금기이자 변화의 시대를 맞았다고 전한다.
가까운 중국 청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나라가 되어 서양과도 활발한 교류를 하게 되었고 프랑스는 시민혁명이 일어나 공화정이 세워지는 시점이었고 유럽은 영국의 제임스 와트가 증기기관을 개선하면서 산업혁명을 이루게 된단다.
이렇듯 전반적인 시대상황 다음으로는 한양의 지도가 실려 있다. 
남대문, 종묘, 경복궁, 종각, 북촌, 경희궁, 종로, 피맛길, 광나무, 혜화문 아이들이 가 보았거나 들어봄직한 곳을 손가락으로 짚어가며 찾아 보는데 지도에 따로 22곳이 번호로 표시되어 있고 따로 번호대로 지명이 소개되어 있다.
이 표시된 22곳은 바로 조선시대 한양의 생활사와 역사를 소개하는 공간이 되고 1770년 정월대보름 전날부터 정월대보름 밤까지는 시간이 되어 조선 한양의 정월대보름날 이야기가 이어진다.

낙산 아래 동네에서는 정월대보름 전날인 작은 보름날 아이들이 제웅을 달라 외치는 소리가 가득하다.
당시에는 액막이로 짚으로 허수아비를 엮어 머리통에 동전을 집어 넣어 길에 내다 버렸는데 이것이 바로 제웅이란다.
인정과 파루로 통행금지를 알리면 사대문은 한성부가 지키고 도성 안팎은 순라군들이 순찰을 돈다.
다시 아침이 오면 사람이 많이 사는 한양으로 장사꾼들이 몰리고 남산 기슭에 사는 박생원은 정월대보름날 아침 약밥과 묵은나물, 복쌈을 먹는다.
백성들은 정월대보름을 즐기지만 조선 21대 임금 영조는 경희궁 흥전당에서 신하들과 나랏일을 의논하느라 아침 일찍부터 바쁘다.
주로 높은 벼슬을 한 양반들이 살던 북촌마을에는 솟을대문이 있는 양반집들이 즐비하고 운종가라고 불리는 종로 시전은 한양에서 가장 번화한 거리다.
연암 박지원은 백탑아래에 살며 선진 문물을 받아들여 조선 사회의 모순을 개혁하자 하고 있었고 인왕산 기슭 장동에 사는 김판서는 겸재의 그림을 손에 쥐고 기뻐하고 있다.
오늘날에도 그렇지만 한양 여인들도 유행에 민감해 한 뼘도 안되는 짧은 저고리에 풍성하게 부풀린 치마를 입고 머리는 가발을 넣어 풍성하게 꾸미곤 했다. 그리고 한양 여인들 사이에 소설책 열풍이 불어 소설책을 읽느라 밤을 새우기도 했다고 한다.   
임금이 살던 궁궐에 대한 세세한 설명은 물론 이 책에는 한양 뒷골목의 풍경도 소개한다.
수표교 옆에는 이야기꾼이 있고 종로일대 개천 북쪽으로는 장인들이 일하는 공방이 있다. 개천가에는 사당패가 노래를 하고 있고 해 질 녘 도성 밖 만리재에서는 돌싸움이 벌어지고 송파장에서는 흥겨운 산대놀이가 펼쳐진다.
통행금지가 없는 대보름날밤 송파장에서는 흥겨운 산대놀이가 한창이다. 대보름 둥근달이 뜨면 한양사람들은 모두 거리로 나서고 밤새도록 다리밟기 하는 이들이 통행금지 없는 이 날을 즐긴다.

이렇듯 [한양 1770년]에는 1770년 조선의 임금에서부터 궁에서 일하는 사람들, 양반과 상인, 양반집 아낙네와 여리꾼과 거지까지 다양한 사람들의 삶을 추적해 소개한다.
그리고 고을마다 어떤 특색을 찾아 궁궐구조나 양반집, 신분제도, 서민의 가족구성과 의식주, 세시풍속에과 예술작품등에 관련한 일체의 것들을 보여주고 그림자료나 정보가 많아 한가지 주제를 정해 천천히 살펴봐도 좋겠다.
물론 발품을 팔아 그들이 걸었던 길을 걸으며 느껴보는 것도 한양을 알아가는 좋은 방법이겠고..  
이 책의 재미는 글도 글이지만 옛서책처럼 짜여진 책 편집과 옛 풍속도나 도록같은 그림이 재미를 더한다.
아직 초등저학년인 우리 아이가 혼자 읽기엔 벅찬 부분이 많았지만 그림을 통해 혹은 단편단편 주제를 찾아 역사를 알아가기에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