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리가타 - 장로니게경 - 우리말빠알리대장경 쿳다까니까야
전재성 지음 / 한국빠알리성전협회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기 불교에서 여성들의 위치와 생각을 엿볼 수 있는 흥미로운 책이다. 여자의 지혜는 손가락 두마디 정도이므로 깨달을 수 없다는 악마의 말에 마음을 집중하는 자에게 진리가 보인다면 성별이 무슨 상관이냐고 대꾸하며 악마의 패배를 선언하는 구절이 특히 통쾌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산 정약용 평전
김삼웅 지음 / 두레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첫째, 정조 시대에는 정조라는 개혁 군주와 훌륭한 신하들이 많았는데, 왜 정조의 죽음으로 개혁정치가 무너지고, 하루아침에 다시 수구세력에 권력이 넘어가는가?
둘째, 조선 사회가 두 차례 호란을 겪은 뒤 극심했던 ‘북벌론’에서 ‘북학론’으로 어젠다가 바뀌고, 이런 과정에서 ‘성호 이익의 중농학파→연암 박지원의 이용후생파→다산 정약용의 경세치용파’로 이어지면서도 이들 실학파가 정치세력의 중심이 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
셋째, 다산은 “조선인으로서 조선 시”를 지어야 한다고 누누이 역설하면서도 정작 본인은 500여 권의 저술 중 시 한 편도 한글로 짓지 않았는데, 그 배경은 무엇인가? 또 정조의 ‘문체반정(文體反正)’에 적극 호응하고 더욱 강경하게 대응하도록 촉구한 것은 왜인가?
넷째, 긴 유배 생활 동안 다산이 집필한 책이 동학군 지도자들이 읽고 동학혁명의 이론적 지침이 되었다고 하고, 또한 동학혁명기 동학군은 ‘다산비결’이라는 문건을 품속에 지니고 다녔다는 설도 전해지는데, 이 이야기들에 대한 실상은 무엇인가?
다섯째, 정약용의 집안은 우리나라 천주교의 발상지라 할 만큼 천주교와 인연이 깊다. 그런데 천주교 박해가 시작되자 천주교를 버리고 가족들을 고발한 것으로 알려진 다산은 과연 배교자인가 아닌가? 그 진실은 무엇인가?
여섯째, 그의 수많은 저술 중에 후대에 유독 『목민심서』와 『흠흠신서』 등만 널리 알려지고 읽히게 된 배경은 무엇 때문인가?
일곱째, 강진 유배지에서 18년 동안 책 500여 권을 저술했으나 귀양이 풀려 고향에 돌아와 18년을 더 살면서는 「자찬묘지명」을 짓고, 『흠흠신서』와 『매씨서평』 등을 수정하고, 이가환·정약전·권철신 등의 묘지명을 짓는 것 외에는 별다른 저작을 남기지 않았는데, 왜일까?
여덟째, 그의 호는 사암(俟菴), 탁옹(籜翁), 태수(苔叟), 자하도인(紫霞道人), 철마산인(鐵馬山人), 열수(洌水), 다산 등 여러 가지였고, 생전에 그는 다산이라는 호를 저술에 명기하지 않았고, 사암과 열수라는 호를 주로 사용했다. 「자찬묘지명」에도 ‘사암’이라는 호를 썼는데, 왜 후대에 이르러 열수나 사암 대신 다산이 호로 쓰이게 되었을까?
아홉째, 정약용이 강진 유배 시절에 정을 나눈 여인과 그 사이에서 태어난 딸이 있다는 이야기가 있다. 이 여인의 심정을 담은 시 <남당사>는 누가 지었으며, 인륜대사를 다산은 왜 모른 체했을까?

그러게 왜 그랬지? 왜 그랬을까?를 연발하며 책 소개글을 읽었다. 다산 정약용에 대해 극히 일부만 아는 나도 이렇게 궁금한 부분을 이렇게 시원하게 정리해주시다니 저절로 구매버튼이 눌리네. 김삼웅 선생님 책을 손에서 떼지 못하고 밤새 읽었던 기억이 여전히 남아 있어 더욱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축의 시대 - 종교의 탄생과 철학의 시작
카렌 암스트롱 지음, 정영목 옮김 / 교양인 / 201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요한 것은 무엇을 믿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행동하느냐였다. 종교의 핵심은 깊은 수준에서 자신을 바꾸는 행동을 하는 것이다.
이것은 스스로 변화할 각오를 해야 한다는 뜻이었다.
모든 현자들이 공감과 자비의 영성을 설교했다.
축의 시대 현자들에게 종교란 정통적인 믿음이 아니라, 모든 존재의 신성한 권리를 존중하는 것이었다.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에게 친절하고 관대하게 행동하면 세상을 구원할 수 있다.
우리는 우리 자신의 나라로부터 멀리 떨어진 나라에 사는 사람들을 자기 자신처럼 중요하게 여기며 살아야 한다.

종교에 대한 막연한 반감을 처음으로 들여다보게 한 책이자 종교 관련 서적을 부담없이 들게 만든 책이고 알고 보니 내가 그 책들을 좋아한다는 걸 깨닫게 해 준 책. 흐름이 긴 책이라 여유를 갖고 시작해야 하지만 머리말은 언제든 부담없이 펼칠 수 있다. 다시 봐도 참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리스 사유의 기원 살림지식총서 49
김재홍 지음 / 살림 / 200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리스가 사유가 철학이 뭐냐는 딸에게 이런저런 이야기를 해주다 지금 세상의 많은 것이 거기서 시작되었는데 그렇게 훌륭한 사람들이 여자는 사람이 아니라고 생각했다고 하니 아이가 대뜸 그게 문제네 하고 말해서 빵 터졌다 ㅋ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선시대 여성과 한글 발전
김슬옹 지음 / 역락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장 적극적으로 한글을 나누었던 조선 여성들의 이야기는 더 조명되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