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화의 수수께끼를 풀다 - 문화 상대주의로 세상을 바꾼 인류학의 모험가들
찰스 킹 지음, 문희경 옮김 / 교양인 / 2024년 12월
평점 :

☆ 출판사에서 제공받아, 자유로운 느낌으로 써 내려간 내용입니다.
' 문화인류학 '과 ' 보아스 학파 '는 나에게는 생소한 단어이지만, 문화상대주의라는 개념은 살아오면서 정말 많이 들어왔다.
현대의 우리들에게는 너무도 당연하게 여겨지고 있는 이 '문화상대주의' 라는 개념이, 한세기 남짓 전만 해도 굉장히 파격적이고 논란의 여지를 불러 일으킬 만한 주장이었는데, 이 개념의 근간에는 보아스와 그의 뛰어난 4명의 여성 제자들이 있었다.
독일계 유대인인 문화인류학의 창시자 보아스가 생각했던 미국은 평등의 나라였다. 미국에서만큼은 유럽에서와 같은 민족주의적 갈등을 겪지 않을 꺼라 생각했지만, 그 곳에서는 오로지 '백인'과 '백인이 아닌 인종'으로만 구분할 정도로 인종적 편견이 뿌리깊이 자리잡고 있었다. 인종차별주의자 중 한 명인 그랜트가 쓴 책은 히틀러의 반유대주의 정신의 기반이 되었다고 하는데, 나치의 인종차별법안인 '뉘른베르크법' 이 미국의 법을 모방했다는 사실은 이 책을 통해 처음 알게 된 사실이다.

보아스와 제자들은 북극의 이누이트 마을, 서인도제도, 아메리칸사모아제도 등 다양한 곳에서 생활하면서 현장에서 직접 체험하고 연구한 결과, 인류는 하나의 종이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어느 분야든, 어느 세계든지간에 선구자들은 큰 고난과 위험을 감내해야만 하는데, 그 당시에는 상상조차 할 수 없는 급진적인 이들 보아스 학파의 인물들 또한 직장도 잃고, FBI의 감시까지 받게 되고, 히틀러는 정권을 잡은 후 보아스가 쓴 책을 가장 먼저 태웠다고 한다.
저자는 이러한 보아스와 4명의 여성 제자들의 편지, 주변인들의 증언, 기고문, 연구노트 등을 바탕으로 그들의 치열하고 용감한 투쟁기를 한 권의 책으로 엮어냈다.
책의 분위기는 전기문 형식을 띄고 있는데, 이야기 형식으로 되어 있어 어렵지 않게 읽힌다. 보통, 인물에 대한 언급 부분에서는 항상, 이들은 어떤 모습의 인물이었을까..궁금하기 마련인데, 이 책에서는 인물 사진도 적재적소에 배치되어져 있다.


보아스는 말할 것도 없고, 특히나 그 시대에 여성으로써 더군다나 평범한 여성이 아닌, 유색인종이거나 성소수자인 여성제자들이 그 모든 편견과 비난, 위협에 굴하지 않고 보아스 학파를 이끌고, 오늘날에까지 큰 영향을 미치는 문화상대주의라는 중요한 개념을 확립시켰다는 점에서 역사적 인물로 자리매김해도 부족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최근 < 국화와 칼 > 이라는 책이 종종 눈에 띄어서, 너무도 유명한 책이라 함 도전해볼까 하고 있던 참이었는데, 아..이 보아스의 제자 중 한 명인 루스 베네딕트가 바로 이 책의 저자였다니 !!!
이렇게 오늘도 나는 한 권의 책으로, 또 하나의 새로운 지적 세계를 만나게 되었고, 인물들을 알게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