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 번 더’의 힘 - 매일 남보다 1퍼센트를 더 쌓아가는 사람의 기적
에드 마일렛 지음, 박병화 옮김 / 토네이도 / 2022년 11월
평점 :
한번더의힘 저자 에드 마일렛
앞표지에 매일 남보다 1퍼센트를 더 쌓아가는 사람의 기적
˝모두가 멈추는 곳에서, 딱한걸음만 더 나가라˝
에드마일렛은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기업가이자 강연가,동기부여 전문가이며 포브스가 선정한 50세 이하 최고의부자 50인에도 속했어요
2022년 출간즉시 아마존과 월스트리트 저널 베스트셀러 1위에 오른 이책에는 저자가 만난 이 세상에서 가장 성공한 사람들의 충격적인 조언들이 담겨있다고 소개됩니다.
정말 제목이 다했다는 느낌이 드는데 생각도 한번더 행동도 한번더 시도 한번더 습관 한번더 질문 한번더 목표 등등 한번더 한다는 말은 물이 끓을 때 임계점을 넘기전까지 끓지 않는것처럼 포기하지않고 노력하다보면 결국엔 성공한다는 말이 떠올랐다.
동기부여에 관해서 손에 꼽을 수 있을 정도로 도움이 될만한 책이라고 추천합니다...
책을 읽으면서 와닿았던 구절을 올려볼게요
‘한 번 더‘ 생각하고 실행하는 사람이 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정체성identity‘이다. 당신의 정체성은 삶의모든 부분의 결과를 좌우하는 강력한 원동력이다. 정체성은 당신이 얻을 수 있는 성공과 부, 성취의 한계를 규정한다. 동시에 당신의 감정과대인관계, 자긍심의 질적 수준을 통제한다. 나아가 정체성은 당신이 현재 가장 진실하게 유지하는 생각과 개념, 믿음이다. 예를 들어 당신은 상대에 따라 당신의 표정이나 행동을 얼마든지 꾸며낼 수 있다. 하지만 결코 자기 자신은 속이지 못한다. 당신의마음 깊은 곳에서는 무엇이 진실인지 분명하게 알고 있기 때문이다. 달리 말해 정체성이란, 당신이 ‘당신 자신에 대해 진실하게 믿고 있는 것‘ 이라고 할 수 있다. - P15
철학자 프랜시스 베이컨 Francis Bacon 은 이렇게 말했다. "현명한 사람은 자신이 발견한 것보다 더 많은 기회를 만들어낸다. ‘한 번 더‘ 생각하고 행동하는 사람은 늘 기회를 지향한다. 한번더의 사람은 반복에 강하다. 강한 반복은 강한 결과로 이어진다. 인내심의 끝은 항상 달콤한 것이 인생의 이치다. ‘한 번 더‘의 매트릭스가 활발하게 작동하는 삶을 살라. 그 ‘한 번 더‘가 ‘더 많은‘기회를 활발하게 찾아낼 것이다. - P56
영국의 생물학자 찰스 다윈charles Darwin은 이렇게 말했다. "한 시간을 아무렇지도 않게 낭비하는 사람은 아직 인생의 가치를발견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모든 성공은 ‘시간 관리‘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내가 소개한 시간 관리 시스템의 5대 원칙의 밑바탕에는 ‘한 번 더‘의 습관이 깔려 있다. 더 많은 하루를 살고, 한 박자 빠르게 긴박감을 갖고, 한 번 더 자신을 점검하고, 한 걸음 더 미래로 나아가고, 한 번 더 새로운 사람을 만나는 삶을 살면 당신은 성공하지 않을래야 않을 수가 없다. 매 순간 ‘한 번 더‘ 살라, 오직 당신만의 시간을 - P93
작가 웨인 다이어wayne Dyer는 이렇게 말했다. "타인에 대한 용서는 영혼의 성장에 필수적이다." 용서는 쌓여 있는 분노와 고통으로부터 당신을 해방시킨다. 그 해방은 당신의 영혼을 한 뼘 더 성장시키고, 이 성장은 꿈과 상상력에 직접된다. 영적 성장은 새로운 꿈이 들어설 수 있게 유리잔을 비우는 또 다른 방법이기도 하다. - P136
오래된 습관을 버리지 않으면 오래된 과거에서 벗어날 수 없다. 다시 말해 미래로 나기 위해서는 오래된 습관을 버려야 한다. ‘한 번 더‘의 힘은오래된 습관을 떠나는 연습에서 발휘된다. 삶의 주인은 ‘습관‘이다. 어떤습관을 섬기고 받을지 결정하는 것은 오직 당신의 몫이다. 야구 경기에서 한 선수가 1루와 2루에 동시에 존재할 수는 없다. 인생에서도 마찬가지다. 2루로 나가기 위해서는 1루에서 반드시 발을 떼어야 한다. 득점을 올리겠다는 목표가 없으면 한루라도 더 가서 상대를 압박해 승리를 얻겠다는 의지가 없으면, 삶은 어떻게 될까? 한 경기를 승리하기 위해서는 10점이 필요할 수도 있다. 하지만 1루에서 2루를 가지 못하면 단 한 득점도 올리지 못한다. 1루에 계속 머무르면서 마음은 10점을 향해 있는 사람이 어떻게 성공할 수 있겠는가? 기회가 있을 때 착실하게 진루하고, 착실하게 득점해야 한다. 한 점한 점 착실하게 얻는 팀은 없던 자신감도 생겨나고 더그아웃이 새로운활기로 넘친다. 누군가 안타를 치고 애써 1루에 나갔는데, 2루를 갈 생각과 전략을 아무도 갖고 있지 않은 팀의 더그아웃에는 깊은 침묵 외에 무엇이 더 들어설 수 있겠는가? ‘한 번 더‘의 습관은 간단하면서도 착실한, 그래서 위력적인 기회를계속해서 쌓아간다. 유리잔 속 오래된 습관들을 착실하게 밀어내면서 - P138
한 걸음 한 걸음 들어선다.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는 것을 어떤 경우에도 잊지 마라. 매일 ‘한 번 더‘ 새로운 꿈을 꾸어라매일 ‘한 번 더‘ 오래된 습관을 밀어내라. 그러면 매일 ‘한 걸음 더‘ 목표에 다가서게 될 것이다. - P139
영화배우 루비 디 Ruby Dee는 이렇게 말했다. "가장 큰 선물은 질문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 것이다." 우리는 너무 쉽게 생각한다. 우리는 너무 익숙한 길로만 다닌다 수십 년간 아침 9시에 어김없이 통근열차를 타고, 저녁 6시에 어김없이퇴근열차를 타는 사람은 성실한 삶을 산다. 하지만 특별한 삶을 살지는못한다. 고통스럽다 할지라도 ‘한 번 더‘ 크고 올바른 질문을 찾고 또 찾아라. 그러면 그 고통은 어느 순간 사라지고 인생의 가장 큰 선물인 ‘지혜로 - P150
운 질문‘만 남는다. 당신이 찾아낸 질문들은 점점 더 당신의 삶을 그윽하고 깊은 향기로 채울 것이다. 두려움이 사라진 삶을 상상해보라. 당신이 이 책을 읽는 이유가 바로 그 삶 속에 담겨 있다. - P151
목표를 세울 때는 다음의 두 가지를 숙고하라. 첫째, 당신 자신에 대한 믿음을 높이는 방법. 둘째, 거울을 들여다보며 자신의 정체성 온도를 높이는 방법. 사람은 믿는 대로 성취한다. 자신을 끊임없이 습관적으로 의심하고 평가절하하고 책망하면서 목표를 이룬 사람은 지구상에 존재하지 않는다. 자아도취에 빠지라는 이야기가 아니다. 일단 목표를 세웠다면 자신을 믿고 빈틈없이 노력해 나가야 한다. 의심하며 걷는 길이 아니라 믿으면서 걷는 길에서 더 좋은 개선책을발견해낼 수 있다. 자책이 아니라 자신감에 넘쳤을 때 우리는 더 쉽고, - P165
더 설득력 있게, 더 열린 마음으로 우리 자신의 단점들을 교정할 수 있다. 자신을 폄하하는 태도에서 벗어날 때 세상의 왜곡된 시선으로부터자유를 얻고, 더 객관적인 시선으로 나를 평가해줄 수 있는 사람을 만날 수 있다. 믿음과 자존감이 높을 때 우리의 의식과 잠재의식은 훌륭한 동맹이될 수 있다. 믿음과 자존감이 결여된 사람은 목표를 향해 폭발하는 지뢰를 가득 짊어지고 달릴 뿐이다. - P156
‘한 번 더‘의 기본 철학은 ‘생각‘과 ‘실행‘의 결합이다. 최고의 삶을 얻으려면 단순히 ‘내가 지금 무엇을 원하는지‘를 생각하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아무리 뛰어난 생각을 한다고 해도 이를실행에 옮기지 않으면 삶은 결코 바뀌지 않는다. 따라서 당신이 ‘한 번더‘ 생각하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한 번 더‘ 실행하는 사람이기도 해야한다. 당신이 ‘한 번 더‘ 생각하고 ‘한 번 더‘ 실행하는 사람이라면, 이제 당신은 ‘불가능한 것‘을 생각하고, 이를 ‘가능한 성취로 만드는 사람으로도약하게 될 것이다. - P193
리더가 된 순간부터 당신의 머릿속에는 ‘무브먼트movemen‘ 라는 단어가깊게 박혀 있어야 한다. 어떤 조직이든 매 순간 변화의 움직임이 필요하다. 단 한 순간이라도 멈춰 있으면 미세한 균열이 시작되고 어느 한부분이 반드시 부패하기 시작한다. 그것이 조직의 생리다. 조직은 살아있는 유기체다. 숨을 멈추면 점점 굳은 시체가 되어갈 뿐이다. 지금 더 이상 잘될 수 없을 만큼 절정의 역량을 발휘하는 팀도 바로그 순간, 새로운 무브먼트가 필요하다. 변화의 전위에 매일 서지 않으면 매 순간 더 나은 단계로 나아가는 우상향의 그래프를 가질 수 없다. 움직여라. 최고의 성과를 낸 팀원에게 더 팽팽한 긴장감을 제공하고, 최악의 성과를 낸 팀원에게 ‘한 번 더‘ 쿨하게 기회를 제공하라. 새로운 인재를 과감하게 받아들이고 쇄신해야 할 인사전략을 ‘한 번 더‘ 치밀하게 짜라. 의미 있는 변화를 만들어내는 무브먼트에는 출발선도, 결승선도 없다. 당신이 리더의 자리에서 내려올 때까지 무브먼트는 지속되어야 한다. 리더가 움직이지 않으면 아무도 그 어떤 것도 움직이지 않는다. - P2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