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콘서트 1 - 노자의 <도덕경>에서 마르크스의 <자본론>까지 위대한 사상가 10인과 함께하는 철학의 대향연 철학 콘서트 1
황광우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6년 6월
평점 :
절판


요즘 한창 '고전'읽기에 관심을 가지고 있던 터에 바로 이 책을 만났다.

 

왠지 '철학'하면 동양사상보다는 서양철학을 학교에서 먼저 배우고 보다 심도깊게(?) 배우다보니

'동양철학'하면 왠지 모르게  고리타분한 느낌이라던가, 공자왈 맹자왈이 먼저 떠오르는 것을 보면

학교 교육에서 얼마나 서양적인 사고를 세뇌시켰는지 다시한번 씁쓰레한 기분을 느끼게 된다.

 

물론 동, 서양을 나누는 것은 둘째치고라도 '철학'이라는 것 자체가 왠지 우리 삶과는 무관한 탁상공론 내지는

평범한 사람들의 것이 아닌 룸펜 또는 지식인들만의 것으로 다가오는것을 보면 식자들 내지는 이 사회의 지배계급이

평범한 사람들에게 '철학' 내지는 '철학적 사고'를 갖게 하는것을 얼마나 꺼려했는지,

이른바 보통교육 내지는 우민화 교육만을 목적으로 의도적으로 '철학' 가르치기를 꺼려했다는 느낌마져도 든다.

 

어쨌건 지금은 '철학'이 고리타분한 것으로 받아들여지지는 않지만 그래도 여전히 '철학'과 '나' 사이에는 무언가 거리감 같은게 느껴지는 동시에

'철학'의 '철'자만 들어도 중압감 내지는 부담감이 느껴지는게 사실이다.

 

하지만 이 책 '철학콘서트'는 '철학'이 얼마나 삶의 보편적인 진리를 담고 있는지, 그리고 지금은 우리가 고전이라고 알고 있는 철학서들과

사상, 사상가들이 지금도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얼마나 우리 삶에 깊숙히 스며들어 있는지, 마치 동시대를 함께 살아가고 있는 듯한 느낌마져 전해 준다.

 

'철학'하면 갖게 되는 난해하다거나, 고리타분할 것 같다는 온갖 편견을 깨버리면서도,

살아가는데 왜 '철학'이 필요한지를 마치 이야기책을 읽듯이 설명해 주고 있는데 바로 이 책의 훌륭함이 있다.

 

그 어린시절 도덕시간부터 정치경제, 사회문화, 국사, 역사 시간에 배웠던 소크라테스부터 예수, 석가, 공자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철학자(사상가)들의

진짜 면모가 살아 숨쉬고 있으면서도, 그들의 철학(사상)이 그 오랜옛날 그들만의 것이 아니고, 여전히 우리 삶에서도 유효한 것인지를 알 수 있다.

 

물론 그동안 우리의 학교교육이 당시 기득권세력의 지배를 이어가기 위해 역사적 사실마져도 의도적으로 은폐하고 왜곡시켜왔다는 점에서

책을 읽으면서는 심한 배신감(?) 마져도 들긴 했지만, 이제서나마 그 누구도 가르쳐주지 않았지만, 조금만 노력을 기울이면

누구라도 다 알 수 있는 '진실'을 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진정 '철학' 을 배우고 싶다면 오히려 학교밖 스승들을 찾아나서기를 권하고 싶기도 하다.

 

그런 의미에서 선조들의 삶의 지혜가 녹아있고, 동서양을 뛰어넘고 시공간을 넘나들면서도 여전히 우리에게 '현자'로 추앙받는 사람들의 '고전'은

지금 이 시대 비전을 모색하고, 진정 사람이 주인으로 주인답게 사는 길을 찾아 떠나는 모든 이들에게 여전히 유효하며, 새롭게 조명될 필요가 있다.

 

여기서 간략하게 나마 이들이 펼치는 사상의 향연(함께 술을 마시며 나누는 대화)에 동참해 보자...

 

 

* 소크라테스

 

- 소크라테스 하면 '네 자신을 알라' '악법도 법이다' 정도가 평범한 우리네들이 알고 있는 모든것(?), 그것은 정말 빙산의 일부에 불과하다...
'소크라테스는 논리적으로 완벽할 뿐만 아니라 도덕적으로도 흠잡을 데가 없는 부담스러운 존재'로 그 말이 올바르고 행실이 너무 완벽하기 때문에


나를 더욱 초라하게 만드는 사람, 따라서 함께 하기에는 상당히 부담스럽고 극단적으로는 '제거'해야 할 인물이었다..

하지만 정작 소크라테스 본인은 자신이 타인을 얼마나 괴롭히고 다녔는지 몰랐다는데... 

결국 소크라테스는 '철학하는 자유' 즉, 삶을 훌륭하고 아름답게, 올바르게 살기 위해 죽음을 선택한다...

 

 

* 공자

 

- 공자는 철학콘서트 등장인물 뿐만 아니라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가장 불우한 어린시절과 출신계급이 가장 낮은 사람중의 하나였으니

공자의 어머니 열여섯에 칠순 노인 사이에서 낳은 아이가 바로 '공자'였고, 그의 나이 세살에 아비는 죽고, 그의 어미가 무당일로 공자를 먹여살렸으나,

어머니마져 공자의 나이 열여섯에 돌아가셨다고 한다.

 

이렇듯 어려서부터 철저히 '독립'적인 삶을 살 수 밖에 없었기에, 바로

 

"내 나이 열 다섯에 학문에 뜻을 세웠고, 서른 살에 두 발로 세상에 섰고, 마흔 살에 불혹에 이르렀으며, 쉰살에 천명을 깨쳤다"라고 하는

공자의 가르침이 이해가 간다... 그리고 바로 그 지천명에 이르렀을 때 공자는 '민중속으로' '세상속으로' 들어간다....

 

하지만 이렇게 '치국평천하'의 큰뜻을 품고 세상속에 들어간 공자이지만, 권력자들을 만나서는 큰소리만 칠 뿐, 아부할 줄도, 타협할 줄도 모르는

공자의 삶은 깨끗하지만 가난하고, 자유롭지만 외로운 삶을 살았던 것임에는 틀림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인들에게는 '불가능한 일인 것을 알면서도 하려는 자' 어찌보면 어리석은 자 라고도 할 수 있었던 공자는

불의한 세상을 바꾸지 않고 다른 일을 하며 살 수는 없었기에 '세상을 바꾸고 싶어했고, 세상을 바꾸는데 자신의 평생을 쏟아부었기에

가장 행복했던 사람중의 한 사람이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