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 교육의 성공 - 경쟁에서 벗어나 세계 최고의 학력으로
후쿠타 세이지 지음, 나성은.공영태 옮김 / 북스힐 / 200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에게는 산타클로스와 핸드폰 노키아로 유명한 나라 핀란드.

국가 경쟁력 1위, 청렴한 나라, 여성권한척도 에서도 3위안에 손꼽히는 나라 핀란드

그리고, PISA(학업성취도 국제 비교 연구)에서 수년째 1위를 하고 있는 나라 핀란드.

지금 전 세계가 핀란드를 주목하고 있다...

 

특히  영어몰입교육이니, 사교육 열풍도 모자라 학교와 아이들을 1등부터 꼴등까지 서열을 매기는 일제고사에 반대해

현장체험을 했다는 이유로 중징계를 받고 교사들을 해임시킨 나라 대한민국도

PISA에서 2위라는 대단히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

 

이렇게 교육에 관해서는 정반대의 교육철학을 갖고 있는 한국과 핀란드에 세계는 또다시 놀라고 있다.

그 비결과 차이는 무엇일까?

 

1. 아이들이 '나 스스로를 위해서 공부한다'

핀란드는 굳이 경쟁을 시키지 않아도 아이들이 그 나름대로 공부를 열심히 한다고 한다. 거짓말 같은 이야기다.

사회도 학력 경쟁을 부추기지 않는다. 교사도 아이들을 야단치거나 공부를 강요하지 않는다. 아이들은 '공부하는 것은 나 자신을 위해서'라는 의식이 밑바탕에 깔려 있는 듯하다.

자신을 위해서 열심히 배우려고 하는 것은 사회가 자신을 받아들여 줄 것이라는 안심과 인권을 소중히 하는 복지사상이 사회 저변에 깔려 있기 때문일 것이다....

 

2. 한 사람 한 사람을 소중히 하는 평등한 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교육의 기본은 등ㅅ를 매기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개개인의 발달을 지원하는 데 있다는 점을 철저히 한다.  특히 사회 여러 곳의 루트를 통해서 배우고자 하는 마음만 있으면 누구라도 언제든지 배울 수 있는 학교 교육 제도가 마련되어 학습을 보자하는 사회적인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3. 학교 교육이 최대의 효과를 올릴 수 있도록 교사를 전문가로서 신뢰하고 교사가 일하기 쉬운 직장을 만들고 있다. 이를 위해서 국가의 교육 관리 권한을 최소한으로 하면서 지방자치단체와 학교, 교사 개개인에게 교육 권한을 이양하였다.  사회전체가 교사를 신뢰하고 있으며 교사와 함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자세를 갖고 있다.

 . 교육받을 권리를 복지 정책으로 보장하고 있다. 초등하게서 대학까지  수업료는 무료일 뿐만 아니라 고등하교까지는 교재나 교구, 급식, 통학요금 등 여러 방면의 학습 환경이 무료로 제공된다. 또한 고등학생이나 대학생의 하숙비에도 역시 보조금이 나온다. 학력 향상을 제일의 목적으로 삼지 않고 아이들이 만족하는 충실한 학교생활을 주요 교육 과제로 삼고 있다...

 

학교 밖에서 일어나고 있는 여러문제는 언젠가 학교 안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고 생각하며,

학생들의 태도와 가치관을 존중해나가며, 학생이 만족하고 충실하게 지내는것이 학교 생활의 목적이며,

가르치는 것 보다 배우는 행위 자체에 역점을 두고, 학교란 본래 학생들의 성장을 지원하는 곳이며

교육의 최종목적은 '아이들과 청소년이 자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이라는 가치관을 갖고 있는 나라 핀란드.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신자유주의 경쟁사회에서 살아 남을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아니라

바로 우리 사회에서 당당히 한 주체로 세상을 살아나가는 힘과 여유를  키워주고,

마음놓고 미래를 꿈꿀 수 있도록  우리 사회가 이들을  받아들인다는  그런 믿음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