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유하는 글쓰기 - 발설하라, 꿈틀대는 내면을, 가감 없이
박미라 지음 / 한겨레출판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요즘 의식적인 표현하기의 한 방법으로 글쓰기를 하면서 산 책이다.

특히 작가가 '천만번 괜찮아'의 박미라씨인걸 알고는 더욱 끌렸던 책..

 

하지만 어쨌건 '글쓰기'의 어떤 노하우를 알기 위해서라면 완전 잘 못 짚은격이다.

책의 맨 마지막 부분정도 가서야 글쓰기란 결국 사람과의 소통이고, 누군가에게 말하듯 편하게 쓰라는 말이 나온다.

헉~~ 사실 책한권 읽고 글좀 잘 써보겠다는 내 생각이 오히려 더 얄팍했다...

 

그래도 개인적으론 박미라의 '천만번 괜찮아'를 읽을 때 보다 오히려 더 울림이 있고, 내면을 많이 돌아보게 해준다.

특히 글쓰기가 치유의 과정이고, 성찰의 과정임을 , 그래서 결국 글쓰기라는 행위는 '나'와의 소통이며, 관계에서의 소통임을 알게 해준다... 물론 여전히 어렵고 힘든과정이긴 하지만... 그래도 또 하나의 깨달음을 선물 받은 느낌이다....

  

1.

고난과 시련의 생존자들은 타인의 인생에 지나치게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곤 한다. 내가 혹독한 인생길에서 엄살도 부리지 않고 승리했으므로 너 역시 그렇게 해야 한다고 믿는다...

엄격함과 혹독함이, 고난과 시련만이 효율적인 방식은 아니다. 그보다는 칭찬과 격려가 더 힘이 될 때가 있다.

이미 깊은 상처를 입은 곳에 불같은 혹독함을 들이댈 필요는 없다.

과거의 트라우마에서 느꼈던 수치심이나 굴욕감, 부노 등이 엄격한 상대를 통해 되살아나기 때문이다.

회초리를 들어 그들을 뛰게 할 것이 아니라, 박수를 쳐주고, 그들이 자신의 의지로 뛰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만약 뛰지 않는다 해도 어쩔 수 없다. 뛰는 것만이 성공의 지름길이라고 얘기할 수 없는 경우가 얼마나 많은가.

고생하며 뛰던 사람이 자기 속도를 찾아 걷기 시작하면서 행복해진 예도 얼마든지 있다....

 

 

2,

가장 훌륭한 칭찬은 지금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격려하는 것이다.

지금 그 자리에 머무르지 말고 어서 다른 방법을 찾아보라는 말은 참으로 애정 어린 충고임에는 틀림없지만, 한편으로는 지금 너의 모습을 인정하지 못하겠다는 말도 된다. 당신이 사는 방식이 잘못됐다고 말하는 것이다. 사람들은 참으로 민감해서 그런 상대의 심정을 귀신같이 알아챈다.

누구나 지금  이 못브으로 살고 있는 데는 나름의 절실한 이유가 있다. 남들에게는 게으름이나 무기력함이나 비겁함으로 보일 수 도 있지만 그런 인생을 살고 있는 주인공도 나름대로 하고 싶은 말이 있을 것이다.

그런 그를 인정하고, 그런 인생을 살아내기 위해 얼마나 애썼을지 알아주는 것이 먼저다....



 3.

누군가의 글을 읽는 것은 그를 비판하거나 분석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이해하기 위해서가 첫 번째 목적이다.

타인에 대한 공감은 결국 나 자신의 문제와 연결된다. 타인의 고통과 문제를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결국 내가 가지고 있던 고정관념이나 틀에 박힌 사고방식, 좁은 시야에서 벗어나야 한다.  상대의 한계조차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줘야 하고, 지나친 욕심을 부려서도 안 된다.

어찌보면  타인을 공감하기 위한 노력은 나 자신을 해방시키고 자유롭게 만드는 훈련이기도 하다. 그러니 공감하는 과정에서 힘든 것은 상대의 고통스러운 이야기 때문이 아니라, 내가 내 자신의 틀을 깨느라고 힘든 것이다. 만약 자신으로부터 해방되고 싶거든, 영혼까지 자유로운 삶을 원하거든 타인의 이야기에 완전히 몰입해보라. 그러면서도 쉼 없이 공감하고 있는 이 순간이 상대가 아닌 나 자신을 위한 순간임을 자각하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