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쇼 라즈니쉬 신간 <피타고라스 1+2권> 번역 출간
글쓴이 : 젠토피아 날짜 : 2013-01-31 (목) 09:53 조회 : 53
글주소 : type=text/javascript> function get_shorten(obj) { obj.select(); if (g4_is_ie) { document.selection.createRange().execCommand("copy"); alert("글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 }




제목 : 피타고라스
부제 : 동양과 서양을 잇는 인류 최고의 신비주의자
오쇼 지음 / 손민규 옮김
1권 434 페이지 / 2권 490페이지 / 각권 25,000 원
서점 구매 가능 / 정식출간일 2013년 3월 25일 (지금 구매하시면 정식 출간일보다 먼저 책을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편집자 서문
 
열네 살 무렵, 나는 반항적이었다. 그러나 무엇에 반항하고, 왜 반항하는지, 내가 무엇을 말하고 싶은지 정확하게 가려내는 것은 힘든 일이었다. 어쨌든 나는 전쟁무기 반대운동에 참여했다. 그때가 1961년이었다. 나는 논쟁을 하거나 주장을 펼치는 데 별로 재주가 없었다. 우리는 토요일 오후마다 푸트니 거리에 임시로 연단을 마련해 놓고 전쟁무기 반대운동을 펼쳤다.
그러던 어느 날, 한 노년 부인이 ‘독일군이 쳐들어왔을 때, 우리는 반격할 무기가 없었다. 그때 우리는 무엇을 했는가?’라며 고함을 질렀을 때, 나는 꿀 먹은 벙어리가 되어 아무 반론도 제기할 수 없었다.
그 당시 나는 정치와 사회개혁 따위에 심취해 있었다. 그러나 마음 한구석에는 무엇인가 잘못되었다고 느끼곤 했다. 그런 느낌은 집에서, 학교에서, 거리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나는 내가 진정으로 가슴을 열어 보일 수 있는 사람이나 진실로 이런 상황을 이해하는 사람을 찾을 수 없었다.
그 후로 나의 내적인 혼란은 60년대를 사는 사람들 모두에게 그대로 반영되었다. 민주주의 운동, 시위 행렬, 저항 운동, 생활 형태의 변혁, 유흥, 사회봉사 등. 이런 현상은 히피 문화의 폭발과 결합하여 새로운 시대를 여는 것처럼 보였다. 명상센터와 실험극장, 공동체 운동이 곳곳에서 일어나면서 동양과 서양이 하나로 만나고 있었다. 인간의 잠재력 개발운동이 곳곳에서 일어나면서 동양과 서양이 하나로 만나고 있었다. 인간의 잠재력 개발운동 역시 많은 것을 약속해 주는 듯했다. 그러나 내가 무엇인가에 더 가까이 다가간다는 느낌에도 불구하고-세상 전체가 그렇게 느끼고 있었다-우리의 희망과 이상은 여전히 꿈으로 남아 있었다.
처음으로 오쇼의 말을 들었을 때, 나는 나 자신의 혼란과 절망을 이해하기 시작했다. 진리의 종소리가 내 가슴 속에서 크고 분명하게 울려 퍼졌다. 그는 내게 명확한 이해를 가져다주었다. 나는 어둠 속을 더듬거리며 헤매는 대신 그가 내미는 손을 잡았다. 처음에는 엉금엉금 기고, 걸려 넘어지기 일쑤였지만 서서히, 그리고 비록 외발로만이라도 깡충깡충 뛰기 시작했고, 그 다음에는 오쇼가 내 눈과 귀를 열어 느끼게 해 준 존재계의 숨은 조화와 어울려 춤을 출 수 있었다.
지난 7년 동안 나는 집단적인 광기로부터 벗어나 있었다. 모든 언론매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정치와 사회적인 면에서 서양 세계에는 이런 광기가 계속 확대되고 있는 것 같다. 실제로 우리의 삶 전체를 통해 이런 광기가 확산되고 있다.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추악한 상황에 연루되고, 기괴한 옷을 입고, 잔인한 폭력이 일반화되고 있다.
나의 꿈은 이루어졌다. 나는 나를 이해할 뿐만 아니라 속속들이 알고 있는 사람, 무조건적으로 나를 사랑하고 내 가슴을 열어 준 사람을 발견했다. 그는 내게 ‘너 자신이 되어라.’라고 말했다. 전에는 아무도 이렇게 말해 준 적이 없었다. 이제 나는 전에 없이 행복하다. 물론, 탄생의 아픔을 통과해야만 했다. 새로운 인간이 태어나기 위해서는, 더없는 환희의 탄생을 위해서는 당연히 고통이 따를 수밖에 없다.
이것은 어느 한 개인에게만 국한된 사실이 아니다. 내 주변에 많은 사람들이 별이 빛나는 높은 하늘에 도달했다. 지금 그들은 상상이 불가능한 환희의 세계에서 비행하고, 웃고, 포효하고, 구르고, 춤추고, 노래하고 있다. 끝도 없는 그 하늘 안에서.

새로운 인간이 태어난다.
지금 여기
오쇼는 누구인가?
그는 무엇인가?
그는 어떻게 이런 일을 할까?
이것을 누가 알겠는가?
내가 할 수 있는 일이란
경이감 속에서 내 가슴을 여는 것이 전부다.
나는 그가 일으키는 사랑의 물결 안에서 휩쓸려 내려간다.
녹아들고, 용해되고, 스며들고...
그의 무한한 바다 안에서...

감사합니다. 오쇼.

마 요가 아누라그
 
 
역자 서문 (손민규, Swami Prem Yojan)
 
흔히 수학자로 알려진 피타고라스는 철학자이자 종교가였으며 정치에도 관여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의 삶에 대한 여러 일화들은 몇 가지 기록에 공통적으로 전승되는 사실들을 제외하고는 그 진실성을 가늠하기 어렵다. 그래서 그가 어떤 인물이었는지 그의 행적을 파고들수록 점점 더 미궁 속으로 빠져들고 만다.
이 수수께끼의 인물 피타고라스의 행적을 살피기 위해 이 책을 펼친 독자들은 그 의문점을 해결하지 못할 것이다. 대신 신비주의자로서 그의 면모를 발견하고 놀라게 될 것이다. 이것이 피타고라스의 이름을 빌어 초월적 메시지를 전하는 오쇼의 마력이다. 오쇼에 의해 피타고라스는 시대를 관통하는 지혜의 전달자로 부활한다.
이 책을 옮기는 동안 역자는 인도 푸나에 체류 중이었다. 피타고라스에 대한 강의를 옮기면서 나는 고대의 영감을 얻겠다는 일종의 유희 같은 기대감을 갖고 고대적 분위기를 풍기는 곳을 찾아다니곤 했었다. 그러던 중에 일어난 몇 가지 재미있는 일을 독자들에게 들려주고 싶다.
첫 번째는, 푸나에서 세 시간 가량 떨어진 마하발레쉬와르의 산 정상에서 쏟아지는 별을 보고 누워 있는데 갑자기 어둠 속에서 나타난 인물, 그는 나와 가깝게 지내는 이탈리아인 친구였다. 우리는 산 속 외진 곳, 깜깜한 어둠 속에서 만났다는 사실에 서로 놀라워했었다.
두 번째는, 우연히 발견한 낡은 성채가 좋아서 자주 그곳에 가서 앉아 있곤 했었는데, 나중에 그곳에서 찍은 사진을 보고 인도인 친구가 깜짝 놀라며 이곳을 어떻게 아느냐고 묻는다. 그의 이야기로는 오쇼가 한때 이곳에 아쉬람을 세울 계획을 갖고 있었다는 것이다. 일단의 산야신들이 사전 작업을 위해 이 성채에 머문 적이 있으며, 이 성을 오쇼 캐슬로 부른다는 것이었다. 물론, 나는 그 성에 대해 어떠한 정보도 없었으며 그저 거기에 앉아있는 것이 좋았기 때문에 모터사이클로 한 시간 넘게 달려 그곳에 가곤 했었다.
세 번째는, 알란디의 어느 사원을 방문했을 때였다. 그 사원은 큰 깨달음을 얻은 어느 성자를 기리기 위해 세워진 곳이었는데, 그 성자의 초상화를 보고 나는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그는 내가 수시로 눈을 마주친 인물이었기 때문이다. 몇 달 전 길거리에서 눈에 띄는 인물 조각상을 구입해 책상 위에 올려놓고는, 번역작업을 하다가 막힐 때면 가만히 그의 눈을 들여다보곤 했었다. 그러면 새로운 에너지가 솟아나는 느낌이었다. 그런데 아무런 정보도 없었던 그 조각상을 알란디의 사원에서 성자로 다시 만난 것이다.
가만히 살펴보면, 우리는 기이한 인연들과 알 수 없는 힘으로 보호받는다. 누구도 예외가 아니다. 이 책을 펼쳐든 독자들은 피타고라스, 또는 오쇼와 기이한 인연으로 얽혀 있을 것이며, 이 책에 담긴 지혜의 힘으로 보호받을 것이다. 역자는 그것을 확신한다. 그리고 독자들과 역자 또한 어떤 인연으로 맺어져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우리 모두 행운을 함께 나누는 사이가 되기를...

춘천, 소양강변에서 손 민 규
 
 
1권 목차
 
1. 영원한 순례자
2. 사랑은 얼굴 없이 온다
3. 상승의 법칙
4. 산야스란 무엇인가?
5. 전체적으로 살아라
6. 그대 자신을 존중하라
7. 의식의 각성이 전부다
8. 그대는 본래부터 완벽하다
9. 영적인 자살
10. 사랑에는 이유가 없다
 
 
2권 목차
 
1. 중용의 길
2. 조르바 붓다
3. 천장에 침을 뱉지 말라!
4. 저절로 봄이 오고 풀이 자란다
5. 사랑은 언제나 순결하다
6. 깨달음은 그대의 타고난 권리다
7. 이 대담한 실험
8. 사랑은 명상의 향기다
9. 네가 그것이다
10. 대답이 불가능하다
11. 그대 스스로 신이 되어라
 
 
책 속으로
 
피타고라스는 영원한 삶의 철학, 즉 필로소피아 페레니스Philoso -phia Perennis를 구하는 영원한 순례자를 대표한다. 그는 진리를 구하는 탁월한 구도자다. 그는 이 구도의 길에 자신이 지닌 모든 것을 바쳤다. 그는 여러 스승들과 신비학파, 비의적인 단체를 찾아 넓은 지역을 여행했다. 그는 당시에 알려진 거의 모든 지역이 포함될 정도로 광범위한 곳을 여행했다. 사라진 대륙 아틀란티스의 신비를 찾아 그리스에서 이집트까지 여행했다.
그 당시 이집트에는 알렉산드리아의 대도서관이 그대로 남아있었다. 그 도서관에는 과거의 모든 비밀이 보존되어 있었다. 그 도서관은 지금까지 지상에 존재했던 어떤 도서관보다도 거대한 규모였다. 나중에 이슬람교의 광신도들에 의해 파괴되었는데, 그 규모가 얼마나 컸던지 도서관이 모두 전소되기까지 6개월 동안이나 불길이 치솟았다고 한다.
거대한 대륙 아틀란티스는 피타고라스가 세상에 태어나기 2천5백 년 전에 바다 속으로 가라앉았다. 지금의 대서양Atlantic이라는 이름은 아틀란티스 대륙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아틀란티스는 지상에서 가장 오래된 대륙이었으며, 최고의 문명을 구가하고 있었다.
그러나 어떤 문명도 극에 달하면 위험이 따르는 법이다. 극에 달한 문명은 분열과 자멸의 위험을 맞이한다.
지금 인류는 이와 똑같은 위험에 직면해 있다. 인류는 막강한 힘을 갖게 되었을 때 그 힘을 어디에 써야 할 지 모른다. 힘은 막강한데 이해가 그에 미치지 못하면 위험이 뒤따른다. 이것은 역사적으로 증명된 사실이다.
아틀란티스 대륙이 바다 속으로 가라앉은 것은 자연 재앙 때문이 아니다. 바로 오늘날 일어나고 있는 일과 똑같은 이유에 의한 것이었다. 자연을 정복하려고 한 인간의 힘이 자멸을 초래한 것이다.
아틀란티스 대륙의 침몰은 원자 에너지를 잘못 사용한 결과였다. 인간 스스로 자멸한 것이다. 그러나 피타고라스가 살아있을 당시만 해도 아틀란티스 대륙의 모든 경전과 비밀이 잘 보존되어 있었다.
대홍수에 관한 전설은 전 세계에 퍼져 있다. 이 대홍수의 이야기들은 아틀란티스 대륙의 침몰에서 유래했다. 기독교, 유대교, 힌두교 등에서는 과거에 한때 대홍수가 닥쳐 거의 모든 문명을 파괴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이야기에서는 소수의 선각자들만이 살아남았다. 노아Noah는 선각자이며 위대한 스승이다. 그러나 노아의 방주는 하나의 상징일 뿐이다.
소수의 사람들은 재앙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그들로 인해 당시의 문명이 이루어놓은 모든 비밀이 보존될 수 있었고, 이 비밀들은 알렉산드리아의 도서관에 고스란히 남아 있었다.
피타고라스는 몇 년간 알렉산드리아에 살았다. 그는 이집트의 신비학파, 특히 헤르메스 신비주의에 입문하여 공부했다. 그 다음에 그는 유서 깊은 이 대륙, 인도로 와서 교양 높은 지식인들이 발견한 모든 것들, 인간의 내면에 관해 인도가 알고 있던 모든 내용을 탐구했다.
그는 수년 간 인도에 있다가 티베트로 넘어갔으며, 그 다음에는 중국까지 들어갔다. 그는 평생 동안 진실한 구도자이자 순례자로 살았다. 그는 지혜에 대한 사랑, 즉 진정한 의미에서의 철학을 추구했다.
오늘날 우리가 흔히 말하는 의미에서의 철학자가 아니라 철학이라는 단어의 어원적 의미에 어울리는 철학자였다. 진리에 대한 사랑으로 불타는 사람이었다. 사랑이 넘치는 사람은 진리에 대해 단순히 머리로 생각하고 있을 수만은 없다. 그래서 그 역시 위험에 찬 모험을 감행한다.
진리는 가장 소중한 연인The Beloved이다. 그러니 어떻게 연인에 대해 생각만 하고 있을 수 있겠는가? 가슴 전체로 연인과 관계를 맺어야 한다. 이 사랑의 탐구는 단순히 지적인 차원에 그치지 않는다. 당연히 직관적인 깊이를 가질 수밖에 없다. 아마 처음에는 지적인 탐구로 시작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처음에만 그렇다. 처음에는 지적인 탐구로 시작하겠지만, 결국 자신의 내면 깊은 곳까지 뚫고 들어가야 한다.
그는 지극히 자유롭고 포용력 있는 사람이었다. 그는 아무 편견도 없이 활짝 열린 가슴을 지닌 사람이었다. 그는 전 세계로부터 존경받았다. 그리스에서 중국에 이르기까지 가는 곳마다 사람들이 그를 존경했다. 그가 찾아간 모든 신비학파에서 그를 받아들였다. 그의 이름은 온 세상에 알려졌으며 가는 곳마다 큰 기쁨으로 그를 환대했다.
그는 깨달음을 얻은 후에도 새로운 단체들을 찾아다니는 일을 계속했다. 여전히 새로운 학파에 입문하는 것을 중단하지 않았다. 위대한 통합을 시도하고 있었다. 인간에게 가능한 모든 방편을 통해 진리를 탐구하고 있었다. 그는 모든 면, 모든 차원에 걸쳐 진리를 알고자 했다.
그는 깨달은 사람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언제나 다른 스승들 앞에 무릎을 꿇을 준비가 되어 있었다. 이것은 매우 드문 일이다. 일단 깨달음을 얻은 후에는 탐구가 중단된다. 구도 행각이 더 이상 이어지지 않는다. 그럴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붓다는 깨달음을 얻은 후 결코 다른 스승을 찾아가지 않았다. 예수도 깨달은 후에는 다른 스승을 찾아가지 않았다. 노자도 그랬고, 차라투스트라와 모세도 그랬다. 그러므로 피타고라스는 매우 특이한 경우다. 이에 비교될 만한 다른 예를 찾아볼 수 없다. 그야말로 전무후무한 경우다. 깨달음을 얻은 후에도 피타고라스는 진리의 일면을 밝혀줄 수 있는 사람이라면 어느 누구의 제자라도 될 준비가 되어 있었다.
그의 탐구열은 어느 누구를 통해서도 배울 준비가 되어 있을 만큼 대단한 것이었다. 그야말로 완벽한 제자도를 갖춘 사람이었다. 존재계 전체를 통해 배울 준비가 되어 있었다. 항상 열려 있었으며, 마지막 순간까지 배우는 자로 남았다.
그 당시에 그리스에서 중국까지 여행한다는 것은 실로 엄청난 일이었다. 위험하고 험난한 여정이었다. 오늘날에는 뉴욕에서 아침을 먹고 런던에서 점심을 먹은 다음 인도의 푸나에서 소화불량으로 고생할 수도 있다. 그만큼 쉽고 간단하다. 그러나 당시는 그렇지 않았다. 큰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 일이었다. 한 나라에서 다른 나라로 이동하는데 몇 년씩이나 걸렸다.
모국으로 돌아왔을 때 피타고라스는 매우 늙어 있었다. 그러나 구도자들이 모여들기 시작하면서 거대한 학파가 탄생했다. 항상 그렇듯이 사회는 그와 그의 학파, 제자들을 박해하기 시작했다.
그는 평생 동안 영원한 철학을 추구했으며 마침내 구하던 바를 발견했다. 전 세계에서 수집한 단편들을 모아서 최고로 조화로운 통합을 이루었다. 그러나 사회는 그것들을 낱낱이 밝혀내도록 허용하지 않았다. 사회는 그가 사람들을 가르치도록 허락하지 않았다.
그는 가는 곳마다 박해를 받았다. 그래서 평생 동안 수많은 구도의 길을 시도했으며, 그가 수집한 모든 것을 가르치기란 거의 불가능했다. 그가 모은 보물은 그만큼 엄청난 것이었다. 사실, 지금까지도 그처럼 많은 보물을 모은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런데 사회는 그를 탄압했다. 어리석은 인류는 항상 이런 식이다.
피타고라스는 불가능한 일을 해냈다. 서양과 동양 사이에 다리를 놓은 것이다. 그가 첫 번째 다리였다. 그는 서양적인 마음뿐만 아니라 동양적인 마음까지 깊이 꿰뚫었다.
그는 그리스인이었다. 그는 논리와 과학적인 접근방식이 지배하는 환경에서 자라났다. 그러나 그는 동양으로 들어가 직관의 길을 배웠다. 어떻게 신비주의자가 되는지를 배웠다. 그는 천부적인 수학자였다. 그런데 수학자가 신비주의자로 되는 것은 일대 혁명이다. 수학자와 신비주의자는 대립되는 양극과 같기 때문이다.
서양은 남성적인 마음과 공격적인 지성을 대표한다. 반면 동양은 여성적인 마음과 수용적인 직관을 대표한다. 서양과 동양이라는 구분은 단순히 임의적인 구분이 아니다. 이 구분은 아주 심오하고 의미심장하다.
키플링의 말을 잊지 마라. 그의 말은 의미심장하다. 그는 서양과 동양이 결코 만날 수 없다고 말한다. 일리가 있는 말이다. 동양과 서양의 방식은 변증법적으로 정반대다. 그러므로 만남은 불가능해 보인다.
서양은 공격적이고 과학적이다. 자연을 정복할 태세가 되어 있다. 그러나 동양은 비공격적이고 수용적이다. 동양은 자연에 정복당할 준비가 되어 있다. 서양은 앎을 얻기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경주하지만 동양은 묵묵히 기다린다.
서양은 삶과 존재계의 신비를 파헤치기 위해 온갖 노력을 다한다. 그들은 비밀의 문을 열려고 애쓴다. 그러나 동양은 깊은 신뢰 속에서 묵묵히 기다린다. 내가 준비되면 진리가 저절로 드러나리라.라는 신뢰를 갖고 기다린다.
서양이 집중의 길을 걷는다면 동양은 명상의 길을 걷는다. 서양은 사념을 택했지만 동양은 무념이다. 서양이 마음이라면 동양은 무심無心이다. 그러므로 키플링의 말은 논리적으로 일리가 있는 것처럼 보인다. 동양과 서양의 만남은 절대 불가능한 것 같다.
동양과 서양이라는 말은 지역적인 구분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 말은 그대의 마음과 두뇌를 상징한다. 그대의 두뇌 역시 지구처럼 둘로 나누어져 있다. 두뇌 안에는 동양과 서양이 들어있다. 왼쪽 뇌는 서양이다. 이 부분은 오른 손과 연결되어 있다. 오른쪽 뇌는 동양이다. 이 오른쪽 뇌는 왼손과 연결되어 있다.
서양은 우익이고, 동양은 좌익이다. 이 양자의 방식은 너무나 다르다. 마음의 우반구는 논리적으로 계산하고 사유한다. 모든 과학이 이로부터 나온다. 반면 마음의 좌반구는 시인이며 신비주의자다. 이 마음은 직관하고 느낀다. 이 마음은 안개에 휩싸인 것처럼 불분명하고 막연하다. 아무것도 명확하지 않다. 모든 것이 일종의 카오스 상태에 있다.
그러나 이 카오스 상태는 고유의 아름다움이 있다. 이 안에는 위대한 시와 노래가 깃들어 있다. 참으로 풍요롭다. 계산적인 마음은 황량한 사막과 같다. 그러나 계산적이지 않은 마음은 아름다운 정원이다. 거기엔 새들이 노래하고 꽃이 만발하다. 전혀 다른 세상이 펼쳐진다.
피타고라스는 불가능한 것을 시도한 첫 번째 인물이었다. 그리고 그는 성공했다! 그를 통해 동양과 서양이 하나가 되었다. 그의 안에서 음과 양이 하나가 되고, 남성과 여성이 하나가 되었다. 그는 정반대되는 양극의 완벽한 통합, 즉 아르드하나리쉬와르Ardhanarish -war였다.
시바와 샤크티가 합쳐지고, 최고의 지성과 가장 심오한 직관이 하나로 만났다. 피타고라스는 햇빛 찬란한 최고의 정상인 동시에 어둡고 깊은 계곡이다. 이것은 매우 드문 통합이다.
그러나 평생에 걸친 그의 노력은 어리석은 사람들, 천박한 대중들에 의해 파괴되었다. 여기 몇 개의 시 구절만 남아있다. 이 시구는 우편엽서 한 장에 쓸 정도의 분량밖에 안 된다. 이 위대한 인간이 혼신의 힘을 다해 노력한 것들 중에 겨우 이것밖에 남지 않았다. 이 시구 또한 그가 직접 쓴 것이 아니다. 그가 썼던 것은 완전히 없어진 것 같다.
피타고라스가 죽던 날, 수천 명에 달하는 그의 제자들 또한 잔인하게 살해되고 화형에 처해졌다. 단 한명의 제자만이 학원에서 탈출할 수 있었다. 그의 이름은 라이시스Lysis였다. 그가 탈출한 것은 목숨을 부지하기 위한 것이 아니었다. 스승의 가르침을 보존하기 위해 탈출한 것이다. 이 <피타고라스의 황금 시편 The Golden Verses of Pythagoras>은 유일한 생존자인 피타고라스의 제자 라이시스가 쓴 것이다.
학교 전체가 불타고 수천 명의 제자들이 잔인하게 살해되었다. 피타고라스가 오랜 여행을 통해 수집한 모든 것들, 중국, 인도, 티베트, 이집트 등지에서 가져온 소중한 경전과 가르침들이 모두 불에 타 버렸다.
이 몇 개의 시편은 라이시스가 쓴 것이다. 진정한 제자는 스승의 이름 외에 다른 이름을 모른다는 고대의 전통이 있다. 이 전통에 따라 이 시구들은 라이시스의 시구라 불리지 않고 <피타고라스의 황금 시편>이라고 불린다. 라이시스는 자신의 이름을 쓰지 않았다.
역사상 이런 일은 계속해서 일어났다. 인도의 위대한 스승인 브야사Vyasa에게도 이런 일이 일어났다. 그의 이름으로 쓰인 경전이 어찌나 많은지 한 사람이 그 경전 모두를 쓴다는 것은 도저히 불가능하다. 그것은 인간의 능력으로 보아 절대 불가능한 일이다. 설령 천 명의 사람들이 평생 동안 쓴다 해도 그렇게 많은 경전을 쓸 수는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 경전들 모두가 브야사의 이름을 달고 있는 것은 어찌된 일일까? 그 경전들은 브야사가 아니라 제자들에 의해 쓰인 것이다. 그러나 진정한 제자는 스승의 이름 외에 다른 이름을 모른다. 그는 스승 안에서 용해되어 사라졌다. 따라서 무엇을 쓰던지 그는 스승의 이름으로 쓴다.
그런데 언어학자와 교수들은 브야사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들이 많이 있었던 것은 아닌지 의심하고 수많은 이론을 내세웠다. 이것은 터무니없는 추측이다. 브야사는 단 한 명밖에 없었다. 그러나 브야사를 깊이 사랑한 사람들은 무엇을 쓰던지 자신을 매개이자 도구에 불과한 존재로 느꼈다. 그들 자신이 쓰는 것이 아니라 스승이 자신을 통해 쓰고 있다고 느꼈다. 그래서 그들은 무엇을 쓰던지 스승의 이름을 달았다.
이집트의 헤르메스에게도 똑같은 일이 일어났다. 많은 경전들이 제자들에 의해 씌어졌다. 그리스의 오르페우스, 중국의 노자와 공자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진정한 제자는 자신의 정체성을 버린다. 스승과 완벽하게 하나가 된다. 그런데 사람들의 어리석음 때문에 이 소중한 보물들이 파괴되고 말았다.
피타고라스는 거대한 통합을 이루어낸 첫 번째 인물이다.그 후로 2천5백 년이 지났지만 그런 통합을 이룬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 전에도 없었고 그 후에도 없었다. 이런 시도를 하기 위해서는 과학적인 동시에 신비적인 마음이 필요하다. 이것은 매우 드문 현상이다. 아주 희귀한 일이다.
붓다, 노자, 차라투스트라 같은 신비주의자들이 있었다. 뉴턴, 에디슨, 아인슈타인 같은 과학자들도 있었다. 그러나 이 서로 다른 두 세계를 아무 마찰 없이 동시에 받아들이는 사람, 이 양쪽 세계를 편안하게 받아들이는 사람을 찾기란 매우 힘들다. 피타고라스가 바로 그런 사람이다. 그와 같은 사람은 아무도 없다.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젠토피아 신간 <종교의 사슬에서 벗어나라>
글쓴이 : 젠토피아 날짜 : 2012-12-21 (금) 11:33 조회 : 15
글주소 : type=text/javascript> function get_shorten(obj) { obj.select(); if (g4_is_ie) { document.selection.createRange().execCommand("copy"); alert("글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 }


안녕하세요.
 
젠토피아 출판사입니다.
크리스마스를 일단 보내고 책이 나올 예정입니다.
많은 분들이 기대하고 있는 책이라 저희도 살짝 긴장이 되네요 ^^
 
감사합니다.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종교의 사슬에서 벗어나라
오쇼(Osho) 지음, 손민규 옮김 / 젠토피아 / 2013년 1월
17,000원 → 16,150원(5%할인) / 마일리지 170원(1% 적립)
양탄자배송
6월 3일 (월) 아침 7시 출근전 배송
2012년 12월 21일에 저장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젠토피아 출판사 - 홈페이지 오픈기념 이벤트 입니다
글쓴이 : 젠토피아 날짜 : 2012-12-15 (토) 09:10 조회 : 46
글주소 :


2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떠도는 자의 노래 2- 인도 바울이 들려주는 영혼의 노래
오쇼(Osho) 지음, 손민규 옮김 / 젠토피아 / 2012년 11월
17,000원 → 16,150원(5%할인) / 마일리지 170원(1% 적립)
*지금 주문하면 "6월 4일 출고" 예상(출고후 1~2일 이내 수령)
2012년 12월 20일에 저장

떠도는 자의 노래 1- 인도 바울이 들려주는 영혼의 노래
오쇼(Osho) 지음, 손민규 옮김 / 젠토피아 / 2012년 11월
17,000원 → 16,150원(5%할인) / 마일리지 170원(1% 적립)
양탄자배송
6월 3일 (월) 아침 7시 출근전 배송
2012년 12월 20일에 저장



2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Responsibility
글쓴이 : 비샤드 날짜 : 2012-12-03 (월) 00:03 조회 : 41
글주소 : type=text/javascript> function get_shorten(obj) { obj.select(); if (g4_is_ie) { document.selection.createRange().execCommand("copy"); alert("글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 }
You can have freedom. But the cost is to accept responsibility in its totality.
I have felt such immense freedom that looking at you I feel sad.
You have the same opportunity, the same potential to blossom into a free individual, but
you go on remaining a slave. And the way you manage it is by never being responsible.
그대는 자유를 누릴수 있다. 그 댓가는 전적으로 스스로 책임을 져야 한다.
나는 엄청난 자유를 느끼지만 그대를 보면 나는 슬프다.
그대도 똑같은 기회가 있고, 자유로운 개인으로 피어날수 있는 똑같은 잠재성이 있다. 그러나
그대는 노예 상태로 남아있다.  스스로 책임을 지지 않기 때문에 노예 상태로 남아있다.
 
You think not being responsible makes you free? Not feeling responsible for your
actions, for your thoughts, for your being, do you think you are freed from all the
consequences? No, absolutely no. It makes you a slave, it makes you something
subhuman. It takes all glory away from you. You cannot stand straight, you become a
hunchback. Your Intelligence cannot grow because you have not accepted the challenge. You are waiting for fate, for destiny, for God. You are thing, "When the time comes- the right time. God willing - I will be blissful too."
책임을 지지 않는다고 자유로울 것이라 생각하는가? 그대의 행동, 그대의 생각, 그대의 존재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지 않으면 모든 결과로 부터 자유로울 것이라 생각하는가?  
절대 자유로울수 없다. 그대를 노예로 만들것이며, 인간이하의 차원으로 끌어내린다.
그대로 부터 모든 영광을 빼앗아 버린다.(인간의 자존감이 사라졌다.)
그대는 똑바로 설수 없으며, 꼽추가 된다. 도전을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그대의 지성은 성장할수 없다.  그대는 운명, 숙명, 신의 뜻을 기다리고 있다. 그대는 "신이 다 해결해 줄거야, 나는 축복받을거야"라고 생각한다.
 
There is no God who can decide your blissfulness. You are alone in existence.
You come alone, you die alone. Between birth and death, of course you can deceive
yourself that someone is with you - your wife, your father, your mother, your husband,
your friend - but this is just make-believe. You come alone, you go alone; you are alone between birth and death.
축복을 내려주는 신은 없다. 그대는 홀로 존재한다.
그대는 혼자 와서 혼자 죽는다. 탄생과 죽음 사이에서 그대는 누군가 함께 있다고 - 그대의 아내, 아버지, 어머니, 남편, 친구 - 자기 기만에 빠질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허상에 불과하다.
그대는 혼자 와서, 혼자 간다. 탄생과 죽음 사이에서 그대는 혼자이다.  
 
나는 과연 자유로운 삶을 살고 있는지 아님 노예적인 삶을 살고 있는지 생각해 보게 되더군요.
편안하고 안전하다는 이유로 누군가 이미 만들어 놓은 길을 가고 있었던건 아닌지...
홀로 존재한다는 것, 전적으로 스스로 책임을 진다는 것은 어떤 상태를 말하는 것일까요?
이미 해답은 나와 있기에 실천적인 행동으로 옮기는 일만 남았네요.^^
 
자전거 타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해 주셨는데요....
우리는 날때부터 자전거를 탈 권리를 타고 난다고 합니다. 
권리를 타고 났다고 해서 자전거를 처음부터 잘 탈수가 없듯이, 자전거를 타는 기술은 배우고 
습득해야 하겠지요. 자유도 마찬가지 아닐까요?
자유를 누릴 권리는 주어졌지만, 그 자유를 어떻게 누리느냐, 그것은 본인에게 달려있는것 같습니다.^^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톰슨씨의 명상기행- 깨달음의 스승 14인이 전하는 자유를 향한 가르침
마두카르 톰슨 지음, 손민규 옮김 / 젠토피아 / 2012년 11월
17,000원 → 16,150원(5%할인) / 마일리지 170원(1% 적립)
양탄자배송
6월 3일 (월) 밤 11시 잠들기전 배송
2012년 12월 05일에 저장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원서강론 재미있어요~~
글쓴이 : 비샤드 날짜 : 2012-11-23 (금) 01:51 조회 : 63
글주소 : type=text/javascript> function get_shorten(obj) { obj.select(); if (g4_is_ie) { document.selection.createRange().execCommand("copy"); alert("글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 }
벌써 원서강론 스터디를 시작한지 한달이 넘었네요.
영어 공부에서 손을 뗀지가 어언~~20년이라는 세월이 흘렀기에 꼬부랑 글씨를 보면 울렁증이 생기고, 외국사람을 만나면 도피증까지 있던 제가 그래도 영어는 꼭 배워야 한다는 일념으로 수업은 빠지지 않고 열심히 듣고 있습니다.
듣다보니 영어에 대한 두려움이 조금씩 사라지고 있음을 느낍니다.
처음 볼때와 두번째 세번째 볼때의 느낌이 틀리구요, 보면 볼수록 영어문장과 함께 해석까지 동시에 되는 현상을 접하다보니 정말 신기하고 재미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단, 번역을 해서 정리하는 과정이 어렵긴 하지만 그것도 열심히 하다보면 잘되겠지요.
 
지난 시간엔 The Problem of God 에 대해 공부했습니다.
어렸을 적부터 늘 신의 존재에 대해 의문을 품어왔었는데, 그런 의문이나 생각들이 자연스럽게 사라진 계기가 된것 같습니다.
 
If there is a God, man can never be free -- that is an impossibility. God and man's freedom cannot co-exist, because the very meaning of God is that he is the creator; then we are reduced to puppets. And if he can create us, he can destroy us at any monent.
He never asked us when he created us -- he is not obliged to ask us when he wants to destroy us. It is purely his whim to create or to destroy. How can you be free?
You are not free even to be. Even your birth is not your freedom, nor is your death your freedom -- and between these two slaveries do you think your life can be freedom?
God has to die if man's freedom is to be saved.    
 
만약 신이 존재한다면, 인간은 절대 자유로울수 없다. 그것은 불가능하다. 신과 인간의 자유는 공존할수 없다. 신의 의미 자체가 창조자라는 뜻이기 때문에 우리는 꼭두각시로 전락된다.
만약 신이 우리를 창조했다면, 그는 언제라도 우리를 파괴할수 있다.
신은 우리를 창조할때 우리에게 한번도 물어본적이 없기에, 우리를 파괴할때도 우리에게 물어볼 의무가 없다. 창조를 하든 파괴를 하든 그것은 순전히 그의 마음에 달렸다.  
어떻게 그대가 자유로울수 있겠는가? 행위의 자유는 커녕 존재의 자유도 없다.
탄생이 그대의 자유가 아니듯, 죽음도 그대의 자유가 아니다. 이 두가지 노예상태에서 그대의 삶이 자유로울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인간의 자유가 보장받으려면 신이 죽어야 한다.  
 
함께 보시고 공부하면 좋겠다는 마음에 일부분만 올려 보았습니다.
해석이 매끄럽지 않은 부분은 지적해 주세요.^^
 
type=text/javascript> function mw_vote_load() { $.get("../skin/board/146/mw.proc/mw.vote.php?bo_table=comm_free&wr_id=15205", function (data) { $("#mw_vote").html(data); }); } function mw_vote_result() { $.get("../skin/board/146/mw.proc/mw.vote.php?bo_table=comm_free&wr_id=15205&result_view=1", function (data) { $("#mw_vote").html(data); }); } function mw_vote_join() { var is_check = false; var vt_num = $("input[name='vt_num']"); for (i=0; i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BORDER-TOP: medium none; OVERFLOW: hidden; BORDER-LEFT: medium none; WIDTH: 100px; BORDER-BOTTOM: medium none; HEIGHT: 21px" src="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www.oshokorea.com%2Fbbs%2Fboard.php%3Fbo_table%3Dcomm_free%26wr_id%3D15205&layout=button_count&show_faces=true&width=450&action=like&colorscheme=light&height=21" frameBorder=0 scrolling=no allowTransparency>

type=text/javascript> // 글자수 제한 var char_min = parseInt(0); // 최소 var char_max = parseInt(0); // 최대

type=text/javascript> function mw_member_photo(mb_id) { win_open('../skin/board/146/mw.proc/mw.comment.image.php?bo_table=comm_free&mb_id='+mb_id,'comment_image','width=500,height=350'); }
아태솔 2012-11-23 (금) 03:33
나는 절대적으로 프리드리히 니체에 동의한다. 붓다 또한 동의한다.
붓다는 신은 없다고 말한다. 마하비라도 신은 없다고 말한다.
"신"에 대한 생각은 위험하다는 간단한 이유에서이다.
사람들이 보호받고 있다고 느끼고 그리고 그들이 성장을 멈춘다는 점에서 위험하다.
만약 그대가 보호받지 않고 있다면, 만약 그대가 하늘아래 놓여 있다면,
 그 때 그대는 그대 스스로의 자신에 의존해야 한다.
그 때 그대는 더 강해져야 하고, 더 성실해져야 한다.
그 때 그대는 지옥이든 천국이든 사는데 자유롭다.
아무도 그대에게 상을 줄 수 없고 그대를 벌할 수 없다.
 
-오쇼 라즈니쉬
(법구경 6 중에서)
type=text/javascript> AutoSourcing.setString(15206 ,"오쇼코리아", "아태솔", "http://www.oshokorea.com/bbs/board.php?bo_table=comm_free&wr_id=15205#c_15206");
type=text/javascript> function mw_member_photo(mb_id) { win_open('../skin/board/146/mw.proc/mw.comment.image.php?bo_table=comm_free&mb_id='+mb_id,'comment_image','width=500,height=350'); }
안나 2012-11-23 (금) 05:45
감탄했어요. 아주 매끄럽고 좋아요.
 
"You are not free even to be
행위의 자유는 커녕 존재의 자유도 없다"
 
특히 이 부분! 이 부분에서 번역자의 고심이 보이네요.
 
 
type=text/javascript> AutoSourcing.setString(15207 ,"오쇼코리아", "안나", "http://www.oshokorea.com/bbs/board.php?bo_table=comm_free&wr_id=15205#c_15207");
     
      type=text/javascript> function mw_member_photo(mb_id) { win_open('../skin/board/146/mw.proc/mw.comment.image.php?bo_table=comm_free&mb_id='+mb_id,'comment_image','width=500,height=350'); }
요잔 2012-11-24 (토) 03:38
그렇죠?
굉장히 잘한 번역입니다.
'행위의 자유는 커녕'을 넣어서 의미를 확 살렸어요.
이 부분이 원문에 없다고 따지면 번역이 뭔지 모르는 사람이죠.
'존재의 자유도 없다'를 '존재의 자유조차 없다'로 바꾸면
앞의 '커녕'과 맞물려서 더 좋은 문장이 되겠네요.
type=text/javascript> AutoSourcing.setString(15216 ,"오쇼코리아", "요잔", "http://www.oshokorea.com/bbs/board.php?bo_table=comm_free&wr_id=15205#c_15216");
          
           type=text/javascript> function mw_member_photo(mb_id) { win_open('../skin/board/146/mw.proc/mw.comment.image.php?bo_table=comm_free&mb_id='+mb_id,'comment_image','width=500,height=350'); }
비샤드 2012-11-24 (토) 12:07
요잔님께서 풀어서 설명해 주지 않으셨다면, 문장에 숨어있는 뜻을 전혀 알지 못했을거에요.
보이는것도 제대로 해석을 못하는데, 제가 어찌 숨은 뜻까지 알아챌 수 있었겠어요?ㅎㅎ
type=text/javascript> AutoSourcing.setString(15220 ,"오쇼코리아", "비샤드", "http://www.oshokorea.com/bbs/board.php?bo_table=comm_free&wr_id=15205#c_15220");
type=text/javascript> function mw_member_photo(mb_id) { win_open('../skin/board/146/mw.proc/mw.comment.image.php?bo_table=comm_free&mb_id='+mb_id,'comment_image','width=500,height=350'); }
자그나 2012-11-23 (금) 10:06
감사합니다.이렇게 비샤드님이 원서강론을 올려주시니,
영어공부도 조금씩 하게 되네요. 
"You are not free even to be
행위의 자유는 커녕 존재의 자유도 없다"
 이 문장은 벌써 외웠네요.
 
type=text/javascript> AutoSourcing.setString(15209 ,"오쇼코리아", "자그나", "http://www.oshokorea.com/bbs/board.php?bo_table=comm_free&wr_id=15205#c_15209");
type=text/javascript> function mw_member_photo(mb_id) { win_open('../skin/board/146/mw.proc/mw.comment.image.php?bo_table=comm_free&mb_id='+mb_id,'comment_image','width=500,height=350'); }
질라 2012-11-23 (금) 14:27
오쇼의 영어 원서로 스터디를 한다니 왠지 어렵고 심각한 분위기일 것 같으나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제가 원래 공부라면 딱 질색인데 참 재밌어요. 영어를 잘하고 못하고는 아무 상관이 없구요.
그런데 여기서 아무리 재밌다고 해봐야 소용없을 거 같고 참여해봐야 알 듯~~~~~
 
그리고 제가 자주 깨알같은 재미를 선사한답니다.
오쇼의 말씀을 공부하며 기분이 좋다보니 릴렉스가 되어서인지 종종 졸거든요.
한번은 열심히 졸다가 문득 눈을 떠보니....
비샤드님이 저를 보고 웃고 있더라구요. ㅋㅋㅋㅋ
 
type=text/javascript> AutoSourcing.setString(15212 ,"오쇼코리아", "질라", "http://www.oshokorea.com/bbs/board.php?bo_table=comm_free&wr_id=15205#c_15212");
type=text/javascript> function mw_member_photo(mb_id) { win_open('../skin/board/146/mw.proc/mw.comment.image.php?bo_table=comm_free&mb_id='+mb_id,'comment_image','width=500,height=350'); }
요잔 2012-11-24 (토) 03:31
괄목할만한 발전이군요.
문장의 완성도가 좋습니다.
나중에 한번 따로 시간을 내서,
번역문만 갖고 다듬는 기회를 가지는 것도 좋을 것 같군요. 
type=text/javascript> AutoSourcing.setString(15215 ,"오쇼코리아", "요잔", "http://www.oshokorea.com/bbs/board.php?bo_table=comm_free&wr_id=15205#c_15215");
type=text/javascript> function mw_member_photo(mb_id) { win_open('../skin/board/146/mw.proc/mw.comment.image.php?bo_table=comm_free&mb_id='+mb_id,'comment_image','width=500,height=350'); }
카지임 2012-11-24 (토) 12:42
중요 포인트를 쪽집게 같이 콕 집어 내는 오쇼의 언변술도 대단하고
비샤드님도 프로 번역가 다운 실력을 발휘하셨습니다!
type=text/javascript> AutoSourcing.setString(15222 ,"오쇼코리아", "카지임", "http://www.oshokorea.com/bbs/board.php?bo_table=comm_free&wr_id=15205#c_15222");
type=text/javascript> function mw_member_photo(mb_id) { win_open('../skin/board/146/mw.proc/mw.comment.image.php?bo_table=comm_free&mb_id='+mb_id,'comment_image','width=500,height=350'); }
타티나 2012-11-25 (일) 19:40
아~ 비샤드님 대단하세요^^
영어만 생각하면 기가 죽는(?) 저의 부러움의 소리가 들리시나요? ㅎㅎ
type=text/javascript> AutoSourcing.setString(15242 ,"오쇼코리아", "타티나", "http://www.oshokorea.com/bbs/board.php?bo_table=comm_free&wr_id=15205#c_15242");
type=text/javascript> function mw_member_photo(mb_id) { win_open('../skin/board/146/mw.proc/mw.comment.image.php?bo_table=comm_free&mb_id='+mb_id,'comment_image','width=500,height=350'); }
아니샤 2012-11-27 (화) 13:28
어, 저는 이제서야 숙제를 시작합니다.
 이거 날림공사가 되지 않아야 할텐데요.
 
지난주에 집컴에 부팅비밀번호를 깔아놨는데
잘못되어 인터넷도 안되고 컴이 엉망이었거든요.
 
내내 못하고 어제(월)는 서울출장 헐레벌떡 다녀오고
오늘 틈틉이 하려구요, ㅠㅠ
type=text/javascript> AutoSourcing.setString(15261 ,"오쇼코리아", "아니샤", "http://www.oshokorea.com/bbs/board.php?bo_table=comm_free&wr_id=15205#c_15261");
src="../skin/board/146/cheditor/cheditor.js" type=text/javascript> type=text/javascript> var ed_wr_content = new cheditor(); ed_wr_content.config.editorHeight = '100'; ed_wr_content.config.editorWidth = '100%'; ed_wr_content.inputForm = 'tx_wr_content';
style="MARGIN: 0px" name=fviewcomment action=./write_comment_update.php method=post encType=multipart/form-data autocomplete="off">
스타일
굴림
9pt
class=cheditor-editarea style="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VISIBILITY: visible; PADDING-BOTTOM: 0px; MARGIN: 0px; PADDING-TOP: 0px; HEIGHT: 100px" frameBorder=0>
<html> <body>
 
 
 
 
비밀글 (체크하면 글쓴이만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첨부파일

src="../js/jquery.kcaptcha.js" type=text/javascript> type=text/javascript> var save_before = ''; var save_html = document.getElementById('mw_basic_comment_write').innerHTML; function fviewcomment_submit(f) { var pattern = /(^\s*)|(\s*$)/g; // \s 공백 문자 /* var s; if (s = word_filter_check(document.getElementById('wr_content').value)) { alert("내용에 금지단어('"+s+"')가 포함되어있습니다"); //document.getElementById('wr_content').focus(); return false; } */ document.getElementById('tx_wr_content').value = ed_wr_content.outputBodyHTML(); if (document.getElementById('tx_wr_content')) { if (!ed_wr_content.outputBodyHTML()) { alert('내용을 입력하십시오.'); ed_wr_content.returnFalse(); return false; } } var subject = ""; var content = ""; $.ajax({ url: "../skin/board/146/ajax.filter.php", type: "POST", data: { "subject": "", "content": f.wr_content.value }, dataType: "json", async: false, cache: false, success: function(data, textStatus) { subject = data.subject; content = data.content; } }); if (content) { alert("내용에 금지단어('"+content+"')가 포함되어있습니다"); f.wr_content.focus(); return false; } // 양쪽 공백 없애기 var pattern = /(^\s*)|(\s*$)/g; // \s 공백 문자 document.getElementById('wr_content').value = document.getElementById('wr_content').value.replace(pattern, ""); if (!document.getElementById('wr_content').value) { alert("코멘트를 입력하여 주십시오."); return false; } if (typeof(f.wr_name) != 'undefined') { f.wr_name.value = f.wr_name.value.replace(pattern, ""); if (f.wr_name.value == '') { alert('이름이 입력되지 않았습니다.'); f.wr_name.focus(); return false; } } if (typeof(f.wr_password) != 'undefined') { f.wr_password.value = f.wr_password.value.replace(pattern, ""); if (f.wr_password.value == '') { alert('패스워드가 입력되지 않았습니다.'); f.wr_password.focus(); return false; } } if (!check_kcaptcha(f.wr_key)) { return false; } var geditor_status = document.getElementById("geditor_wr_content_geditor_status"); if (geditor_status != null) { if (geditor_status.value == "TEXT") { f.html.value = "html2"; } else if (geditor_status.value == "WYSIWYG") { f.html.value = "html1"; } } return true; } function comment_box(comment_id, work) { var el_id; // 코멘트 아이디가 넘어오면 답변, 수정 if (comment_id) { if (work == 'c') el_id = 'reply_' + comment_id; else el_id = 'edit_' + comment_id; } else el_id = 'mw_basic_comment_write'; if (save_before != el_id) { if (save_before) { document.getElementById(save_before).style.display = 'none'; document.getElementById(save_before).innerHTML = ''; } document.getElementById(el_id).style.display = ''; document.getElementById(el_id).innerHTML = save_html; // 코멘트 수정 if (work == 'cu') { document.getElementById('tx_wr_content').value = document.getElementById('save_comment_' + comment_id).value; } document.getElementById('comment_id').value = comment_id; document.getElementById('w').value = work; save_before = el_id; ed_wr_content.run(); } if (typeof geditor_textareas != "undefined") { geditor_load(); } if (work == 'c') { } } comment_box('', 'c'); type=text/javascript> function comment_delete(url) { if (confirm("이 코멘트를 삭제하시겠습니까?")) location.href = url; }

   

type=text/javascript> function btn_print() { win_open("../skin/board/146/mw.proc/mw.print.php?bo_table=comm_free&wr_id=15205", "print", "width=800,height=600,scrollbars=yes"); } type=text/javascript> function file_download(link, file, no) { if (0) win_open("../skin/board/146/mw.proc/download.popup.skin.php?bo_table=comm_free&wr_id=15205&no="+no, "download_popup", "width=500,height=300,scrollbars=yes"); else document.location.href=link; } src="../js/board.js" type=text/javascript> src="../skin/board/146/mw.js/mw_image_window.js" type=text/javascript> type=text/javascript> // 서명 링크를 새창으로 if (document.getElementById('signature')) { var target = '_blank'; var link = document.getElementById('signature').getElementsByTagName("a"); for(i=0;i type=text/javascript> if (document.getElementById('view_content')) { var target = '_blank'; var link = document.getElementById('view_content').getElementsByTagName("a"); for(i=0;i type=text/javascript> function mw_copy() { if (window.event) { window.event.returnValue = true; window.setTimeout('mw_add_source()', 10); } } function mw_add_source() { if (window.clipboardData) { txt = window.clipboardData.getData('Text'); txt = txt + "\r\n[출처 : http://www.oshokorea.com]\r\n"; window.clipboardData.setData('Text', txt); } } //document.getElementById("view_content").oncopy = mw_copy; type=text/javascript> $(document).ready (function() { resizeBoardImage(600); }); src="http://ajax.googleapis.com/ajax/libs/jqueryui/1.8.4/jquery-ui.min.js" type=text/javascript> src="../skin/board/146/mw.js/tooltip.js" type=text/javascript>
style="MARGIN: 0px" name=fcategory method=get> 총 게시물 1,157건, 최근 3 건
id=fboardlist name=fboardlist method=po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157  블랙 프라이데이 세일 카지임 14:10 6
1,156  분노의 결과 카지임 13:39 7
1,155  12월, 1박 2일 명상캠프 안내 오스카 03:21 14
1,154  요잔님께 한 가지 여쭈어봐도 되겠는지요? +4 아태솔 11-29 40
1,153  출근길에 생긴 황당한 일 +11 아니샤 11-28 53
1,152  되돌아볼 일들 +10 나빈 11-28 56
1,151  질라님댁 2차 김장담근 날 +8 아침정원 11-27 46
1,150  추어탕 +8 타티나 11-25 39
1,149  도서출판 젠토피아 2012년 11월 이벤트 안내 (이미지 클릭해보세… +10 젠토피아 11-24 68
1,148  Hot Coffee, so hot hot ~ +7 정걸 11-24 44
1,147  원서강론 재미있어요~~ +10 비샤드 11-23 64
1,146  직접 만들어 먹는 건강 주스 +11 카지임 11-22 44
1,145  궁금한게 있는데요? +6 아태솔 11-21 64
1,144  야호~!! +9 타티나 11-20 63
1,143  오쇼 신간 안내 - 떠도는 자의 노래 1,2권 & 톰슨씨의 명상기행 +8 오스카 11-19 65
1,142  안녕... 아빠, 그리고 부띠야 +13 질라 11-18 63
1,141  가입인사 드림니다. +22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