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린의 날개 재인 가가 형사 시리즈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김난주 옮김 / 재인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추리소설의 성패는 뭐니 뭐니 해도 작가가 독자의 시선으로부터 범인을 얼마나 멀리 떨어트려 놓느냐에 달려 있을 것이다. 그렇다고 독자로 하여금 사건과는 한 치의 연관성도 없는 먼 곳을 끝없이 배회하도록 만들어서도 안 되겠지만 말이다. 아무튼 작가는 독자가 눈치챌 듯 말 듯한 거리에서 사건의 핵심에 근접하지 못하도록 적당한 가림막을 치고 소설을 이끌어가는 게 관건이지 않을까 싶은 것이다. 독자는 진범이 도대체 누구야? 궁금해하면서 감질나게 던져주는 작가의 힌트에 애를 태우며 책을 읽게 된다. 이와 같이 작가와 독자의 밀당은 소설이 끝날 때까지 이어진다. 추리소설의 독자는 작가와의 적당한 긴장관계를 은근히 즐기면서 시나브로 애독자가 되는 것이다.

 

다작 작가로 유명한 히가시노 게이고의 작품 중에 가가 형사 시리즈는 그의 유일한 연작 시리즈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 출간한 <기린의 날개>는 가가 형사 시리즈의 9번째 작품으로서 소설이 끝날 때까지 진짜 범인을 찾아내기가 쉽지 않은 책이다. 어느 늦가을 밤, 도쿄 한복판의 니혼바시 다리 위에 있는 날개 달린 기린의 조각상 앞에서 한 남성이 가슴에 칼이 찔린 채 사망한다. 다행히도 죽은 피해자가 경찰에 의해 발견되는 바람에 주변 도로가 통제되고 곧바로 검문 검색이 시작되었다. 얼마 후 용의자로 보이는 한 젊은 남자가 오토바이를 타고 경찰의 검문을 피해 달아나다가 차에 치여 중태에 빠진다.

 

병원으로 옮겨진 용의자는 의식이 돌아오지 않은 채 사경을 헤매고, 사건을 맡은 마쓰미야 형사와 가가 형사는 탐문을 시작한다. 피해자의 지갑이 용의자의 몸에서 발견되었지만 범행 도구로 쓰였던 칼에서는 용의자의 지문이 발견되지 않은 상황. 더구나 용의자는 의식이 없어서 그의 알리바이를 확인할 수도 없었다. 혈혈단신의 몸으로 애인과 함께 도쿄로 상경하여 계약직을 전전하며 하루 벌어 하루 먹고 사는 형편이었던 용의자 야시마 후유키. 언론과 경찰은 야시마 후유키를 범인으로 몰아간다.

 

사건은 그렇게 싱겁게 종결되는 듯했다. 사경을 헤매던 용의자는 결국 병원에서 생을 마감하고 살해된 피해자 아오야기 다케아키의 주변을 탐문하던 중 그가 다니던 회사의 산재 은폐 정황이 우연히 드러난다. 게다가 용의자인 후유키가 그 회사에서 계약직으로 근무하던 중 다쳤었다는 사실과 산재 보상도 받지 못한 채 해고되었다는 사실이 언론에 보도됨으로써 살해 동기마저 충족되는 듯 보였다. 그러나 다케아키의 죽기 전 행적을 꼼꼼히 추적하던 가가 형사는 뭔가 새로운 단서를 발견하고...

 

건축 부품 제조회사의 본부장이었던 다케아키는 산재 은폐의 모든 책임을 떠안게 됨으로써 남겨진 그의 가족들은 주변 사람들로부터 비난의 시선을 받게 된다. 그런 과정에서 다케아키의 딸이 자살을 시도하고 아들 유토마저 학교 생활에 적응하지 못한 채 겉돈다. 쉽게 해결될 듯했던 사건은 다시 미궁으로 빠지고 후유키의 행적을 더듬던 가가 형사는 그가 범인이 아니라는 확신을 하게 된다.

 

"살인사건이란 게 암세포와 같아서 일단 생겼다 하면 그 고통이 주위로 번진단 말이지. 범인이 잡히든 수사가 종결되든, 그 고통에 의한 침식을 막기 어려워." (p.249)

 

범인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작가의 시선은 사회의 온갖 부조리를 조망한다. 정당한 대우를 받지 못한 채 노동에 투입될 수밖에 없는 계약직 근로자의 현실과 도시 주변부의 약자가 언론 권력에 의해 힘없이 범인으로 몰리는 과정과 가정내 소통부재의 모습 등을 작가는 소설에 등장하는 여러 인물들을 통하여 크게 부각시킨다. 가가 형사는 피해자가 생전에 신사를 돌며 누군가를 위한 속죄와 구원의 기도를 해 왔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진실을 향해 한 걸음 한 걸음 내딛기 시작한다.

 

"유토는 빈사의 상태로 니혼바시 다리를 향해 걸어간 아빠의 심정을 이해할 것 같았다. 아빠는 아들에게 전하고 싶었던 것이다. 용기를 내라, 진실로부터 도망치지 마라, 자신이 믿는 대로 하라, 라고. 눈물이 넘쳐흘렀다. 가슴 깊은 곳이 뜨거워졌다. 이제야 아빠의 진심을 알게 됐다는 생각이 들었다. 왜 좀 더 대화를 나누지 못했을까, 왜 아빠 생각을 이해하려 하지 않았을까, 유토는 그렇게 후회하며 자신을 질책했다.(p.396)

 

우리는 언제나 사건 현장의 범인을 질책하는 데에는 익숙하다. 그러나 그 이면의 부조리한 사회 현상을 바라보는 데에는 낯설다. 범인을 욕하는 현장에 자신도 동참함으로써 은연중에 저질렀을지도 모르는 자신의 범죄가 죄사함을 받는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우리는 그렇게 또 다른 가면을 바꿔 쓰는 것이다. 타인의 죄를 나무람으로써 자신의 도덕성이 부각되고 자신이 지은 이제까지의 모든 죄가 죄사함을 받는다고 믿는 세상, 우리는 그런 허구의 세상을 살고 있는 것이다. '염치'가 사라진 세상에서 너도, 나도 죄인이 아니라고 우긴다는 건 일종의 블랙 코미디가 아닐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