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열네 살이 어때서? - 노경실 작가의 최초의 성장소설
노경실 지음 / 홍익 / 2010년 9월
평점 :
절판
이책을 읽으며 나의 열네 살은 어떠했는지 생각해 보며 그때의 내 나이 만큼이나 훌쩍 커버린 딸아이를 본다. 누구나 지나게 되는'열네 살'이 왜 그토록 특별 한지, 긴 인생의 한 시점일 뿐인 열네 살에 왜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는 것일까? 아마도 그 이유는, 초, 중, 고의 학년제의 중간으로 자아를 형성하는 시기이며, 한 사람의 어른으로 자기 삶에 책임을 지면서 자신만의 영역을 형성해가기 시작하는 나이이기 때문일 게다. 그렇기에 열네 살부터 어른들은 사회에서 살아남는 법을 가르치며 남보다 더 강하고 뛰어나야만 치열한 경쟁에서 좋은 위치를 선점할 수 있다고 독려한다. 열네살의 아이들에겐 세상이 모두 신기하고 하고싶은 일도 많을 것이다. 허나 어른들의 강요에 못이겨 공부에 모든 것을 올인하며 고통스런 나날을 보내고 있다. 얼마나 많은 꿈들이 어른들의 이기심에 의해 무참히 꺾여 버렸으며, 사춘기의 한때 방황이라며 아픔을 겪는 아이들을 방관하며 그저 시간이 지나면 해결되는 것 이라 무시해 왔는가. 아이들을 둘러싼 환경은 더 자극적이고 유혹의 손길은 깊다. 하지만 아이들은 더 바쁘기만하다.
부모나 공부보다 친구와 게임이 더 좋고, 패션 등에 관심이 많고 연애인에 열광하는 평범한 열네 살 연주에게도 공부 보다는 춤과 노래가 더 좋다. 가수가 되는 것이 꿈인 연주에게 공부와 엄마는 넘어야할 높은 벽이다. 가수가 되든, 다른 무엇이 되려든 간에 공부는 무조건 잘해야 한다는 것이 엄마의 지론이다. 연주도 막상 가수가 꿈이긴해도 당장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종잡을 수 없기에 다른 친구들처럼 따분한 하루 하루를 보내고 있을 뿐이다.
그러던 어느 날 엄마와 백화점에서 만나기로한 연주는 백화점 행사인 공개 오디션 포스터를 보게 되고 묘한 흥분을 경험한다. 떨리는 마음을 애써 진정시키며 막상 접수하려는데만 이미 기간이 지났단다. 실망하며 돌아설 수 밖에 없는 연주에게 친구는 수학여행 장기자랑에 나가 보길 권한다. 일등 하는 꿈에 부풀지만 이번에도 여의치 않다. 참가 선수들은 기존의 곡이 아닌 창작곡을 불러야 한단다. 열네 살 소녀에게 꿈을 향하 길은 멀기만 하다. 하지만 그녀에게 좌절은 어울리지 않다.
아픔이 있어도 꿋꿋하게 털고 다음 기회를 준비 할 것이다.
가슴속에 간직한 짝사랑하는 선배 오빠가 유학을 간단다. 하지만 꿈을 이루기위해 머나먼 남의 나라까지 간다니 허전하고 알수 없는 아릿한 아픔에도 그저 그가 열심히 공부해서 원하는 바를 이루길 바랄 뿐이다. 그녀의 꿈을 응원하기는 커녕 자신의 능력을 제대로 파악하고 빨리 포기하고 다른 길을 알아보라며 악담도 서슴치 않는 엄마가 서운하고 화도 나지만 그럴 때마다 연주는 생각한다.
'난 드라마에 나오는 재벌가의 딸도 아니고, 대단한 얼짱도 아니다. 명문대가 보장된 수재도 아니고, 단번에 스타가 될 재능도 없다. 하지만 난 이렇게 나를 잘 알고 있고, 나를 아는 만큼 노력한다. 지금의 나를 위해, 먼 미래의 나를 위해...'
열네 살 연주의 일상은 학교 수업이 끝나고 교문을 나서면 기다리고 있던 학원으로 가는 버스에 몸을 싣는다. 늘 반복적으로 공부에 지친 아이들을 학원 앞에 쏟아 놓고 늦은 밤, 수업을 마친 연주를 다시 집에까지 데려다 준다. 친구들은 경쟁상대일 뿐이며, 아이들은 어른들이 강요에 못이겨 꽉 짜여진 시간표대로 움직이는 감정이 메마른 로봇이 되어만 간다. 연주의 모습은 이 시대를 살고 있는 10대들의 모습이며 다른 아이들 또한 연주와 별반 다르지 않을 것이다. 좌절의 연속이지만 그녀에게는 언제나 옆에서 응원해 주는 친구들이있고 사랑하는 가족들이 있다. 무엇보다 꿈이 있고 그것을 이루고자 하는 열망이 있는 한 연주는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 지금은 비록 그 꿈을 이루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모르고 헤맬지라도
그녀는 당차게 그녀 앞에 놓인 장애물들을 하나씩 헤쳐나가며 앞으로 나아갈 것이다. 우리도 그러했듯 열네 살의 연주 또한 그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