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유의 역습 - 당신이 몰랐던 우유에 관한 거짓말 그리고 선전
티에리 수카르 지음, 김성희 옮김 / 알마 / 2009년 10월
평점 :
절판
우유가 완전 식품임을 철석같이 믿고 있으며 큰키를 선호하는 요즘 세태에 맞게 키가 크기 위해서라도 매일 우유를 꼭 마시라고 아이들에게 강요아닌 강요를 한다. 남편에겐 늙어서 뼈에 구멍 숭숭나서 고생하기 싫으면 칼슘이 풍부한 우유를 한살이라도 젊을때 많이 마사라고 협박까지 해가며 우유나 유제품들로 그득한 냉장고를 보며 흐믓해하곤 한다. 그런데 마른하는에 날벼락도 유분수지 지나친 우유소비를 반대하며 유제품 마니아들에게 치명타 한 방을 날리는 '우유의 역습'이란 책이 우리에게 왔다. 읽어야하나 못본척 해야 하나 고민을 거듭한 끝에 아는것이 힘이라는 옛말을 상기해가며 가족의 건강과 직결된 문제임에 주부로서의 사명감을 가지고 꼼꼼히 읽었다.
우리가 어떻게 유제품이 완전식품이라고 믿게 되었을까?
저자의 주장에 의하면 그 배후에는 낙농업계의 선전과 로비활동이 있다고 한다. 그들의 마케팅 전략에 의해 학교 우유급식이 결정되었으며 이는 우유의 소비를 통해 생산량의 재고를 없앤다는 목적과도 맞아 떨어지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국민의 건강을 위한다는 미명하에 낙농업계의 연구비를 지원 받은 의료계와 과학계의 잇따른 연구 발표에 의해 고혈압, 콜레스테롤, 대사증후군,당뇨병과 경색의 위험을 낮추려면 유제품을 많이 먹으라고 조언하며 유제품을 먹지 않고는 살아가는게 거의 불가능하다고 믿게 만들었다. 하지만 바로 그 우유가 골다공증을 예방하기는커넝 악화시키고 있단다.
평생 유제품을 과다 섭취하게 되면 초반에는 높은 골밀도를 얻겠지만 뼈에 조골세포를 공급하는 능력이 예정된 시간보다 빨리 고갈된다. 과도하게 유입된 우유칼슘은 뼈가 스스로 재생하는 능력을 수십년만에 소진시켜 버렸기에 골다공증으로 이어질수 있는 이유가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단다.
우유가 제2당뇨병,비만, 심혈관 질환과 같은 만성 질환을 야기시킬수 있다?
유제품은 당지수가 낮기 때문에 장점으로 여기기도 하거니와 언뜻 생각하기에 괞잖을것 같지만 문제는 유제품에 들어있는 포화지방이 인슐린 저항성을 조장한다는 것이다.
다이어트에 좋다는 감언이설과 선전에 혹해 요그르트나 저지방 내지는 일반 우유보다 비싼 돈을 지불하고 지방이 제거된 우유를 먹고 있지만 다이어트에는 전혀 도움이 안될 뿐더러 탈지유에서 제거된 지방은 크림이나 아이스크림등의 형태로 결국은 우리 가족이나 누군가가 마시거나 먹게 된다. 또한 세계보건기구에서 산정된 칼슘필요량에서 조차 우리가 모르는 비밀이 있으니 유제품을 거의 먹지 않거나 아예 먹지 않고도 그 필요량을 채우는 방법이 있으니, 콩,토마토, 양파나 상추 허브등의 알칼리성 식품이나 생선을 많이 먹고 패스트푸드나 짠음식을 피하면 된단다.
젖은 막 태어난 아가가 소화계를 충분히 발달시켜 음식을 통해 영양소를 흡수 할때까지만 먹으면 되니 굳이 청소년이나 성인이 되어서도 젖을 계속 먹을 필요는 없는 이유이다. 어떤 포유류도 젖 뗀뒤에는 젖을 먹지 않음이다. 유제품을 다량으로 섭취하는것은 이유를 막론하고 권장할 만힌 일이 아닐 것이다. 야채나 생선 견과류, 콩과 식물등 다른 식품으로도 충분히 섭취할수 있다. 단 다른 식품을 통해 단백질과 비타민, 무기질의 양을 늘이지 않으면서 모든 유제품을 피하기만 하는것은 현명한 방법이 아니리라. 몸에 좋다고하면 무조건 많이 먹거나 편식하는 식습관을 고치고 한가지 음식을통해 영양분을 모두 얻겠다는 생각을 버리고 거칠고 소박한 음식 그리고 적당한 운동이 우리의 건강을 위한 최선책이란 결론을 얻었다. 무엇이든 과하면 모자람만 못하다 했다.음식이라고 예외는 아니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