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58 제너시스 ㅣ 내인생의책 푸른봄 문학 (돌멩이 문고) 7
버나드 베켓 지음, 김현우 옮김 / 내인생의책 / 2010년 3월
평점 :
절대로 마지막 장면을 먼저 읽지 말라고 이 책을 읽을 또다른 독자를 위해 하고픈 말이다. 그만큼 이책의 말미엔 누구도 예측하지 못했던 완벽한 반전이 숨겨져 있기 때문이다.
아낙시맨더가 공화국 학술원에 들어가기 위해 2시간이나 소요되는 긴 면접을 치르게 되면서 이야기가 시작되지만 공화국의 역사와 '아담'이란 인물에 관한 발표를 계속하면서 아담의 이야기가 주가 된다. 그녀는 인터뷰를 무사히 마치고 최고지성집단인 학술원의 일원이 될수 있을까?
3차 대전이 발발과 전염병이 전세계로 번지자 세상은 암울한 혼돈속에 빠지게되고
기업가 플라톤은 때맞춰 남태평양의 섬을 사들여 자신만의 공화국을 세운다. 그리고 섬 주위에 높은 해양방벽을 쌓아 전쟁과 전염병에 시달리는 외부로부터 공화국을 보호하고 주민들은 안전을 담보로 자신의 의지와 선택권을 국가에 위임하고 철저한 신분제를 통해 국가의 통제하에 생활한다.
뗏목을 타고 공화국으로 다가오는 소녀를 발견한 보초병 아담, 국가와 국민들의 안위를 위해 전염병을 퍼뜨릴 수 있는 외부인을 즉시 사살해야 한다는 공화국 법을 어기고 아담은 동료를 죽인후 소녀를 피신시킨다. 이일로 감옥에 갇히게 된 아담은 재판에 회부되나, 사형을 면하는 대신 스스로 진보가 가능한 인공지능 로봇 '아트'와 함께 감옥 생활을 하게 된다. 지적인 면에서 인간보다 우위에 있는 아트는 로봇이 인간보다 더 진화한 개체라고 주장한다. 이에 아담은 인간에게는 감정이 있고 인간만이 가진 열망을 배에 탄 여자아이의 눈에서 보았다고 그런 열망이 로봇에게선 찾을수 없다고 말한다.
“배에 탄 여자애를 보았을 때, 나는 절망 이상의 무엇을 본 거야. …… 거대한 위험 속에서도 길을 나서기로 했던 오래전의 결정, 모든 것을 걸고서라도, 더 좋은 삶을 살려는 열망을 봤어. 소녀의 눈을 들여다보면서 나 자신을 봐 버렸던 거야. 이미 마음먹었던 결정들, 절대 채워지지 않는 열망들, 그런 것들을 뭐라고 해야 할지 모르겠어. 나는 욕망을 봤고, 선택들을 본 거지. 하지만 네 눈에서는 그런 것들을 본 적이 없어"
아담은 감옥 탈출을 시도한다. 목숨은 붙어있다는 사실에 감사하기에는 자신이 꿈꾸는 삶에 대한 열망이 너무 강했기에 그는 무모한 줄 알면서도 시도할수 밖에 없었으이리라. 아담은 원죄를 지었으며 그로인해 바이러스 형태로 로봇에게 전염된다.
소설 속 공화국이나 플라톤, 혼돈을 뜻하는 아낙시맨더, 페리클레스, 탈레스, 아리스토텔스 등 그리스 철학자와 같은 이름들과 이 책의 제목이기도한 창세기를 뜻하는‘제너시스'‘아담’등 익숙한 이름들을 통해 그것들이 함축하고 있는 바를 은유적으로 우리에게 말하고 있다. 다분히 철학적이지만 재미가 반감되지 않는 탁월한 재능이 작가에게 있는가 보다. 그다지 많은 분량이 아님에도 많은 생각을 하게끔하고 재미있지만 결코 가벼울 수 없는 이야기다. 미래소설이라 칭하기엔 너무 사유적이며 함축적이고 철학책도 아닌 이 책을 읽고난 뒤 여전히 머릿속이 혼란스럽다. 인간적인게 뭔지, 만약 생각하는 감정이있는 로봇이 미래에 개발 된다면 그 로봇을 뭐라 불러야 할까?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것이 무얼지 여전히 두렷한 답변이 떠오르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