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러브 차일드
김현영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4월
평점 :
절판
미래에 일어날지도 모를 인간 세계의 모습을 그리고 있는 '러브 차일드'는 첫 장부터 인간이 폐기물로 처리되고 있는 처참한 광경을 담담하게 묘사하고있다. 기계적인 말투로 아무렇지도 않게 일상의 일을 처리하듯 작가는 말한다. 너무도 사실적이기에 소름끼치도록 잔인함이 베어져 나오는 문장을 접하며 '아니겠지, 설마 우리에 이런 끔찍한 일들이 일어 나겠어'라고 내 자신에게 주문처럼 중얼거리게 된다. 그러다 문득문득 어쩌면... 이란 의문이 슬그머니 고개를 쳐들라치면 온몸에 차갑고 섬득한 느낌이 들곤 한다. 인간과 다른 생물체를 구분짓게 만드는 것이 무엇인지, 인간성에 관해 곱씹어 생각하게끔 하는 이야기다.
미래의 어느날, 인간을 쓰레기로 처리하는 현장에 쓰레기로 버려진 진짜 쓰레기가 된 인간들이 트럭에 실려 온다. 그들의 마지막 비참하고 처절한 삶을 마감하기 위해. 성이나 노동에 착취 당하고 문명의 시스템을 작동 시키기위해 사육되는 가장 밑바닥 인간들의 마지막 처리과정을 소설 속의 세계를 창조하고 운영하는 지도 그룹의 인간들이나 그들의 세상에 소리 없이 공모하는 민간들은 일부러 보지 않고 모른 채 일상을 살아간다. 민간인도, 지도 그룹도 그런 세계에 대해서는 어떠한 죄책감도 느끼지 못한다. 그저 당연한 일과일뿐.
지배 계층은 부와 화려함으로 치장된 생활과 인공적으로 유지되는 젊음을 유지하고자 권력과 재산을 동원하고, 자기가 속하길 바라는 지도 그룹을 동경하며 권력에 다가서려 발버둥 치며 그들의 시스템에 공모하는 민간들의 처절함이 눈물겹다. 인간성을 배제시킨 채 만들어지고 인공부화시킨 동물처럼 세상에 태어나 민간인들에게 노동력을 제공하고 원활한 공급을 위해 번식력을 저당잡힌 채 살아가는 수, 성장하지만 노화하지 않는 호르몬을 투여 받고 지도 그룹에 디저트란 이름으로 성적 공유의 대상이 되고 사유재산으로 간주되 상속된 진. 어둡고 냄새나는 폐기장 속에서 재회하게 된 진과 수는 과연 희망이라는 끈을 놓지 않고 살 수 있을까.
“너는 그냥 변해. 마음 놓고 변해가. 자연스럽게, 그저 자연스럽게. 그게 네가 내게 해줄 수 있는 최고의 선물이야. 대신 내가 변하지 않을게. 무슨 수를 써서라도 영원히 이 모습 그대로 있어줄게. 네가 언제 어디서든 나를 알아볼 수 있도록.”
쓰레기로 분류된 (의료폐기물로 분류되는 낙태아들, 60세가 넘어 생의 전환기 검사를 통해 폐기물로 처리되는 노인들) 자들이나 이런 스템을 만든자에게도 과연 인간성이 존재하는지에 묻고 또 묻게 만든다.
미래를 배경으로 하지만, 문명의 발달로 인한 인간성 상실과 비참한 현실이 소설 속 극단적인 삶의 모습과 너무도 닮아 있다는 작가의 말처럼 분명 우리의 과거의 모습이기도 하고 현재에도 자행되고 있는 모습이도 하기에 애써 외면해왔던 비참한 현실을 '의료 폐기물’이나, 태아나기도 전에 세상으로부터 외면당하고 버려진‘태아령’을 화자로 내세워 새로운 디스토피아란 이름하에 거북하고 참기 힘든 불편한 진실을 폭로하고 있다, 그것도 가장 파격적인 상황을 설정하여.
시스템이 왜 시작되었으며 어떠한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는지 밝혀지면서 주인공인 진과 수가 안고 있는 근원적인 슬픔과 타락한 세상에의해 버려져 벼랑 끝으로 내몰린 사람들의 저항하는 모습이 용산참사의 투쟁 현장과도 겹쳐져 작가가 의도적이든 아니든 현실과 무관하지 만은 않은 참담함이 느껴진다. 그럼에도 너무 감상적이지 않게 냉철하고 객관적을 이 소설을 읽으려 한다. 읽는 내내 불편한 심기와 고개 돌려 외면하고픈 마음과 맞딱뜨려 싸어가며 끝까지 읽어내 수 있었던 것은 이 땅이 힘없고 가난한 삶을 살다 간 무수한 주검들 위에 세워졌단 사실을 상기함이며 그들이 아낌없이 썩어 문드러진 육신을 거름으로 내어준 것 역시 미래의 희망을 위함임을 알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