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트의 별 - 우주 크기의 실마리를 푼 여성 천문학자 헨리에타 리비트의 수수께끼 같은 이야기
조지 존슨 지음, 김희준 옮김, 이명균 감수 / 궁리 / 2011년 10월
평점 :
품절


읽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겠지만, 정말 이 책은 구체적으로 뭘 말하려고 하는지 잘 모르겠다. 리비트에 대한 평전도 아니고 그렇다고 우주에 관한, 분량이 얼마 안되는 작품치고는 초보자들이 접근하기에 만만치 않다. 차라리 이 책을 읽을 봐엔 사이먼 싱의 <빅뱅>중에서 3장 대논쟁편을 찾아 그 챕터만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다. 이 책의 저자가 말하고 싶어하는 것과 사이먼 싱의 <빅뱅>의 대논쟁의 글이 일치하니깐. 게다가 쉽고 재밌기까지 하다.

 

저자는 리비트가 무명의 별로 알려져 있지 않은 여성과학자라고 말하지만, 사실 전혀 그렇지 않다. 공.정.하.게.도 우주의 역사에 관한 책을 읽은 사람이라면, 천문학사에서 애니 점프 캐넌과 함께 리비트를 중요하게 다루지 않는 과학사가는 없다고 단언한다.

 

대체로 과학사가들은 리비트의 소논문 <소마젤란성운의 25개 변광성의 주기>라는 변광성의 표준척도 덕에 변관성과 변관성의 거리 측정이나 지구와의 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었다라고 말한다. 우리의 대기가 공기가 아닌 에테르가 감싸고 있다고 믿었던 19세기 후반의 과학 지식과 기술로는 변광성의 밝기와 주기를 관찰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시간과의 싸움이며 엉덩이와의 싸움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망원경을 통해 사진기으로 밤하늘의 별들을 촬영한 사진이 오면 리비트나 리비트와 같은 일을 하는 여성들(19세기 후반 하버드 천문대장 피커링이 사진을 분석하는 일이 남자보다는 여성이 더 적합할 것 같아 여성팀을 만들어 분석하게 하였다) 이 그 사진들의 별의 밝기와 위치를 체크를 한다. 

 

어디에서나 달인은 나오기 마련. 피커링의 여성분석팀 중에서 리비트는 두각을 나타낸다. 그녀는 다른 지역에서 촬영되어 몇 개월에 걸쳐 배달되어 온 별사진 건판을 통해 변광성 전체의 절반인 2,400개를 혼자 찾아낼 정도로 변광성의 달인(프린스턴의 찰스영 교수가 그녀를 지칭할 정도로) 되었다. 그녀는 여기에 그치지 않았다.

 

실제 우리가 보는 별의 밝기는 겉만 보는 것이다. 그 별이 우리가 보는 것만큼 실제로 밝은지 우리는 그 별 근처에 가까이 가지 않는 이상 모른다. 하지만 우리가 별을 걸어서 갈 수 없는 법. 겉보기에 밝은 별과 실제 밝은 별 사이의 밝기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그녀는 별의 밝기와 주기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측정했다. 그래서 얻어 낸 결론이 변광성의 주기와 밝기 사이에는 비례 관계가 있다는 것을. 하늘에서 두 케페이드형 변광성을 비교하면 지구에서의 상대적 거리를 알아 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거리 측정은 그 때 논쟁적으로 불붓던 안드로메다의 성운이 과연 은하냐 성운이냐하는 논쟁을 간단히 이끌어 낼 수 있었다. 물론 이 일은 허블이 한 것이지만 리비트의 도움이 없었다면 그 논쟁은 이론전쟁으로 끝났을 것이다. 허블은 안드로메다 성운은 은하라는 결론을, 우리 지구와 그 은하와의 거리는 약 90만광년이라고 결론을 내었다. 대논쟁을 끝내기 위해 리비트의 관찰은 큰 역활을 한 셈인 것이다.

 

알고 보면 그렇게 어려운 공식을 설명하는 책도 아닌데 이 책은 참 어렵게도 설명해 놨다. 이런 글을 읽으면 읽을수록 작가의 이야기를 푸는 역량을 알 수 있다. 거의 비슷한 주제의 글을 쓴 사이먼 싱의 <빅뱅>을 다시 떠올려 보면, 싱이 얼마나 글을 낮은 관점에서 정확하게 썼는지 비교할 수 있다. 물론 나의 이해력이 딸리는 것도 한 몫 하겠지만, 좀 더 쉽게 좀 더 재밌게 설명했더라면, 이 책의 분량도 그렇고 좋은 책이 될 뻔했는데, 저자의 설명하는 방식이 좀 아쉬운 책이라는 것은 분명하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boooo 2015-10-04 00:0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정확한 지적입니다. 정말 이해하기가 까다롭더군요. 사이먼 싱이 정말 글을 재미있고 쉽게 잘 쓰죠 저도 빅뱅 읽으며 감탄했습니다

기억의집 2015-10-05 09:56   좋아요 1 | URL
쓴지 꽤 되서 기억이 나지 않지만, 어렵게 읽었던 것 같아요. 그 때 사이먼 싱의 빅뱅을 읽었던 때라 더 비교가 되지 않았나 싶어요. 지금 생각하면, 다시 읽으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어요. 같은 이야기를 쉽게 쓰는 사람이 있고 어렵게 설명하는 사람이 있긴 하죠. 이해하기 쉽게 풀어 설명하는 것도 재주긴 해요~

moss9207 2024-01-28 22: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의 깊이를 모르는 리뷰 ~,,, 천문학 관련 교양 서적을 몇 권 읽은 자로서 쓸 수 있는 리뷰 ~,,, 천문학에 대한 깊이 있는 공부가 필요한 리뷰 ~ 각성이 필요한 리~ 뷰 ~

기억의집 2024-01-28 22:31   좋아요 0 | URL
맞아요. 저도 지금은 반성 많이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저 때와 달리 많이 읽고 유튭도 많이 보면서 이 때의 이글이 얼마나 지적 허세로 쓴 글인지 잘 알고 있습니다. 지울까 하다가 과학책 읽으면서 한때 저의 오류의 역사이기에 남겨 놓은 것입니다.
 
미션 임파서블 : 고스트 프로토콜 - Mission: Impossible - Ghost Protocol
영화
평점 :
현재상영


완전 뻑가고 왔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해 첫날에는 떡국을 끓여 먹어야했는데 오늘이 새해 첫날이라는 것을, 그리고 떡국 끓이는 것도 까먹었다. 여느 때와 다름 없는 일요일 아침인 줄 알고 늦게 일어나 뭐 해 먹을까 고민하다가 이마트에서 사 온 우거지청국장(종가집에서 파는 거 말고 따로 우거지 몇가닥 들어있는 청국장, 이 청국장콩이 정말 맛있다. 나는 청국장속에 김치,무,두부등 갖가지 재료를 넣긴 하지만 청국장콩만 골라 먹는다)을 끓였다. 애아빠와 애들이 일어나기를 기다리면서 아이패드로 전자책 목요일이었던 남자를 읽고 있는데, 

 

울 딸이 부시시 방에 나와  TV를 켜며 털썩 주저 앉으며 엄마, 새핸데 왜 떡국 안 끓였어? 라고 물어볼 때서야,

 

아항, 오늘이 새해 첫날이고 떡국을 끓였어야한다는 것을 알았다. 할 수 없지 뭐. 이왕 청국장 해 놓은 거 버릴 수도 없고. 저녁에나 낮에 끓여먹어야지 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4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The Running Man (Mass Market Paperback)
King, Stephen / Signet / 1999년 8월
13,880원 → 11,380원(18%할인) / 마일리지 570원(5% 적립)
2011년 12월 28일에 저장
구판절판
이 책으로 영어공부를 좀 하기로 했다. 한 육개월 걸릴 것 각오하고. HOOT도 육개월 걸렸는데 이것 아마 더 걸리지 않을까 싶은. 스티븐 킹의 바크만 시절의 작품 경향을 최근작으로 빗대서 말하라고 한다면 Under the dome이 아닐까. 바크만 시절은 이상하게 닫힌(전체주의) 세계에 대한 저항이 주류를 이룬다.
평행우주- 우리가 알고 싶은 우주에 대한 모든 것
미치오 가쿠 지음, 박병철 옮김 / 김영사 / 2006년 3월
28,000원 → 25,200원(10%할인) / 마일리지 1,40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밤 11시 잠들기전 배송
2011년 12월 28일에 저장

재밌는 과학 저술가 셋을 들라하면 서슴없이 데이빗 보더니스, 사이먼 싱 그리고 미치오 카쿠라 말하겠다.
말하는 검
미야베 미유키 지음, 최고은 옮김 / 북스피어 / 2011년 12월
11,000원 → 9,900원(10%할인) / 마일리지 550원(5% 적립)
*지금 주문하면 "6월 19일 출고" 예상(출고후 1~2일 이내 수령)
2011년 12월 28일에 저장

고구레에 실망해서 이 책도 실망하면 어쩌누? 싶었는데 싶었는데 술술 잘 읽힌다
아메리카와 아메리카인
존 스타인벡 지음, 안정효 옮김 / 김영사 / 2011년 11월
15,000원 → 13,500원(10%할인) / 마일리지 750원(5% 적립)
*지금 주문하면 "6월 19일 출고" 예상(출고후 1~2일 이내 수령)
2011년 12월 28일에 저장

스타인벡을 좋아하는 작가라고 생각하진 않았는데 가만 보면 번역되어 나온 작품들 거진 다 가지고 있고 은근 슬쩍 다 읽은 작가라는 생각이 오늘 아침 청소하는데 스쳐 지나갔다.


4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tella.K 2011-12-29 11: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랫만입니다.
올핸 몇번 만나지도 못하고 한해가 지나가는 것 같습니다.
내년엔 좀 자주 뵙게되길 바라며,
한해 마무리 잘 하시구요,
희망찬 새해 맞으시기 바랍니다.^^

기억의집 2011-12-29 09:05   좋아요 0 | URL
스텔라님, 감사해요.
그러게요. 좀 자주자주 뵈야하는데 게으르다 보니..
날씨가 추워요. 보일러를 틀어도 따스해지지가 않네요.
이런 날 감기 조심하시고 내년에는 올해보다 더 많은
행운이 있으시길.

다락방 2011-12-28 15: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앗 기억의집님.
저 페이퍼에 댓글 달고 싶었는데 댓글이 막혀있더라구요. [로 앤 오더] 안본지가 너무 오래되어 보고싶어졌다는 말을 하고 싶었었어요. ㅜㅜ

그런데요 기억의집님. 원서를 읽으실때요 사전으로 단어 찾아가면서 읽으시는건가요? 아니면 모르는 단어는 패쓰하고 읽으시는 거에요?

기억의집 2011-12-29 09:08   좋아요 0 | URL
저도 요즘은 미드 보는 수가 차츰 줄어들어요. 예전같지 않더라고요. 참 그리고 로앤오더 올리비아하고 엘리엇 그만 두었어요. 이번 시즌부터. 안 보게 되더라구요. 예전엔 엘리엇 싫어했는데요.

상황에 따라 달라요. 글 읽은 짠밥이 있어서 대강 앞뒤 문장 보고 이해가 되요. 근데 안 되는 때가 있더라구요. 그러면 할 수 없이 찾아요. 요즘은 영어단어 찾기 참 편해서...전 종이사전 싫어하거든요. 스맛폰이나 아이패드 나와서 편하더라구요.


 

올해 유난히 소설이 안 읽혀 왠만한 집에 있는 소설들은 다 정리했다. 알라딘 헌책방에 팔 건 팔고 버릴 건 다 버렸다. 첨으로 아깝다는 생각이 들지 않았다. 

 

나는 이 나이에도 명품백보다 책을 더 좋은 사람이라 책을 내가 사는 동안 끝까지 고수한다는 방침이었는데, 어느 날 먼지만 쌓여 있는 책들을 보니, 우리집 책들이 불쌍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책의 존재란 무릇 이곳 저곳 이사람 저사람한테 읽혀야하는 도리 아닌가 하고 말이다. 

 

그래서 내린 결론이 다시는 책을 모으는 어리석은 짓은 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작정했다.

 

그래도 예외는 있는 법, 스티븐 킹하고 미야베 미유키 소설만은 버리기 아까워 책장칸까지 마련해서  안방책장에 고히 모셔두었다. 그냥 그 두 작가는 놔두고 싶었다. 필력의 좋고 나쁨을 떠나서. 

 

두 양반 모두 작품이 질적 편차가 심해서 다 가지고 있을 필요는 없지만, 워낙 다작의 작가이고 몇 십년을 꾸준히 작품을 써 오는 사람들이기에 그 두사람에게는 존경심 비스무리한 감정이 생긴 것도 사실이고 무엇보다도,

 

내 인생에 한두 작가의 작품 성향정도는 빠삭할 정도는 아니지만 나름이 나 자신이 분석할 수 있는 그런 그런 작가들을 가지고 있는 것도 좋지 않는가하는, 욕심이 좀 남아있었다.  

 

 

뭐, 여하튼 요즘은 왠간해서는 소설은 사들이지 않는데, 킹옹과 미미여사의 신간이 나오면 즉시 구매하는 습관은 버려지지 않는다. 언제나 나는 그들의 신간에 레이저 빔.

 

미미여사의 저 작품은 나온지 몇 달 되었는데, 나오자 마자 사서 읽었다. 물론 요즘 나온 <고구레사진관>도.

R.P.G.는 <크로스 파이어>에 나왔던 치카코가 나온다길래 그녀의 활약을 기대하면서 읽었는데, 솔직히 활약 제로였다. 페이지수로도 몇 페이지 나오지 않았고. 2000년대 초반에 나온 작품의 한계, 그러니깐 여형사의 능력을 그 시대에 딱 맞게 보여주었다고나 할까. 

 

치카코가 처한 남성위주의 경찰 관료주의 모습 그대로 드러냈고 그 한계 속에서 여형사는 옴짝달짝 못하는 모습, 여전하다. 좀 더 치카코의 캐릭터를 강하게 밀어부쳤으면 좋았을 것을. 어차피 작가의 상상력인데 좀 더 멋지고 그럴싸한 미래의 모습쯤으로 그려졌으면 얼마나 좋았을까,하는 생각이 든 작품이었다.

 

물론 지금도 여형사의 존재는 현실적으로 그렇게 크게 변하지 않았으리라, 짐작된다. 경찰이나 형사하면 우락부락한 남성이미지를 떠 올리지 강인해보이는 여성을 연상되지 않기 때문이다. 허나,현실세계가 그렇다고 쳐도 소설이나 영화 그리고 드라마의 여형사의 이미지는 20세기 초반에 비해 많이 발전(?) 되었다는 것 또한 부인하기 어려울 것이다.

 

2000년대 들어서 여형사가 중심이 되어 드라마(콜드케이스나 로앤오더 시리즈)가 나오고, 특히나 이번 13시즌을 끝으로 로앤오더를 끝내는 올리비아(애칭 리브)의 지난 10년간 드라마에서의 여형사로서의 활약은 대단했다고 말하고 싶다.

 

로앤오더 SUV 12시즌까지 다 본 나로서는 시즌 초반 남성 위주의 강력계 형사의 홍일점으로서 앨리엇을 따라 사건을 쫒아다니며 끌려다녔던 시절부터 (물론 두 사람이 주인공이므로 아주 없는 것은 아니지만) 리브가 독립적으로 사건을 쫒으며 강인해지는 변천사를 목격할 수 있는데, 그러니깐 리브가 강인해지고 독립적으로 변하기까지의 시간의 흐름은 사회가 그것을 요구하고 허용된 시스템으로 변했다는 것을 의미할 수 도 있겠다. 리브가 강인해 져가는 모습의 캐릭터를 잡은 방송작가들에게 경의를.

 

미야베 미유키는 50대의 치카코에게 미래의 여형사의 비젼보다 푸근한 아줌마 형사 이미지를 선사했다는 것은 그녀의 폭 좁은 여성관일까. R.P.G은 무대 연극처럼 한정된 장소에서 일어난다. 바로 취조실. 20세기 초반의 아줌마 형사 치카코가 그 취조실안에서 하는 일은 거의 없다. 사건 해결의 도움을 주는 수준도 안된다. 내가 로앤오더 12시즌의 24회를 보지 않았다면 그냥 그런가보다 하고 넘겼을 것이다.

 

그런데 말이지,

 

리브가 굳은 표정으로 취조자를 몰아부치는 장면. 이 장면은 정말 리브의 진가 - 남형사에게 뒤지지않는 키와 체격의 육체적 강인함뿐만 아니라 심리적 강인함과 매서움을 보여준 -를 이 클로즈 샷에서 소름이 돋을 정도로 느낄 수 있다.

 

취조실에서 리브는 남형사둘과 대등한 위치에서 심문한다. 이 장면 인상적인 게 저 세 사람들이 취조하면서 빙글빙글 도는데, 카메라 앵글이 여형사로서의 리브의 위치가  남형사들에게 전혀 꿀리지 않게 잡아준다. 지금까지 본 크리미널 미드중에서 최고의 장면.

 

21세기에 이런 비젼을 보고 다시 21세기로 돌아가 미야베미유키의 치카코의 활약상을 보니 그녀의 수사력에 불만이 느껴지는 것은 당연지사. 치카코의 위치가 보잘 것 없는 것도 아닌데, 그녀의 능력을 박하게 그려진 것은 그녀의 에도소설의 여주인공 오하쓰에 견주어 볼 때 불공평하다.

 

그 시대의 여자야말로 인간 이하의 존재인데,

 

결론은 하나.  미야베 미유키가 에도 시절을 그린 오하쓰 시리즈의 오하쓰가 20세기에 등장하는 미미여사 소설들의 여자 캐릭터보다 휠씬 대담하고 강인하다는 것을. 이제 미야베 미유키 여사가 쓸 소설은 치카코 이상의, 오하쓰 이상의, 리브 이상의 여형사 정도 내 주어야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