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노 조율을 핑계(!!!!)로 대한민국 전국을 누비며 경양식 맛집을 탐방하고 계시는 28년차 피아노 조율사이신 조영권작가의 맛있는 책을 다 읽고 나서는 왜 이리 쓸쓸한지.
작가는 전국의 동네에서 유명한 경양식집이라면 시간을 내서 방문한다. 작가가 방문한 경양식집의 음식은 소문난 대로 맛있다는 평을 하고 독자도 사진으로 봐도 군침이 돌 정도로 맛있어 보이는데, 이 오래된 식당들이 대를 이어 경양식집을 운영해 노포 식당으로 남을 식당들은 거의 없어 보였다. 대부분 수십년을 부부가 운영하고 그들이 나이 들어 노동의 몸이 허락하지 않으면 폐업의 수순을 밟을 것 같다.
맛집이 한 두개 사라질 것이라고 생각하니 아쉽고 떠나 보낼 생각하니 쓸쓸함과 공허한 맘이 들었다. 식당들이 사라지기 전에 방문해 먹어보고 싶은 다급한 맘이 들지만 거리가 너무 멀어 아마 책에서 소개한 식당들을 방문하기는 쉽지 않을 것 같다. 그나마 이번 주 주말에 당장 갈수 있는 곳이 동두천에 위치한 라르고나 서울 예장동의 그릴데미그라스 정도.
우리 세대에게 돈가스는 고급 경양식 메뉴라 청소년 시절 거의 먹은 적이 없었고 성인이 된 후에는 맘껏 내돈내산할 수 있는 메뉴지만 고기도 먹어 본 놈이 맛있게 먹는다고, 밥하기 귀찮을 때 애들 데리고 가는 동네 돈가스집외에는 즐겨 먹지 않었다.
아, 말이 나온 김에, 예전에 자주 가는 돈가스집의 돈가스는 어쩌다 생각나기는 한다. 애들하고 자주 가서 먹어서인지 그 집의 돈가스만은 먹고 싶을 때가 종종 있다. 박찬일 세프가 추억의 절반은 맛이라고 하지 않었던가. 아이들하고 나눠 먹던 돈가스집의 맛이 추억으로 남아 있다.
작가는 여전히 피아노 조율 의뢰가 들어오면 근처의 맛집도 같이 방문하며 혼자 음식을 즐길 것 같다. 인생의 소확행을 제대로 실천하고 행복이 무엇인지 아는 분이 아닐까 싶다.
덧: 책 속에 소개한 제천의 솔비알은 소나무가 많은 언덕이라는 뜻. 제천의 솔비알의 음식이 맛있어 보여 검색해 보니 비탈진이라는 뜻이 아니고 비알이 언덕이라고.
![](https://image.aladin.co.kr/product/26353/97/cover150/k532738025_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