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스터리 전문 출판사 피니스 아프리카도 창립 후 십년이 넘어가는 것 같은데 작은 출판사지만 잘 버텨주고 있다. 가을 홍대 거리에서 와우북 페스티벌 할 때마다 북스피어부스안에서 피니스 아프리카에 출판물이 나란히 전시 되어 이리저리 둘러보곤 했는데, 언제부터인지 와우북 페스티벌에 북스피어 부스도 사라지고 피니스아프리카에 출판물도 덩달아 사라져 두 분 사장님을 북페스벌에서는 더 이상 볼 수가 없게 되었다. 뭐 일단은 출판물는 계속 나오고 더더군다나 루이즈 페니 작품도 꾸준히 나오고 있으니, 피니스 아프리카에같은 미스터리 전문 출판사가 이렇게 지금까지 버텨주는 것만으로도 독자인 나는 고맙다.
계속해서 네버모어출판사 미스터리물 중 네온레인을 읽으려다 명절에 구매한 피니스 아프리카에의 얼굴 없는 살인자,를 읽고 끝내는 게 나을 것 같아 어제부터 읽고 있는데, 헨니 만켈의 발렌데르 형사물은 여전히 재미면에선 거침없이 하이킥이다. 시대 배경이 1990년임에도 사건 구성의 몰입도는 2022년에 읽어도 지루하지 않다. 물론 1990년이다 보니, 그 시대의 성인지 감수성은 발렌데르 캐릭터 그대로 드러나지만 시대에 맞게 읽는 것도, 그 시대을 이해하는 단면이므로 딴지 걸고 싶지는 않다.
언제부터인지 북유럽 추리 작가하면 요 네스뵈가 떠오르지만, 우리 세대는 북유럽 작가로 헨닝 만켈과아날두르 인드리다손을 읽었다. 각각 발렌데르 형사와 에를렌뒤르형사 캐릭터를 만들어냈는데, 나는 형사들의 사건 탐사나 추적을 좋아하는해서 즐겨 읽었다.
아 그리고 보니, 북유럽 스웨덴 하면 빠질 수 없는 작가 스티그 라르손이 생각났다. 헤닝 만켈이나 인드리다손과 함께 2000년대 초반에 혜성 같이 나타난 스티그 라르손의 밀레니엄 시리즈.
워낙 유명한 소설이어서 전자책으로 사 놓고 몇년 째 폰안에 잠자고 있다가, 우연히 심심해서 읽은 순간 가슴이 쿵광거리며 뛸 정도로 재밌었던 소설. 이 두꺼운 소설을 언제 다 읽나 이랬는데, 미야베 미유키의 모방범 이후 밤 새면서 읽었던 소설이었다.
얼굴 없는 살인자, 이야기 하려다 너무 멀리 나갔지만, 의외로 북유럽 작가들이 작품의 전체적인 톤은 어둡지만 생각보다 술술 잘 읽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