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는 버린 책 이야기라면 오늘은 계속 가지고 있을 것 같은 책 이야기
일본 작가중에 전작하는 작가가 몇명 되는데, 전작이라고 하지만 원어는 언감생심이고 우리 나라에 번역된 작품은 다 읽은 작가가 꽤 있다. 그 중 한명이 미야베 미유키, 인생을 훔친 여자(나중에는 제목을 화차로 발간) 시작으로 최근에 나온 영혼통행증까지 다 읽었다.
미미여사를 전작하게 된 결정적인 계기는 화차와 모방범이었다. 두 작품 모두 베이스로 깔려 있는 형사의 추적기가 이야기의 선이 되서 사건의 실체를 밝혀내는데, 읽는 동안 끈을 놓지 않는 생생한 긴장감을 느낄 수 있어서 좋았다. 그 후 미미 여사의 책 초기작부터 찾아 읽기 시작해서 에도 시대의 이야기까지 와 버렸다.
초기작들은 좋은 작품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글의 밀도나 사건의 개요도 엉성하고 딱 미스터리 작품의 초보작다운 작품들이었다가 점점 작가의 글이 변하기 시작한다. 작가의 나이삼십대 정도 아닐까 싶은데, 초기작의 글쓰기를 디딤돌 삼아 화차, 이유등의 작품들은 확 바껴진게 느껴진다. 사회를 보는 시각도 시야 모두 좀 더 진지하고 밀도 있게… 잘 쓴 작품들은 이야기나 문장의 밀도가 잘 짜여져 있어 단단하고 촘촘하다. 독자로서 저런 작품들은 만족스럽다. 아마 미미여사의 전성기는 화차, 이유, 모방범이 아닐까 싶다만.
그 후 미미여사가 나이가 들면서 작가만이 갖는 고유의 테크닉으로쓰는 것 같다. 아무리 잘 쓰는 작가라도 전성기가 영원할 수 없는 법. 사건 기법과 전개에 클리셰와 그동안 갈고 닦은 테크닉적 요소가 주류를 이룬다. 하지만 워낙 미스터리물에 있어선 베테랑이라 엔간한 작가보다 재밌고 감동적으로 쓰긴 한다.
여전히 글을 쓰고 아마도 작가 은퇴란 미미여사에겐 없을 듯 한데, 다른 건 몰라도 쉼없는 글쓰기(작품)를 하는 일본 작가들에게 응원을 보낸다.
미미여사가 에도 시절을 배경으로 쓴 작품인데, 초기작들은 읽고 팔아서 없지만, 어느 순간 읽고 꽂아둔 작품들이 보기 좋아서 모으고 있다.
![](https://image.aladin.co.kr/product/1497/93/cover150/8954617433_2.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60/77/cover150/s232639230_1.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1572/21/cover150/8954617719_1.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28211/64/cover150/k512835174_1.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1208/pimg_7600311753222009.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