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 러브레터
강혜선 지음 / 북멘토(도서출판)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지 않을 님을 기다리며 거울 앞에서 화장을 하는 여인을 상상해 보라. 시나브로 저무는 봄날 붉은 꽃처럼 시들까봐 수심에 젖어 있는 여인을 그려 보라.

  

기약하고 어찌 이리 돌아오지 않나요?

뜰에 핀 매화도 지려 하는데,

문득 들려오는 가지 위 까치 소리에

부질없이 거울 보며 눈썹 그려봅니다.

    

有約來何晩

庭梅欲謝時

忽聞枝上鵲

虛畵鏡中眉

   

매화 필 때 만날 것을 약속했으나 매화가 지려 해도 님은 오지 않는다. 어느 날 아침 나뭇가지 위에서 까치가 울자 행여 님이 오시지 않을까 하는 설렘에 거울 앞에서 화장을 해 본다는 것이 이 시의 내용이다. 님과의 재회가 이루어질 수 없음을 알면서도 님을 위해 단장하는 여성의 심리가 잘 드러나 있다. 그래서 이 시의 매력은 마지막 구의 부질없이()’에 응축되어 있다.

   

위의 시를 쓴 여성은 이옥봉(李玉峯)이다 본명은 이숙원(李淑媛). 옥봉은 옥천군수 이봉(李逢)의 시녀로 태어나 조원(趙瑗. 1544~1595)의 소실이 되었는데, 임진왜란 직전 35세를 전후하여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조원의 현손인 조정만(趙正萬)이 편찬한 <가림세고(嘉林世稿)>의 뒷부분에 <옥봉집(玉峯集)>이 수록되어 있어 그녀의 시를 아직도 읽어볼 수 있다.

   

허균은 옥봉의 시를 맑고 굳세며 여성의 화장기가 없어 가작(佳作)이 많다.”고 평가했으며, 신흠과 홍만종 역시 옥봉이 허난설헌과 더불어 조선 제일의 여류시인이라 높이 평가하였다. 또한 그녀의 시는 <명시종(明時宗)>, <열조시집(列朝詩集)> 등에 실려 중국까지 알려졌다.

그런데 이렇게 시를 잘 쓰는 옥봉이 도리어 시재(詩才) 때문에 남편에게 버림을 받았다.

   

버들 숲 밖 강 언덕에 다섯 필 말이 우는데

술 깨자 근심에 취하여 누각을 내려왔었지.

붉은 봄꽃처럼 시들까 봐 경대를 마주하고서

매화 핀 창가에서 반달 같은 눈썹 그려보네.

   

柳外江頭五馬嘶

半醒愁醉下樓時

春紅欲瘦臨粧鏡

詩畵梅窓卻月眉

 

-흥에 취해 님에게 보내다(漫興贈郞)-

   

1구와 2구에서는 남편이 떠날 때 버드나무 심어진 강둑길로 떠나는 님을 누대에서 물끄러미 바라보다가 근심에 취해 술을 마시고, 술이 깨면 근심을 잊으려고 다시 술을 먹다가 해가 기울어 누대에서 내려오는 장면을 그렸다. 3구와 4구에서는 낭군과 헤어진 뒤 그래도 부질없는 화장을 새로 한다고 하여 낭군을 기다리는 심정을 넌지시 전하였다.

   

옥봉이 남편에게 준 <운강에게 주다(贈雲江)>라는 시가 있다. 이 작품은 일명 <꿈속의 넋(夢魂)>이라고 전하고, <자술(自述)>로도 알려져 있다.

   

요사이 안부는 어떠신지요?

창가에 달빛 이르면 제 한은 깊어만 가요.

만약 꿈속의 넋이 자취를 남길 수 있다면

문 앞의 돌길이 반쯤은 모래가 되었겠지요.

   

近來安否問如何

月到紗窓妾恨多

若使夢魂行有跡

門前石路半成沙

   

-옥봉집-

   

운강(雲江)은 남편 조원의 호다. 쉬운 어투로 편지 쓰듯 쓴 시인데, 오랫동안 찾아오지 않는 님을 은근하게 원망하고 있다. 님을 향한 그리움의 정도를 구상화해 낸 결구가 매우 돋보이는 구절이라 했다.

   

옥봉은 어려서부터 집안일이나 길쌈, 바느질 등에는 관심이 없고 글공부와 시 짓기를 즐겼는데, 시집갈 나이가 되어도 혼처를 쉽게 정하지 못하였다. 그러던 중 조원의 명성을 듣고 스스로 첩이 되고자 하였다고 한다. 그런 옥봉이 소박을 맞았는데, 이수광의 <지봉유설>에서는 그 사연을 다음과 같이 소개하고 있다.

   

어느 날 평소에 옥봉을 잘 알고 있던 이웃의 백정 아낙이 찾아와서 자기 남편이 남의 소를 잡다가 끌려갔으니, 형조에 소장(訴狀)을 써달라고 애걸했다. 옥봉은 그녀를 위해 소장에 세숫대야로 거울을 삼고, 참빗에 물을 발라 빗습니다. 첩의 몸 직녀가 아닐진대, 낭군이 어찌 견우이겠습니까?”라는 시구를 써 주었다. 이 소장을 본 당상관 들은 곧 남편을 석방하였다. 그런데 이 사실을 안 조원은 옥봉이 지나치게 재주가 승한 것을 못마땅하게 여겨 그녀를 내쳤다 한다. 아마도 위의 시는 옥봉이 남편 조원에게서 내쳐진 다음 그가 다시 자신을 찾기를 바라며 쓴 것이 아닌가 싶다.

   

후에 위 작품이 널리 알려져 꿈에 다닌 길이 자취 곧 날 양이면, 임의 집 창밖이 석로(石路)라도 닳으련마는 꿈길이 자취 없으니 그를 슬퍼하노라.”라는 시조로 탈바꿈해 노래로 불리기도 하였다. 또한 서도소리의 대표격인 <수심가(愁心歌)>에는 약사몽혼(若使夢魂)으로 행유적(行有跡)이면 문전석로(門前石路)가 반성사(半成沙)로구나 생각을 하니 임의 화용(花容)이 그리워 어이나 할꺼나.”로 삽입되기도 하였다. P.142~146.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골향기 2017-04-03 18: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옥봉의 <몽혼(夢魂)>이란 시를 보면 황진이의 <상사몽(相思夢)>이란 작품이 연상됩니다. 둘 다 조선을 대표하는 여류시인이고, ‘꿈 속‘이라는 시의 배경이 비슷해서 그런지 저는 두 작품의 느낌이 아주 비슷하게 다가오네요.

서로 그리워하면서도 만나볼 길은 꿈길밖에 없는데
내가 임 찾아가면 임도 날 찾아 떠나셨다고.
바라건대 다른 날 밤 아득한 꿈에서라도
똑같은 시각 서로의 꿈길을 떠나 도중에서 만났으면.

相思相見只憑夢
儂訪歡時歡訪儂
願使遙遙他夜夢
一時同作路中逢

시골향기 2017-04-06 17: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16세기는 조선조의 르네상스라 불릴 정도로 문화적 융성기였습니다.
유학자로 이황, 이이, 조식, 서경덕, 이언적, 조광조, 김성일 등이 활약을 펼쳤고, , 문학(예술)가로 이지함, 정철, 한석봉, 유성룡, 허준(의술), 허균 등 쟁쟁한 분들이 있었지요. 그리고 엄격한 성리학의 시대였지만, 신사임당, 황진이, 허난설헌, 이매창, 홍랑, 이옥봉 등 조선의 대표적 여류시인들이 한 시대를 풍미했던 시기이기도 하고요. 정치적 혼란기임에도 문화적 절정기를 꽃피웠던 것은 수차례의 사화를 겪으면서 지방으로 물러난 성리학자들의 문학적 탐구가 사회 전체에 영향을 끼친 결과가 아닐까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