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지 도표 설명>

 

10()에는 (), (), (), (), (), (), (), (), (), ()가 있고,

12地支(지지)에는 (:), (:), (:), (:토끼), (:), (:), (:),

(:), (:원숭이), (:), (:), (:돼지)가 있습니다.

 

그림을 보시면 간지 연도를 쉽게 외우는 간단한 법칙이 있는데,

10간 중에 ()으로 시작하는 해는 반드시 끝자리가 4로 끝납니다.

위의 그림을 보시면 갑자사화(1504), 갑신정변(1884), 갑오개혁(1894)4로 끝나는 걸 알 수

있습니다.

 

()로 시작하는 해는 5로 끝나는데, 을사사화(1545) 등 예시로 든 역사적 사건들을 보십시오.

()으로 시작하는 해는 6으로 끝납니다. 이렇게 7, 8, 9, 0, 1, 2,

3으로 끝난다는 걸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가령, 홍길동이라는 사람이 1950년에 태어났는데, 그 해의 간지(갑자)를 알고 싶다면 1950년의 끝자리가 '0' 이므로 간지가 '()'으로 시작되고, 뒷자리에 자기의 띠를 대입시켜 보면 쉽게 해결이 됩니다. 대개 자신이 태어난 해가 무슨 띠인지는 알고 있을 것이기 때문에, 예를 든 1950년은 '범띠<()>해당하므로 庚寅年(경인년)’에 태어났음을 알 수 있습니다.

 

간지에는 10간과 12지지가 있는데, 그림에서 편의상 녹색과 분홍색으로 구분해 놓았습니다.

다 아시겠지만 녹색 간지는 녹색끼리만 조합되고, 분홍색 간지는 분홍색끼리만 조합됩니다.

간지 중에 10간은 12지지보다 개수가 2개가 적은데, 10간과 더불어 12지지가 다섯 번 돌아야(12×5=60) 환갑(還甲, 回甲)이 됩니다. 60년을 1주갑(周甲)이라고도 합니다. 2012년은 임진년이니까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난 해로부터 7周甲(7×60=420, 2012-1592=420)이 되는 해였고,

2015년 을미년은 을미사변(1895)이 일어난 해로부터 2주갑이 되는 햅니다.(2×60=120, 2015-120=1895)

 

그리고 옛날 시간 계산법을 12지지로 설명하면, 子時(자시: 11~오전1), 丑時(축시 : 오전1~오전3), 寅時(인시: 오전3~오전5), 卯時(묘시: 오전5~오전7), 辰時(진시: 오전7~오전9), 巳時(사시: 오전9~오전11), 午時(오시: 오전11~오후1), 未時(미시: 오후1~오후3), 申時(신시: 오후3~오후5), 酉時(유시: 오후5~오후7), 戌時(술시: 오후7~오후9), 亥時(해시 : 오후9~오후11) 입니다.

 

시계가 없었던 옛날, 하루밤새 특정시간을 지칭하는 명칭이 있었습니다.

初更(초경 혹은 一更이라고도 함)은 밤7~9, 二更(이경)은 밤9~11, 三更(삼경)은 밤11~새벽1, 四更(사경)은 새벽1~새벽3, 五更(오경)은 새벽3~5시를 말합니다. 옛 문헌에 보면 三更(삼경)이란 용어가  많이 나오는데 한밤중(자정)’을 가리킵니다.

 

*제가 한문공부하면서 배웠던 지식이 미력한 도움이 될까 싶어 간단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전체선택 장바구니에 담기

전체선택 장바구니에 담기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