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들의 이야기 - 우리가 몰랐던 신화 속 숨은 비밀
애니타 개너리 지음, 앤디 윌크스 그림, 김정한 옮김 / 놀이터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주 물리학을 좋아해서 빅뱅이라던가 양자역학 등의 과학서를 찾아 읽지만 

정작 밤하늘의 별을 올려다 본 적이 없다. 공기오염으로 하늘에서 별을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래도 언젠가는 매일 매일 밤하늘을 가득 채운 별들을 보며 살게 되는 날이 오리라 믿으며 이 책을 읽는다.


옛사람들은 상상력을 발휘해 별자리마다의 이야기를 담았다.

이 책은 5대양 6대주의 세계 여러나라의 별자리 이야기를 한데 묶은 책이다.

그래서 목차도 각 대륙별 별자리 이야기로 묶여 있다.

제일 먼저 소개되는 고대 그리스의 별자리 이야기는 다른 책으로도 볼 수 있지만

아프리카 대륙에서 내려오는 신화는 이 책을 통해 처음 접하는 이야기였다.
아시아쪽에서는 우리나라에서도 견우직녀 이야기로 널리 알려진 별자리 신화가 나왔다.

우리나라 이야기인 줄 알았는데 중국 전설이라고 한다.

또 이 별자리가 백조자리와 은하수라고 하니 어쩐지 인문학과 과학의 만남이 일어난 것 같은 기분이다.   



또 별자리 이해를 돕는 삽화가 크게 그려져 있어서 책을 읽는 재미를 더한다.

사람들이 어떤 별들을 이어서 백조 모양으로 이해했는지, 양의 모습으로 보았는지 등을 그림을 통해 알 수 있다.

하지만 솔직히 별 세개가 거의 수평으로 이어진 것이 어떻게 양의 뿔로 보였는지.....

(이렇게 별 세개가 이어진 경우는 밤하늘에 무척 많을텐데 다른 별들과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지?)

밤 하늘에서 찾아보라고 하면 나는 찾기 힘들 것 같다다.

그리고 계절마다 나타나는 별자리가 다른 것으로 알고 있는데, 직접 사진으로 계절마다의 별자리를 보여줬으면 좋았겠다 싶다.



아직 별을 과학적으로 관찰하지 못했던 때 사람들은 신들의 이야기를 그 별들에 담았다.

까만 밤하늘에 보석처럼 빛나는 별들을 보며 느꼈을 옛 사람들의 경이가 신화에 고스란히 담겨있는 듯 하다. 

언젠가 꼭 이 책에서 소개하는 별자리를 직접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오면 좋겠다.

그때 나와 함께 별을 보고 있는 내 곁에 있는 그 누군가에게 별자리에 담긴 재미있는 이야기를 전하게 되는 날이 오길 바란다. 





※이 리뷰는 출판사에서 제공해 주신 도서를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