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텔링 버스 특서 청소년문학 20
고정욱 지음 / 특별한서재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성과 인권에 관한 교육 장면으로 시작한다.

그리고 책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은 한부모 가정의 아이들이다.

고단한 한부모의 삶에 충분히 사랑 받지 못하고 자라는 아이들의 상황이 참 가엾고 마음 시리다.

이 책은 외롭고 힘든 삶 가운데 서로를 의지하고 지내던 두 아이가 여행을 떠나던 중에 버스에 갖히면서 하루 밤을 지내게 된 이야기이다.

산사태로 오도가도 못하게 된 버스 안의 승객들은  하나 둘 자기가 알고 있는 신기하고 재미있는 이야기를 풀어놓게 된다.

그렇게 한 사람의 이야기를 듣고 나면 다음 사람의 다음 이야기를 듣는 식으로 이야기가 계속 된다.

주인공 아이들은 이렇게 밤새 이야기를 들으며 다른 사람의 삶에도 어려움이 있으며, 부모님의 힘든 삶에 대해서도 헤아리는 마음이 생긴다.  그리고 아이들은 현실을 회피하듯 도망쳐 왔던 삶으로 다시 되돌아가는 용기있는 결단을 내리는 것으로 이야기가 마무리 된다. 



이 책을 읽으면서 외로운 두 아이가 현실을 도피하는 장면이 가장 아슬아슬했다.

현실에서는 이렇게 괴로운 자신의 현실을 떠나기를 시도한 가출 청소년들이 수많은 탈선을 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가슴을 깊이 마음을 울리는 이야기들은 아이들의 발걸음을 되돌렸다.

대화가 없는 가정, 그래서 부모와 공유하는 스토리가 없는 가정의 아이들에게 스토리의 힘이 얼마나 큰지를 생각하게 되는 대목이다.


또 주인공 지강이는 작가의 꿈을 가진 은지의 꿈을 지켜주는 모습을 보여준다.

서로를 위하고 의지한다는 것은 함께 현실을 도피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그보다는 괴로운 현실 너머의 미래에 시선을 두고 그 미래를 위해 열심히 노력할수 있도록 서로의 꿈을 응원하는 것이 진정 서로를 위하고 의지하는 것이리라.  



이 책을 읽으니 현실에 절망하여 꿈없이 방황하는 어려운 상황의 미성년자들이 생각 난다.

또 이런 청소년들이 일으키는 각종 사회문제들......

'이들의 현실에서 도피하는 발걸음을 되돌릴 수 있는 방법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법과 제도, 그리고 어른들은 어떤 노력을 해야 할까?'의 문제제기를 남기는 책이었다.



아이들의 공허하고 텅빈 마음을 채워준 버스 안에서의 스토리텔링처럼, 아이들의 마음을 채워줄 수 있는 사회 또 어른이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 같다.   







※이 리뷰는 출판사에서 제공해 주신 도서를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