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학교 분투기 - 내 교육을 방해한 건 학교 공부였다!
토니 와그너 지음, 허성심 옮김 / 한문화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저자는 학창시절 잦은 퇴학을 경험하면서 한 학교를 제대로 온전히 다녀 본 경험이 없는 분이시다.
그럼에도 현재는 미국교육정책연구소의 선임 연구원으로 일하는 교육혁신가이다.
참 특이한 이력이다.
 
 
책에는 저자가 학교 중퇴를 반복하게 된 복잡다단한 여정과 현재의 교육철학을 갖게 된 과정들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저자는 공교육의 시스템을 착실하게 따르지 못하고 많은 방황을 했는데, 그 방황들은 배움이  싫었기 때문이 아니라 자신에게 적합한 배움의 방향을 찾아가는 과정이었다. 그래서 그 누구보다 교육에 대한 고민이 많았고 그 결과 교육에 대한 깊은 철학을 갖게 된 것이다.
 
 
저자는 다양한 학교를 경험했는데 그 중에서 자연학교 '모글리스'의 이야기가 특히 기억에 남고 재미있었다.
아마 내가 숲지도사로 일하고 있고 이쪽으로 더 깊은 관심이 있기 때문에 그랬던 것 같다.
모글리스에서의 이야기를 읽으며 숲지도사의 전문성을 더 높이도록 노력하고 나의 교육철학도 더 성숙해지도록 해야겠단 생각이 들었다.
 
 
저자는 단순암기의 학교 공부에는 쉽게 흥미를 잃고 적응하지 못했지만 창작을 좋아하고 책도 항상 가까이 했다.
학교 성적은 좋지 않았을지 몰라도 깊이 있는 독서를 했다는 점에서 독서의 중요성을 실감하기도 한다.
 
 
나의 경우, 공교육 과정을 순종적으로 마치고 나서 이후에 개인적인 관심사를 따라 다양한 공부를 해 보았다.
그리고 아이러니 하게도 공교육과정으로 취득한 학위보다는 개인적인 관심사로 취득한 공부로 살아가고 있다. 
개인적인 관심사에 의해 하는 공부는 스스로 책을 찾아보는 능동적인 학습을 하게 된다.
 
 
제도권에서 제대로 인정하는 교육만이 살아갈 수 있는 길이 될 줄 알았는데, 막상 실제 삶에서는 더 다양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보면서 나 역시도 진정한 배움과 학습이 꼭 학교에만 있지는 않다는 생각을 하게 되는 요즘 이 책을 읽게 되었다.
다양한 교육제도를 경험해 보면서 형성된 된 저자의 교육에 대한 철학과 가치관에 동의하며, 아직 성숙하지 못한 나의 교육관에도 큰 가르침이 되는 유익한 책이었다.   
 
 
 
 
※이 리뷰는 출판사에서 제공해 주신 도서를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