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형 이야기 생각하는 숲 13
모리스 샌닥 글.그림, 서남희 옮김 / 시공주니어 / 2013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괴물들이 사는 나라> <깊은 밤 부엌에서>를 쓴 작가, 모리스 샌닥의 마지막 작품이에요. 처음 읽으면 도대체 무슨 내용인지 몰라 어리둥절해요. 시같기도 하고 한 편의 신화같기도 한 낯선 글로 다가와요. 곰이 나타나고 사람이 꽁꽁 얼어버리고 어딘가 무시무시한 지하 세계로 떨어지기도 하고...이 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작가의 실제 경험에 귀를 기울여야 해요. 작가의 이야기라고 공감하는 순간 정말 아름다운 그림책으로 느껴집니다.

 

 

공간이 두 동강이 나면서 둘은 헤어져요. 한 사람은 꽁꽁 굳어버리게 되고, 또 한 사람은 낯선 땅에 떨어져요. 동생 '가이'와 형 '잭'의 이야기입니다. 모리스 샌닥의 형 이름이 '잭'이었다고 하니, 책에 나오는 형 '잭'은 자신의 형을 생각하며 만든 인물이겠지요. 형이 어둡고 차가운 공간에 가게 된다는 것을 보면서 먼저 세상을 떠난 모리스 샌닥의 형이 떠오릅니다. 어렸을 때부터 마음으로 의지하며 지냈던 그에게 형의 존재는 크고 듬직한 것이었는데 ,죽은 형이 얼마나 그리웠을지 짐작이 가지요. 그런 배경을 알고 그림책을 다시 읽으니 책이 슬프게 다가오네요. 단어 하나 하나 정말 큰 슬픔을 담고 있어요. 형을 찾아다니는 간절한 마음이 드러나기도 하고요.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슬픔은 죽는 것만큼 힘든 경험이라고 하지요. 모리스 샌닥 역시 형을 잃고 나서 큰 실의에 빠졌다고 하네요. 그리고 형을 그리워하며 마지막 작품을 남긴 것이고요. 그래서 이 책은 큰 의미를 담고 있지요. 먼저 간 형을 따라가 만나는 건, 어찌보면 슬픔을 안고 가는 여정이에요. 그 역시 죽음을 앞두고 있었기에 마음을 비우고 형과의 재회를 마음으로 준비한 것일까요. 그림책을 따뜻하게 그려져요. 곰을 만나 지혜를 발휘하는 모습도 기억에 남아요. 형을 만날수만 있다면 그는 무슨 일이라도 할 수 있었을 거예요.

 

여러번 읽을 수록 새로운 메시지를 마날 수 있어요. 어둡고 큰 슬픔을 안고 있는 공간은 다시 환해져요. 형과 만나는 순간을 기다리고 기대하는 모리스 샌닥의 희망이 엿보여요. 슬프지만 희망이 보인다는 메시지는 뭔가 어울리지 않고 모순을 의미하는 듯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딱 떠오르는 느낌이에요. 묘하지만 따뜻한 기운이 느껴지는 책이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