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건축가와 함께 작은 집 짓기
거주&설계 편집부 지음, 송수영 옮김, 정석연 감수 / 낭만북스 / 2013년 4월
평점 :
품절
아파트에 살고 있는 사람은 언젠가 땅을 구입해서 작은 집을 짓고 싶은 소망을 갖게 되지요. TV에 전원주택을 짓고 사는 사람들의 삶이 나오면 정말 부러워요. 만약 경제적인 여건이 마련되면 어떤 과정을 거쳐 집을 짓게 될까 떠올려 봤는데 그것도 쉽지 않은 일인 듯해요. 건축가를 어떻게 찾고, 어떻게 설계를 하고, 얼마 정도의 비용으로 지어야 할까...그런 고민을 함께 나눠주는 책이네요.

우리나라 집짓기가 아니고 일본의 집짓기라 조금 낯설었어요. 과연 내가 원하는 것과 비슷할까, 기대반 우려반이었는데 사진을 보면서 제 기대와 크게 어긋나지 않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구체적인 면적과 건축가의 프로필이 상세하게 나와요. 설계도도 나오고요. 집을 짓는 비용도 소개되고 있고요. 다 지어진 후의 사진도 함께 나오는데 이부분이 제일 크게 와 닿았어요. 소재에 따른 분위기 차이도 느껴볼 수 있었고요, 색감에 따른 변화도 직접 경험해 볼 수 있었어요.
대부분 2억대의 공사비가 드는 집이었어요. 저는 수납이나 창문의 모양을 주로 살펴봤어요. 창문 크기와 모양에 따라 집의 분위기가 크게 달라지더군요. 작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쓰는 집도 많이 나왔어요. 집을 크게 지으면 나중에 관리나 청소가 어려울 텐데..작지만 알차게 짓는 방법에 귀를 기울여야 할 듯해요.

집을 지을 때는 준비기간이 상당히 필요한 듯해요. 여러 건축가를 만나보고 나만의 취향을 살펴보면서 평생 살 집에 대한 계획을 세워야 할 것 같아요. 짜투리 공간도 잘 이용하면 쓸모있는 공간이 되더라고요. 혼자 앉아서 차를 마시면서 다림질이나 글쓰기 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게 제 바람이에요. 식물을 키울 수 있는 아담한 공간도 갖고 싶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