뚜벅뚜벅 우리 신 전통문화 그림책 솔거나라
최재숙 글, 이광익 그림 / 보림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발은 언제부터 신었을까?

TV를 보면 동남 아시아 원주민 중에 맨발로 걸어다니는 사람들이 있더라고요. 돌부리에 상처가 나지 않을지 걱정이지만, 단단하게 굳은 살이 박혀 씩씩하게 잘 걸어다니는 걸 보면 조마조마 하면서도 한편으론 건강미가 넘쳐보이기도 하더군요. 오래전 우리 조상들은 어떻게 발을 보호하며 살았을까? 그림책을 통해서 그 역사를 들여다 볼 수 있어요. 처음에는 풀잎이나 나무토막을 발에 대고 끈으로 묶어서 다녔다고 하네요. 그것을 고정시켜서 만든 것이 샌들 모양의 신이고요. 언제부터 신발을 신었는지는 알 수 없다고 해요. 나무나 풀은 썩어서 흔적이 남지 않아 있으니까요. 대략 도구를 사용했던 구석기부터 발을 보호하는 모양의 물건이 있었을 거라고 짐작만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신발이 진화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리의 역사를 엿볼 수 있어요. 신분 차이가 있었던 시대에는 계급에 따라 신발 모양과 소재가 달랐고요. 특별한 날에 신는 신발이 따로 있었다고도 하네요. 신발의 재료는 정말 다양해요. 나뭇잎과 풀잎을 신으로 삼기도 하고, 짚으로 만들어 신기도 했죠. 짐승의 가죽이나 나무가 재료가 되기도 했고요. 심지어 북극곰의 발을 신발 모양으로 신고 다니기도 했다네요. 추운 지역에서는 그게 살아남기 위한 방법이었겠죠. 

 

신발 바닥에 못이 박힌 것처럼 보이는 것도 있어요. 절대 미끌어지지 않았을 것 같아요. 왕이 신던 신발은 역시 화려하고 고귀해 보여요.  고려시대 승려들은 신발에 방울을 달고 다녔다고 하네요. 그럼 벌레들이 미리 알고 피할 수 있었겠죠. 무거운 금동으로 만들어진 신발도 있어요. 그걸 신고 다니려면 엄청난 체력이 필요했을 듯해요. 

 

 

        

 

 

        

 

시대마다 신발의 종류는 다양해요. 신발을 만드는 재료도 다양하고, 모양도 제각각이죠. 눈이 많이 오는 곳에서는 설피를 만들어 신었다고 하고요. 그럼 눈속에 발이 푹푹 빠지지 않았겠죠. 옛날에는 측간에 신발을 빠뜨리면 측신이 화를 낸다고 하여 떡으로 빌었다고 하네요. 야광귀신 이야기도 재미있었어요. 신발과 관련된 옛이야기들은 흥미로워요.

 

 

 

    

    

 

신발이 없으면 얼마나 불편할까요. 아마 외출도 마음껏 못하고 ,발에는 늘 상처를 달고 살겠죠. 신발은 정말 소중해요. 신발의 역사를 통해서 당시 문화에 대해서 배울 수 있었어요. 역사적인 의미도 짚어볼 수 있었고요. 지금은 다양한 신발들이 존재하죠. 엄마의 뾰족구두, 아빠의 납작구두, 운동화...신발 덕분에 우리는 맘껏 운동도 하고 외출도 하고, 때로는 멋을 부리기도 하죠. 옷만 잘 입고 신발을 아무거나 신으면 제대로 된 멋쟁이라고 하기 어려워요. 기능적으로 미용적으로 신발은 우리 생활에 꼭 필요한 물건이에요. 신발의 소중함을 알게 해준 그림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