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행관람차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27
미나토 가나에 지음, 김선영 옮김 / 비채 / 201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데뷔작 『고백』에 이어 이번에도 ‘가족’과 ‘살인’이 이야기의 중심이네요. 접근 방식이나 서술 방식이 두 작품이 살짝 비슷한 것 같네요. 그러나 『고백』이 가해자, 피해자, 주변 사람들의 입장이 명확하게 드러나는 반면 『야행관람차』는 가해자와 피해자, 주변 사람들(바라보는 시선, 제3자, 네티즌 등)의 입장이 명확하지가 않습니다. 예를 들면, 엔도 가의 싸가지 없는 딸 아야카는 (엄마에게 있어서는) 가해자이면서, (또한 엄마에게 있어서) 피해자이기도 하면서, (다카히시 가의 아들 신지에게 있어서는) 주변 사람들이기도 합니다. 또한 『고백』이 살인을 둘러싼 가족 외의 관련 인물들의 이야기라면, 『야행관람차』는 가족 내의 이야기입니다. 따라서 『고백』보다 더 힘들고, 더 고통스럽습니다.

  의사 아버지, 아름다운 어머니, 의대생인 큰 아들, 유명 사립고에 다니는 딸 등 겉으로 보기에는 너무나 완벽한 다카히시 가족과 무능한 아버지, 딸에게 학대당하는 엄마, 엄마를 학대하는 딸 등 겉으로 보기에도 완전 콩가루 가족인 엔도 가족 이렇게 두 가족의 다양한 모습들이 다카히시 가에서 일어난 살인사건을 중심으로 다각적인 시점에서 보여 집니다. 사실 엄청난 이야기는 아닌데(소설 속의 살인사건은 이제 우리나라 뉴스에서도 자주 보이는 것이라 딱히 새롭지도, 충격적이지도 않더군요. 생각해보니 참 슬프네요), 이런 서술 방식은 확실히 미나토 가나에가 하고자 하는 이야기(주제)에 무척 잘 어울리는 것 같아요. A라는 가해자를 인터넷상에서 마구 욕을 하는 B라는 주변인, 그 역시도 가해자이죠. 암튼 그런 선도 악도 아닌 인간의 모호함에 대해 말하기에는 참으로 효과적인 방법이 아닐까 싶어요. 또한 이렇게 살짝 이야기를 꼬아 놓으니까 미스터리적인 효과도 더 극대화되는 것 같고요.

  이번 작품은 마지막의 충격적인 반전 효과보다(영화 《식스센스》가 생각나네요. M. 나이트 사말란 감독도 이 작품 이후에 꽤 괜찮은 작품들을 많이 만들었는데도, 항상 《식스센스》와 비교를 당하면서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했죠. 미나토 가나에도 『고백』의 그 엄청난 성공으로 일반 독자들에게 제대로 된 평가를 받기는 힘들 듯 싶어요. 저 역시도 자꾸 『고백』하고 비교를 하거든요. 『고백』의 반전이 충격적이었거든요) 내용 자체의 깊이에 더 공을 들인 흔적이 보이네요. 부모와 자식이 싸우거나 부부가 싸우는 것이 사실 놀랄만한 사실은 아니잖아요? 그 과정에서 벌어지는 살인 사건도 이제는 뉴스 기사에서 자주 볼 수 있고요. 그런데 이런 이야기를 도덕 교과서적으로 풀어내면 재미없잖아요?(이야기의 심각성과는 별개로) 누구 한 쪽 편을 들지 않으면서, 훈계나 설교 또한 하지 않으며, 이렇게 가족의 문제와 고민에 정면으로 맞서면서 미스터리로 풀어내니 머리에도 쏙쏙 들어오고, 현대 가족 문제의 심각성에 대해서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되는 것 같아요. 재미 면에선 『고백』에, 작품의 깊이 면에서는 『야행관람차』에 손을 들어주고 싶네요. 참고로 저는 재미있는 소설을 좋아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