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교통경찰의 밤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이선희 옮김 / 바움 / 2010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히가시노 게이고는 미스터리 장르의 스토리텔링에 있어 정말 천재가 아닐까 싶을 정도로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는 재미있고 미스터리한 이야기를 쓰는 작가입니다. 이 정도니 나중에는 대필 작가 있지 않을까 하는 의심까지 하게 되더군요. 다작 작가잖아요. 그럼에도 최소한 그의 작품에서 (아직까지는) 졸작은 못 읽어본 것 같아요. 모든 작품이 수작은 아닐지라도 대체로 범작 수준은 되었던 것 같아요. 《교통경찰의 밤》은 교통사고를 소재로 한 6편의 단편이 실린 소설집입니다. 단편은 쓰기 어렵다고 하면서도 은근히 단편에서도 좋은 작품들을 많이 뽑아내는 것 같네요. 이번 작품집에 실린 단편들은 작가가 자동차부품회사에서 엔지니어로 일한 경험을 바탕으로 쓴 소설들입니다. 히가시노 게이고의 말을 빌리면 지금까지 교통사고(자동차)를 소재로 한 추리소설은 없어서 열정을 가지고 도전한 작품이라는데 어찌 보면 미스터리 장르에서는 평범한(교통사고는 매일 벌어지는 일상사이기도 하니까요) 교통사고를 소재로 이런 멋들어진 작품을 쓰다니 정말 놀라울 따름입니다. 불법주차, 초보운전, 분리대 교통사고, 자동차에서 버린 쓰레기 등으로 수수께끼 같은 사건을 만들어 내고 다양한 인간 내면의 모습까지 파헤칩니다. 그 짧은 이야기 안에서 말이죠. 물론 추리소설 전문작가답게 마지막에 반전까지 준비해 두고 있습니다. 히가시노 게이고 작품의 원형이 된 작품들이 많습니다.
<천사의 귀>는 교차점에서의 외제차와 경차의 충돌사고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번 작품집에 실린 단편들 중에서는 가장 본격 미스터리에 가까운 작품이 아닐까 싶네요. 경차의 운전자는 죽고, 죽은 운전자의 동생은 앞이 보이지 않는 장애인입니다. 한밤중의 사고라 목격자도 없고요. 양측 모두 잘못은 없다고 하고 상황은 경차에게 불리하게 돌아갑니다. 사건의 진실을 추리하는 과정도 독특하고 참신하면서 반전까지 훌륭합니다. 정말 군더더기 없는 본격 미스터리 단편이라 생각합니다. <분리대>는 모범 트럭 운전자의 핸들조작으로 인한 사고를 다루고 있습니다. 트럭 운전자는 갑자기 분리대를 들이받고 옆으로 굴러 목숨까지 잃습니다. 왜? 아무도 없는 고속도로에서 도로의 좌측이 아닌 분리대를 들이받았을까요? 이 사고는 바로 사고차량 뒤에 목격자가 있어서 사건이 해결되는 듯싶으나 너무나 단서가 적습니다. 이 분리대 사고는 범인이 밝혀지기는 하지만 뒷맛이 개운하지는 않습니다. 사회파 미스터리에 가까운 작품입니다.
<위험한 초보운전>은 테니스코치 대학생이 느리게 운전하는 여성 초보운전자가 짜증이 나서 골려주다가 목숨까지 위협하는 위험한 상황을 다룬 작품입니다. 평상시에는 얌전한 사람들이 이상하게 운전대만 잡으면 다른 사람으로 돌변하죠. 당사자 입장에서는 장난일 수도 있지만 당하는 입장에서는 엄청난 공포죠. 씁쓸한 기분이 드는 순간 이야기는 돌변합니다. 감성 본격 미스터리라고 할까요? <불법주차>는 사건의 개연성(물론 그러한 상황이 있을 수는 있지만 조금 과도하지 않나 싶네요)과 엔딩이 조금 아쉽기는 한데, 그럭저럭 읽을 만합니다(이야기의 전개과정은 조금 식상했습니다).
<버리지 마세요>는 달리던 앞차에서 무심코 버린 빈 캔이 뒤에서 달리던 차에 타고 있던 운전자의 약혼녀의 눈에 맞으면서 운전자가 실명한 여자 친구를 위해 범인을 찾는 이야기입니다. ‘빈 캔이나 담배꽁초 하나 버린다고 뭐 잘못되겠어?’라는 이기적인 생각을 가진 운전자의 사소한 행동이 얼마나 큰 위험을 초래하는지 잘 보여주는 매우 교훈적인 작품입니다. 운전자가 실명한 여자 친구의 범인을 쫒는 이야기와 사건의 원인이 된 앞차에서 빈 캔을 버린 운전자의 살해계획(스포일러라고 하기에는 이제 이런 이야기는 너무나 흔해졌죠)이 병행하여 진행되는데 엔딩(반전)이 마음에 들더군요. <거울 속에서>는 교차점에서의 자동차와 오토바이의 충돌사고를 다루고 있습니다. 교통사로로 오토바이 운전자는 죽습니다. 자동차 운전하는 자신의 잘못을 바로 시인합니다. 그런데 교통경찰관의 조사에 의하면 뭔가가 이상합니다. 그 이상한 부분을 추리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진실, 그런데 그 진실이 조금 약하다는 느낌이 들더군요. 히가시노 게이고는 이때부터도 감성을 자극하는 미스터리를 좋아했었던 것 같아요. 미스터리적인 요소는 조금 약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