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에 내가 죽은 집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이영미 옮김 / 창해 / 200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역시 하기시노 게이고답습니다. 뭐가 그렀냐고요? 바로 제목입니다. <옛날에 내가 죽은 집> 이 노골적이고 직접적인 제목, 히가시노 게이고의 전매특허이죠. 제목의 '내가 죽은 집'은 말이 안 되죠. 그/그녀/당신이 아니라 1인칭 내가 죽은 집이라니, 보통은 이런 말을 사용하지 않죠. 내가 죽은 집을 내가 찾아가는 이야기가 우선 연상됩니다. 그렇습니다. <옛날에 내가 죽은 집>은 죽은(물론 실제로 죽지는 않았습니다. 초등학교 이전의 기억이 없을 뿐) 내(사야카)가 자신이 죽은 집(기억이 없는)을 찾아갑니다. 6년 연애 끝에 헤어진 남자친구와 함께 말이죠(그녀는 딸아이가 있는 유부녀입니다).

<옛날에 내가 죽은 집>은 히가시노 게이고의 소설입니다. 히가시노 게이고 소설만의 특징이 여기저기 보입니다. 직설적이기는 하지만 사회적인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그리고 복선과 이야기의 치밀한 구성력, 무엇보다 가독성이 좋은 점, 그리고 군더더기 없는 문장과 묘사들. 마지막으로 적은 등장인물(히가시노 게이고의 소설을 읽으면서 이름 때문에 헷갈렸던 적은 거의 없었던 것 같아요. 필요한 인원만 등장시키고, 곁가지는 모두 잘라버리죠. 그래서 추리소설에 처음 입문하시는 분들이 하기시노 게이고의 소설을 좋아하는 것 같아요. 어렵지 않으면서도 재미가 있거든요). 그런데 조금 다른 부분도 있어요. 우선 단막극 형식. 최소한의 인원(나와 사야카)과 최소한의 공간(폐허처럼 변해버린 집). 마지막으로 공포소설이 아님에도 뭔가 무섭고 두려운 느낌과 뭔가 잡힐 듯 하면서 잡히지 않는 몽한 분위기. 암튼 주제의식이나 복선, 이야기의 구성력 모두 히가시노 게이고의 것인데, 뭔가 표현하기 힘든 분위기는 기존의 히가시노 게이고의 소설과 많이 다르더군요.

"어쩌면 나 역시 낡은 그 집에 죽어 있는 건 아닐까. 어린 시절에 죽은 내가, 그 집에서 줄곧 내가 찾아오기를 기다리고 있는 건 아닐까. 그리고 누구에게나 '옛날에 자신이 죽은 집'이 존재하지 않을까. 그러나 그곳에 누워 있을 게 분명한 자신의 사체를 마주하고 싶지 않아서 그냥 모른 척하는 것일 뿐."

굉장히 흥미로운 부분이 많더군요. 집 한 채와 등장인물 2명으로 이야기를 이끌어 가기가 쉽지가 않은데, 나름대로 완결성도 갖추고 있고, 주제의식도 전달하면서, 미스터리하고 공포스러운 분위기도 잘 유지하네요. 곳곳에 복선도 잘 깔아 놓았고요. 다소 지루할 수 있는 이야기를 이미 죽어버린 초등학교 6학년 아이의 일기를 등장시켜 긴장감을 계속 유지합니다. 아이가 쓴 일기라 당시의 사건이 정확하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혼란스러울 수 있죠. 느낌은 전혀 다르지만 1인칭 롤플레잉 게임을 하는 듯한 느낌도 들더군요. 집에 숨겨져 있는 힌트를 찾아라!! 힌트 속에 집의 비밀이, 그리고 자신의 비밀이 숨겨져 있다(잃어버린 기억을 찾는다는 의미에서 자아 찾기 여행일 수도 있겠네요).

히가시노 게이고의 소설이면서도 기존의 소설과는 느낌이 조금 다릅니다. 소설이 발표된 시기가 오래 전이라 반전이나 충격이 약할 수도 있습니다(1994년쯤에 발표가 되었더군요). 그럼에도 확실히 재미는 있습니다. 이야기의 구성력도 좋고요. 이번에 소개된 <옛날에 내가 죽은 집>은 괜찮네요. 추리소설 매니아들에게는 반전이나 복선이 다소 싱거울 수도 있겠지만, 이야기 자체가 매우 흥미로워서 재미있게 잘 읽힙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