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둥의 계절
쓰네카와 고타로 지음, 이규원 옮김 / 노블마인 / 2008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시간이 흘러간다는 거, 알지?

그렇다. 시간은 흘러서 사라진다.

당연하다면 당연한 말이죠. 그런데 시간이 흘러간다는 것에는 안타까움이 많이 생기는데, 사라진다는 말에는 왠지 모를 아련함이나 그리움이 좀 더 깊게 새겨지는 것 같아요. 이 소설은 그런 시간이 사라진다는 것에 대한 아련함을 그린 소설이 아닐까 잠깐 생각이 들었어요. 시간도 사람도 내가 사는 세상도 그리고 내 자신도 사라진다. 추억도 아픔도 그리움도…….

온에 사는 사람들은 겨울과 봄 사이에 찾아오는 그 짧은 계절을 신계, 혹은 뇌계라 불러서 봄이나 겨울과 분명하게 구별했다. 뇌계. 이름 그대로 '천둥계절'이다.

쓰네카와 고타로는 데뷔작 <야시>에서 현실세계와 환상세계(흔히 판타지소설에 등장하는 환상세계와는 다르게 현실적이면서 현실적이지 않은 조금은 평범한 그런 세계)의 경계선에서 겪게 되는 모험을 흥미진진하게 그린 적이 있죠. 개인적으로 <바람의 도시>의 현실과 환상세계의 통로, 구멍(이라고 해야 하나? 틈이라고 해야 하나?)의 존재가 무척 흥미로웠습니다. 현실이나 환상세계나 그렇게 멀리 동떨어진 것이 아닌 가까운 세계라는 세계관이 무척 좋았다고 할까요? <천둥의 계절>에서도 현실세계와 환상세계(온이라고 불리는 마을)는 사실 가깝고도 멉니다(물론 4-5일을 열심히 걸어야 현실세계에 다다를 수 있지만요). 그리고 이쪽 세계에서 저쪽 세계가 단지 일그러지게 보인다는 점. 잡힐 듯 하지만 다가가면 또 다시 멀어지는, 그러나 언젠가는 다다르는 세계. 일본 작가 중에서 이계의 공간을 정말 이렇게 환상적이고 매력적으로 그리고 있는 작가도 드물지 않을까 싶어요. 두렵지만 그래도 용기를 내서 가보고 싶은 세계. <야시>, <바람의 도시>, <천둥의 계절>에서의 또 다른 세상은 정말 한번쯤은 가보고 싶은 그런 묘한 매력을 풍기는 세계였습니다.

천둥의 계절. 귀신조에 의해서 사람이 사라지는 마을 '온'. 풍요로운 마을처럼 보이지만 많은 비밀이 숨겨져 있는 곳. 천상의 마을이라 불리며 현실계에 있는 사람들이 환상을 품고 찾아오는 마을. 그러나 이 마을에도 계급 간의 차별이 있고, 음모가 있으며, 감추고 싶은 비밀이 있습니다. 겐야라는 소년은 현실계에서 온 아이. 부모님은 죽고, 누나는 사라지고, 친구들을 따돌림을 시킵니다. 이 소설은 이러한 모든 상황들을 극복하고 멋지게 성장하는 겐야의 성장소설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유령과 귀신이 나타나고, 죽은 자를 마을로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문지기가 있으며, 평범한 소년/소녀들이 물장구를 치고, 생일파티를 하면 웃고 떠드는 일상생활의 희로애락도 있습니다. 현실과 환상이 뒤섞인 묘한 마을. 이 마을을 벗어나면 큰일을 당한다는데 정말 그럴까? 뜻하지 않은 누명을 쓰고 쫓기게 되는 겐야의 모험, 과연 모험의 끝은? <야시>나 <바람의 도시>가 단편이라 조금 아쉬운 점이 많았는데, <천둥의 계절>에서 이 모든 것을 보상하는 듯한 느낌이 들더군요. 좀 더 마음의 여유를 갖고 쓰네카와 고타로가 그리는 환상적인 공간을 천천히 구경하는 느낌이라고 할까요? 쓰네카와 고타로가 그리는 세계는 정말 한번쯤은 가보고 싶은 생각이 무척 많이 들어요. 바람와이와이라는 정령의 새도 한번 만나보고 싶고요(참고로 책 표지에 이 사진의 모습이 있습니다^^). 그리고 책장을 덮는 순간 묘한 그리움. 멀고 험난한 여행 뒤에 오는 아쉬움과 그리움, 어련함. 다음 작품 <가을의 감옥>에서는 어떤 세계를 그릴지 무척 궁금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