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사냥 - 상
텐도 아라타 지음, 양억관 옮김 / 문학동네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붕괴되어 가는, 이제는 희망이 없는 가족을 사냥하는 괴한. 자식이 부모를 구타하고, 부모는 자식을 사랑하지 않고, 위태한 가정의 틈새를 파고드는 흰개미 같은 존재들. 흰개미는 자식인가? 아니면 부모인가? 암튼 제목만큼이나 살해 묘사가 무척이나 섬뜩합니다. 가족의 붕괴를 흰개미의 특성에 빗대어 묘사한 부분이나 가족의 해체를 잔인한 살해 방식으로 묘사하여 설득력을 높인 점, 구성의 튼튼함, 폐부를 찌르는 듯한 먹먹함. 물론 '저렇게 잔인한 묘사로 가족의 붕괴와 위험을 말할 필요가 있었을까?' 라고 생각하는 분들도 있겠지만, 저는 그런 잔인한 묘사가 오히려 지금의 가족의 문제를 더 직시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그만큼 처절했고, 가슴이 아팠고, 가족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는 계기를 마련해 준 것 같아요. 암튼 무척이나 훌륭한 가족소설(?) 입니다.

미술교사 '슌스케', 아들을 잃은 형사 '마미하라', 등교거부에 부모에게 폭력을 휘두르는 소녀 '아이', 그리고 무책임하면서 자식을 어떻게 대해야 할지 모르는 부모, 정신병을 앓고 있는 '마미하라' 형사의 부인 등 소설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가족적인 면에서 바라봤을 때 무언가 결여된 인물들이 많습니다. 자식을 이해하지 못하는 부모와 부모를 이해하지 못하는 자식, 그리고 스스로를 이해 못하는 10대 청소년. 피로 맺어진 혈연관계를 단순히 가족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가족이 정말 완전한 작은 사회일까요? 가족이 최고일까요? 대체 가족은? 마지막 소설의 결말에서 그런 부분을 언급하는 것 같기는 한데, 쉬우면서도 어려운 것이 가족 문제이지 않을까 싶네요. 부모를 구타하는 자식, 자식을 학대하는 부모, 우리는 가족이야, 무너지면 안돼, 누군가 희생을 해야 돼, 왜냐하면 우리는 가족이니까. 툭 치면 허물어질 것 같은 (흰개미가 나무나 콘크리트의 속을 다 갉아먹어 곧 허물어질 집처럼) 가족의 위태위태한 관계성을 아주 적나라하게 파헤칩니다. 무엇보다 면도칼이나 톱으로 신체를 훼손하는 장면이 가족의 폐부를 깊숙이 찌르는 것 같아 심리적으로도 육체적으로도 무척 피곤했습니다.

대안 가족? 우리나라도 핵가족화 시대가 된 지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죠. 결코 지금의 핵가족이 완전한 가족, 작은 사회는 아닐 수도 있어요. 그런데 가족에 엄청난 의미를 부여하는 가족들이 많죠. 가족은 떨어지면 안 된다, 우리 가정은 다른 가정과는 다르다, 우리 아이는 다른 아이와는 다르다, 우리 가족은 행복하다, 아니 지금만 버티면 차차 나아질 수 있다, 우리 아버지는 알코올 중독자다 그러나 이제 괜찮아질 것이다, 부모를 못 믿니?, 어머니처럼 살기는 싫어요, 우리 아이는 안 그래요, 성공하려면 무조건 공부해야 한다, 작금의 가족을 (다른 의미로) 결코 정상적이라고 보기에는 조금 힘들 것 같아요. 가족의 사랑은 끝이 없어라. 가족의 폭력과 방관은 다람쥐 바퀴처럼 계속 돌고 돌지 않을까요? 우리 가족만은 괜찮다는 안일주의, (소설 속 '오노'의 말처럼, 결코 그의 말의 100% 공감하는 것은 아니지만) 결국 흰개미처럼 다른 가족에게 악영향을 미칠 수는 있다고 생각하거든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